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업농촌, 기후변환133 기후변화와 식량은 비용으로 직결된다. 1. 일본 레이와 쌀 소동일본의 레이와 시대인 2024년 8월부터 지금까지 쌀이 부족하고 가격이 폭등한 현상을 말한다. 기후위기, 정책실패, 수요증가 등의 이유와 관세장벽, 자포니카 쌀 소비 등의 부가적인 문제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일본이 캄보디아에서 자포니카 벼 재배에 꾸준히 투자하는 큰 이유이기도 하다.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수요보다 공급이 많기 때문에 수급은 안정적이고 2025년 4월 대일무역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일본으로 쌀이 수출됐다.(캄보디아의 자포니카 쌀 https://chongdowon.com/520)우리나라와 일본은 특히 쌀에서 민감한데 벼농사 인구가 많고 이 농민들이 선거 때 표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물론 주식이 쌀이고 특히 양국이 자포니카 쌀을 소비하기 때문이다. 아마 인디카 쌀.. 2025. 4. 21. 글로벌 식품 시스템의 5가지 주요 변화 동남아시아 주요 쌀 수출국인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는 아세안 국가에 대한 수출 비중도 높지만 유럽과 아프리카 수출 비중도 높다. 유럽국가들의 인구감소로 수요는 감소하겠지만 반대로 고급미(premium rice)의 수요는 증가한다. 반증으로 캄보디아 쌀 수출의 70%는 톤당 900불 대의 고급미이다.아시아 지역의 축산물 수요 증가는 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급격한 성장을 이뤄내고 있으나, 문제는 지역내에서 사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이다.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내수 생산기반이 갖춰진다 하더라도, 기존 식량 생산 기반과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점진적으로는 식량 공급 가격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비만 등 성인병의 증가와 함께 미용, 보험 산업이 동반 성장하고 건강기능식 시장도 함께 성장 가능하.. 2025. 4. 3. 선진국에서 만들어진 기술을 개도국에서 쓸 수 있을까 프놈펜에서 1시간 정도 떨어진 껀달지역은 채소재배를 많이 한다. 프놈펜의 배후지의 장점을 고스란히 활용하고 있는데, 농지가 넓어 지대가 낮고 바싹강, 메콩강 등이 양쪽으로 흐르고 있어 물 공급이 용이하다. 프놈펜과 가까워 농촌인구의 유출이 심각하긴 하지만, 반대로 가까운 만큼 농산물의 운송이 유리하다.우리나라는 볏짚을 대부분 소먹이 조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대형베일러를 사용한다. 원형은 한 개당 400kg이상이 나가고 사각형도 20kg이 훌쩍 넘는다. 그러다 보니 원형베일러를 가동하기 위한 트랙터는 50마력은 예사고 100마력 이상도 많이 사용한다. 사각베일러는 50마력에서도 가능하지만 더 큰 트랙터를 많이 사용한다. 이렇게 대형베일을 만들다 보니 운반을 위해서 트랙터의 전방유압장치를 로더로 많이 사용한.. 2025. 3. 20. 캄보디아 농업은 수평적으로 성장할까 수직적으로 성장할까? 캄보디아 농업은 수평적으로 성장할까 수직적으로 성장할까? 어제 스마트농장 관련 글에서 캄보디아 농지의 한계를 조금 얘기했는데, 세계 어디에도 발생하는 똑같은 문제다. 인간사회는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으로 산업이 발달하고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농업과 제조업을 국외에서 아웃소싱한다. 국내산업에서는 서비스업의 총생산 비중이 높아지게 된다. 지금 미국과 중국이 경쟁하고 있는 분야가 이 지점이다. 아웃소싱으로 일거리가 부족해지고 고용지표가 나빠지면서 리쇼어링을 실시하지만, 1차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하고, 노동의 질이 나쁘며 국내 인건비가 너무 높아서 리쇼어링을 하더라도 매력적인 일자리는 없다. 아웃소싱을 하면서 식량의 생산기지가 된 국가들은 가공되지 않은 농산물은 많이 공급해야 하므로 단위면적당 생산성을.. 2025. 2. 28. 이전 1 2 3 4 ··· 3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