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mbodia72

캄보디아 캐슈넛 가치사슬 분석 2024.12 과연 캄보디아 캐슈넛 산업은 더 성장이 가능할까?최근 캄보디아 캐슈넛 생산량이 급증하면서 온갖 투자자를 끌어 모으고 있으며, 그 소식을 들은 다른 사람들도 귀가 솔깃한 것 같다. 골드러시처럼 밀려들고 있는데 과연 지금이 투자 적기인지 고민은 해 봐야한다. 특히 농산업 가치사슬 전반을 이해하지 못하고 끝단에 있는 가공과 유통만 생각하는 경우에는 좀 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우선 재배 측면에서 몇가지 이해가 필요하다. 캐슈넛 나무가 자라는 곳은 고무나무, 두리안, 후추 등 다른 상업작물도 재배가 가능한 지역이다. 바꿔 말하면 농민 입장에서는 단가가 높고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높은 작물을 선택하게 된다. 캐슈넛은 식재 후 3-5년 후 수확이 가능하다. 15년이 지나면 수익성이 떨어져서 재식재를 결정해야 한다... 2025. 7. 25.
캄보디아의 토지 무상양도 보호 프로그램와 SLC 최근 캄보디아-태국 국경 분쟁 외에 눈에 띄는 기사가 하나 있는데 바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토지 무상양도-보호 프로그램(land Grant - Protec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계획이다. 이 프로그램은 빈곤한 캄보디아 국민들에게 사회적 토지 양여를 제공하여 산림벌채와 국유지 불법 점유를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도 요약1. 주요 내용토지 제공: 자격 심사를 통과한 가구는 주거용 토지와 함께 소규모 농사를 지을 수 있는 경작지 제공소유권 이전: 5년간 지속적으로 거주하며 토지를 경작하는 등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해당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획득경제적 자립 지원: '사회·경제 개발을 위한 토지 분배(Land Allocation for So.. 2025. 7. 15.
캄보디아 후추 가치사슬 분석 2025.3 농업에서 가치사슬 분석 보고서는 정기적으로 발간되는데 매년은 아니더라도 꾸준히 분석하거나 봐 두면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giz도 꾸준히 작물별로 가치사슬 보고서를 내고 있는데 결론을 요약하면 간단하다. 재배환경이 우수하고 품질이 좋으며 GI인증을 받은 깜폿후추는 생산량은 적지만 고부가가치다. 반면 물류, 비공식세금, 잔류농약독성 등은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다. 보고서에 살펴보고 있는 수치들을 한번 훑어 보면서 캄보디아 후추산업의 최신 현황을 읽어보자.1. 생산GI인증을 받은 깜폿후추는 세계적으로도 유명하지만 캄보디아에는 깜폿후추만 있는 건 아니다. 뜨봉크뭄, 몬돌끼리, 라타나끼리 등 다양한 지역에서도 후추가 재배생산된다. 캄보디아에서 후추는 전략작물이지만 대부분의 후추는 원물이나.. 2025. 7. 8.
한국과 주변국 채소 소비량 비교 K-Food의 세계적인 인기로 한식의 대중화가 많이 이뤄졌다. 한식당에서 밥을 먹고 난 뒤와 현지식당에서 밥을 먹고 난 뒤에 시간이 지나고 느끼는 공복감이 가끔 다를 때가 있다. 기본적으로 인디카 쌀은 찰성이 적어 소화가 빨리 되기고 하고, 우리나라 식단은 열량이 높은 편이다. 게다가 우리는 채소 소비량도 많은데 한중일캄베의 채소 소비량을 비교해 보자.아래 표를 보면 (2025년 4월 17일 09시 검색) 연간 1인당 채소 소비량(kg)은 중국이 월등히 높고 한국보다 일본이 적게 먹는다. 캄보디아는 우리나라의 15% 수준에 머물 정도로 적게 소비한다.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는데 가장 큰 원인으로는 소비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중식은 기름에 튀기는 방식을 많이 쓰기 때문에 수분이 줄어든다. 수분을 제외한.. 2025. 4.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