본문 바로가기
Cambodia_Agri

2021년 캄보디아 쌀 수출 현황 및 농산물 수출 전망

by chongdowon 2023. 3. 21.
728x90
  • 2022/02/13 12:02 

2019년 기준 캄보디아 벼 생산량은 10,885,733톤으로 식량, 종자용을 제외하고 남는 양은 576만톤에 이른다. 이 때문에 캄보디아 정부는 100만톤의 쌀 수출이 오래된 목표였다.

2015년부터 쌀 수출량은 급격히 증가하여 2014년 38만톤 2015년 53만톤 2016년 54만톤 2017년 6만톤 2018년 62만톤 2019년 62만톤을 수출했다. 2018년과 2019년에 수출이 주춤한 것은 유럽의 캄보디아, 미얀마산 장립백미에 대한 관세부과의 영향이 있다. 그리고 2020년에는 팬더믹의 영향으로 수요가 급증하여 69만톤을 수출한 뒤, 2021년에는 물류비의 증가 등으로 수출이 다소 감소한 61만톤에 그쳤다. 2022년부터 유럽의 관세부과가 철폐되면서 유럽 수출이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여전히 높은 물류비용과 생산비용은 쌀 수출시장에서 장미빛만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다만 수출 쌀의 70%에 이르는 향미는 고급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만큼 농업의 부가가치는 높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달리 산물벼의 베트남 수출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2022년 1월 산물벼의 베트남 수출은 275,511톤이고, 정미는 34개국 54,036톤을 수출했다.
 
산물벼의 베트남 수출 증가는 캄보디아 국내 가공, 저장시설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 베트남에서는 저가의 캄보디아 농산물 수입이 폭증하면서 자국 농업 기반에 피해가 생길까봐 걱정인 기사가 꽤 나온다. 
물론 캄보디아 역시 채소, 축산물, 수산물 등 생산기반이 취약하여 가격 경쟁력이 없는 농산물에 대한 베트남산 수입으르 염려하는 기사가 잦다.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라오스는 육로로 국경이 이어지는 이웃국가로 AI, ASF, 농약, 과잉생산, 수급부족 등 모든 농산물 가치사슬의 단계별 문제가 발생하여 서로 영향을 준다. 링크의 기사는 베트남으로 유입되는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사탕수수로 어려움을 겪은 베트남 농민, 조세회피를 다루고 있다.
캄보디아는 상대적으로 큰자본이 취약하여 원당공장이 부족하거나 규모의 경쟁이 되지 않는다. 현재 상업원당공장은 한곳으로 그마저도 최근 가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 초기 투입 비용이 적지 않고, 한번 식재 후 최소 4년 동안 수확되는 사탕수수의 특성상 농민들은 어떻게든 팔아야 하기에 자연스레 베트남으로 흘러갈 수 밖에 없다.
 
무의미한 국경을 둔 이웃국가간에 계속 일어날 수 밖에 없는 문제다. 결국 수출시장을 잘 확보하고 생산설비에 투자할 수 있는 나라로 원물이 움직이는 것은 당연하고 특히 캄보디아-베트남은 육로 뿐만 아니라 수로까지 연결돼 있어서 상호간의 종속관계는 쉽게 끊어지지 않을 것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