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농촌, 기후변환136

우리나라 농업위성과 활용 1. 필요성유럽의 마젤란이나 갈릴레오, 미국 나사의 다양한 위성으로 농업, 임업 분야에서 원격조사를 많이 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해양 표면의 온도 등을 측정해서 기상을 예측하고 농업생산과 전망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천리안위성으로 산림분야에서는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해외 위성을 통해서도 정보 분석은 가능하다. 하지만 독자적인 위성을 가지게 되면 더 많은 정보를 받아볼 수 있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분석도 가능해진다.국내 농업 국한으로 하면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으나 해외농업이나 산림업 진출을 위해서 사전조사를 할 때 상당히 유용하다. 또 내가 자주 강조하는 부분인데 우리가 지금 가 보지는 못하지만 언젠가는 협력해야 할 북한 농업을 책상 앞에서 분석하기에도 아주 유용하다.위성이 발달하지 않았던.. 2025. 5. 5.
캄보디아 봉제산업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실천 참고한 보고서는 GGGI가 2025년 발간한 Sustainable Energy Practices in Cambodia’s Garment Industry: An Energy Audit Study 이다. 캄보디아 봉제산업은 의류, 신발, 여행용품 제조업을 통칭한다. (GFT: Garment, Footwear & Travel Goods) 캄보디아의 봉제산업은 매우 중요한데 2024년에 약 92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했고, 전세계 GFT제품의 1.4%를 생산(110억 달러)한다. 이 산업의 비용구조는 원부자재 45-50%, 인건비 32-38%, 에너지 3%, 기타비용 10-14%, 이익 0-12%로 구성된다.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에너지 3% 때문인데, 많은 봉제공장에서 주 연료로 화목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2025. 4. 30.
세계 자포니카 쌀 시장 현황과 우리 정책 방향 1. 서론: 우리나라 쌀 생산 정책의 한계일본의 쌀 부족 사태와 동남아 지역의 자포니카 벼 재배 시도를 보면 우리는 농업 정책이 너무 국내 요소에 국한되어 만들어지는 것 같다.우리나라 쌀 정책은 추곡수매제에서 공공비축제로 전환되었고, 동시에 쌀소득보조금에서 공익직불금으로 바꼈다. 쌀 생산이 부족하고 균등하게 보급하기 위해 정부는 추곡수매제를 통해 쌀을 매입해서 다시 시중에 판매했다. 쌀 소비가 감소하고 수급이 안정되면서 공공비축제로 바꾸어 일정 분량을 보관하고 있다가 다시 시가로 방출하는것이 공공비축제다. WTO체제에서 직접 보조금을 주는 것이 제한적이어서 생긴 것이 벼 재배 농가의 소득 보전을 위해 만든 제도가 쌀소득보조금이고, 농업의 공익기능을 인정하여 보조금 제도를 변형한 것이 지금의 공익직불금이다.. 2025. 4. 24.
기후변화와 식량은 비용으로 직결된다. 1. 일본 레이와 쌀 소동일본의 레이와 시대인 2024년 8월부터 지금까지 쌀이 부족하고 가격이 폭등한 현상을 말한다. 기후위기, 정책실패, 수요증가 등의 이유와 관세장벽, 자포니카 쌀 소비 등의 부가적인 문제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일본이 캄보디아에서 자포니카 벼 재배에 꾸준히 투자하는 큰 이유이기도 하다.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수요보다 공급이 많기 때문에 수급은 안정적이고 2025년 4월 대일무역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일본으로 쌀이 수출됐다.(캄보디아의 자포니카 쌀 https://chongdowon.com/520)우리나라와 일본은 특히 쌀에서 민감한데 벼농사 인구가 많고 이 농민들이 선거 때 표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물론 주식이 쌀이고 특히 양국이 자포니카 쌀을 소비하기 때문이다. 아마 인디카 쌀.. 2025. 4.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