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453

[캄보디아] 시골에서 사용하는 소주 증류기 2016-08-10 12:20:36 캄보디아도 우리처럼 주식이 쌀이다 보니 쌀을 재료로 술을 만든다. 우리처럼 밥을 지어 누룩과 함께 섞어서 발효를 시킨 뒤, 술이 다 되면 사진처럼 증류기를 사용하여 소주를 만든다. 쓰라 소 (흰 술)라고 불리는 이 술은 보통 50% 정도의 도수를 보이고 그냥 먹기도 하며, 여러가지를 첨가해서 마시기도 한다. 2023. 8. 25.
강소농과 대기업의 농업 진출 2016-07-26 20:14:09 LG CNS의 새만금 스마트팜 투자와 우리 농업의 현실을 볼 때 여러가지 생각이 든다. 정책적으로 강소농과 기업농을 잘 어우러지게 만들어야겠지만 쉽지 않음을 잘 안다. 기업농의 강점은 당연시 규모화된 생산시설과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안정적이고 저렴한 식량의 공급이다. 반면 강소농의 기업농에 비해 고용효과가 높고, 지역 기반 경제를 살려주며 환경보호에 상대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서로의 장단점이 있어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기업농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법안도 있다고 한다. 내가 생각하는 농업도 마찬가지다. 한쪽으로 치우쳐서는 안되지만 적어도 식량 안보 차원에서 소규모 농가들이 유지되고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된다고 본다. 캄보디아에서도 많은 국가들이.. 2023. 8. 25.
신토불이 2016-07-28 11:12:48 우리 몸에는 우리 것이라는 말 같지도 않은 소리가 우리 농산물을 근거없이 소비촉진시키려는 수작이었음은 누구나 다 잘 알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환경적인 이유나 공정한 소비를 이유로 가능한 가까운 곳에서 생산되는 먹거리를 소비하는 것을 권장하기도 한다. 고등학교 때 생물선생님의 지론이 한약이라는 것이 이것저것 넣고 달인 것인데, 주변에 풀을 꼭꼭 씹어 먹어도 똑같기 때문에 본인은 굳이 한약을 드시지 않는다고 했다. 식물을 배우면서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며칠간 캄보디아 약용식물 도감을 보니 더 공감된다. 500 종류가 넘는 약용식물을 정리해 놓은 이 책에서 대부분의 식물들이 가진 효과는 해열, 이질, 설사, 상처, 자양강장, 뱀에 의한 상처, 말라리아와.. 2023. 8. 25.
생긴대로 산다는 것 2016-08-03 19:37:34 장자 교양 강의 중 13강을 보면 "누군들 활기차고 생동감 있게 살고 싶지 않겠는가? 그러나 여러가지 스트레스가 계속 쌓이면 자신감을 잃거나 우유부단한 성경이 되어 어떤 일을 성취해도 그만, 성취하지 못해도 그만이게 된다. 심지어는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게 되고 결국에는 죽어도 그만, 살아도 그만인 심정이 되고 만다. 외부세계를 바꿀 방법은 없다. 그러나 적어도 자신의 마음을 변화시킬 방법을 강구할 수는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일을 할 때 목적이나 결과만을 생각하지 말고, 그 일을 실행하고 연습하는 과정 속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다.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자기 성격대로 살아가면서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타인의 평가에 신경 쓰지 않는 것이다." -- 자기계발서적을.. 2023. 8.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