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변화10

기후변화와 벼 못자리 파종시기의 변화 고등학교 즈음인가 아버지를 도와서 논둑을 하면서 들은 얘기인데 그 이전에는 얼음을 깨고 논둑을 했다고 했다. 논둑을 한다는 의미는 못자리를 준비하기 전에 논둑을 보수하는 것이다. 논둑이 보수되어야 물대기를 해서 물을 가두고 (담수) 써래질을 해서 곤죽 상태를 만들어 모내기(이앙)를 할 수 있게 준비하는 것이다. 1. 벼 못자리 파종 손모내기를 할 때는 모(어린 벼)의 잎(초장)이 길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오래 육묘를 했다. 오래 육묘를 하면 뿌리가 많아지기 때문에 이식했을 때 다시 뿌리가 잘 활착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게 기계이앙으로 바뀌면서 문제가 되었다. 초장이 너무 길어서 기계에 자꾸 걸리게 된 것이다. 그래서 초기에는 모를 다 기른 다음에 기계에 넣을 때 낫으로 잎을 쳐 주기도 했다. 그.. 2024. 2. 29.
기후변화란 무엇인가 기후변화의 결과로 우리가 겪는 현상 중에 특히 농업에 영향을 받는 일과 일상의 변화에 대해서는 여러번 글을 썼는데 정작 기후변화가 무엇인지는 쓴 적이 없었다. 기후변화와 엘니뇨, 라리냐 현상을 오해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마침 최근 BBC의 기사에 기후변화 간단 가이드가 있어서 옮겨 본다. 기후변화란 지구의 평균 기온과 기상 조건이 장기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현재 세계는 19세기 후반보다 약 1.1도 더 따뜻해졌다. 인간이 기후변화를 일으키는가? 여러 조사를 보면 지구의 기후는 자연상태에서도 변화했다. 더워지고 추워지는 것을 반복했지만 최근의 기후변화는 인간이 초래한 것이다.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온실가스가 배출되고 열이 갇히면서 지구가 뜨거워지게 되었다. 산업혁명 이후 CO2의 양은 약 50% 증가했다. .. 2023. 12. 1.
기후변화와 농업 생산 기후변화와 환경문제를 다룬 조금 흥미로운 책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을 읽고 있는데 몇가지 데이터들에 대한 확인이 필요해서 자료를 찾아봤다. 1. 삼림면적 감소와 농업생산 삼림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마찬가지로 농업재배면적도 감소하고 있다. 반면 생산량은 농축산 모두 증가했다. 미국과 유럽의 이산화탄소 배출은 최근 감소하고 있지만 중국과 인도의 폭발적인 증가로 전지구로 볼 때 감소량은 미미하다. 구체적으로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960년 9,387,668,000 1970년 14,898,716,000 1980년 19,501,563,000 1990년 22,757,480,000 2000년 25,453,623,000 2010년 33,364,347,000 2020년 35,264,086,000이다. .. 2023. 9. 5.
상상과 예측 그리고 기본소득 상상은 인간만 가진 능력이다. 상상할 수 있기 때문에 내일에 대한 불안감이 있고 미신과 종교의 의지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상상할 수 있기 때문에 내일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상하고 예측하기 시작했다. 농경이 시작된 계기도 수렵채집으로는 부족한 식량을 채우기 위해서였다. 농사의 기술이 발달하게 되면서 도구를 사용하고 가축을 이용하게 되면서 노동력의 활용은 비약적으로 증가했지만 여전히 날씨라는 변수를 이겨낼 수는 없었다. 집권세력은 온갖 미신, 주술을 동원하여 비가 내리게 하거나 멎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 인간의 특성과 높은 농업생산성에 대한 요구에 따라 기상을 관측하여 농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 연중 비가 오는 날, 비가 오는 양 그리고 해가 뜨는 시간과 지는 시간 또 낮의 길이를 정확하게 기록.. 2023. 6. 14.
날씨와 농사 그리고 131 이제는 131이라는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사람이 별로 없을 것 같다. 수퍼컴퓨터가 발달하고 인터넷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들이 생기면서 이제 전화로 날씨 안내를 받을 일은 없어졌다. 20년전만 하더라도 아버지는 봄, 가을에 매일 131에 전화해서 날씨를 확인하고 오늘 작업을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했다. 물론 나도 옆에서 귀 기울이면서 오늘은 일 안해도 될까하고 긴장을 하곤 했다. TV를 틀면 매시간 기상뉴스가 나올 뿐만 아니라 자막으로 실시간 기상을 안내해 주고, 스마트폰에서도 시시각각 바뀌는 날씨를 알 수 있다.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기상은 우리에게 친근하지만 중요한 존재가 되었다. 야외활동을 위해서 빨리를 위해서 차량 관리를 위해서 시간과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항상 날씨에 민감하게 되었다... 2023. 5. 9.
농업과 온실가스 배출 티스토리에 와서 처음 쓰는 글이다. 오래된 글을 다 옮기고 새 글을 쓰려고 했는데 시간도 많이 걸리고 써 놔야 할 글은 있어서 일단은 뒤죽박죽 되더라고 그냥 써야겠다. -- 누가 뭐래도 농업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주된 산업 중 하나다. 식품을 생산하면서 전체 온실 가스 배출의 35%를 배출한다. 낙농을 포함한 축산업에서 57% 배출하고 인간 소비용 식품에서 29% 그리고 면이나 고무에서 14%를 배출한다. 총식품 생산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다시 나누어 보면 산림개간 29%, 경운과 질소비료 사용 38%, 가축 사육 21%, 그외 11%는 농업재료의 운송과 식품 가공에 사용된다. 식품별 온실가스 배출 비중을 보면 동물성식품 25%, 우유 8%, 돼지고기 7% 쌀 12%, 밀 5%, 사탕수수 2% 지역별로.. 2023. 4. 17.
식량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2020/04/20 13:18 COVID-19가 지구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인터넷에서 꾸준히 올라오는데, 인간의 왕래와 생산활동이 줄어들자 대기는 깨끗해지고, 야생동물들이 더 자유롭게 인간의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다. 인간의 식량 생산을 위해 많은 자원이 소모되고, 지구환경에도 나쁜 영향을 준다는 보고서와 논문은 매년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 자료는 그래프를 통해 순차적으로 인간이 얼마나 많은 지구자원을 이용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또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인간의 노력은 무엇인지 아주 간략하게 보여 주고 있다. 가까운 곳에서 생산된 식품 이용, 축산식품을 적게 섭취. https://ourworldindata.org/environmental-impacts-of-food 식량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2023. 3. 29.
농장 내 기상변화와 기후변화 예측 2021/01/04 16:15 여러번 말했지만 기후변화학과에 입학할 때까지만 해도 기후변화는 정치적 이슈라고 생각했고, 가장 재미있게 본 책이 기후변화의 정치학이었다. 지금도 국제기구들은 기후변화에 많은 돈을 쓰고 있는데, 그 모든 활동이 온전히 기후변화를 위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와는 별개로 2019년과 2020년 11월 12월 그리고 1월의 기상을 보면 평소에 느끼던 날씨가 아니란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 지난 3년간 농장에 PWS를 설치하고 기상을 관찰했는데, 아쉽네 18개월만에 통신부품이 고장나서 강우량을 제외한 온습도와 일조량의 자료는 획득하지 못했다. 결과는 위의 표로 요약되는데, https://en.climate-data.org/asia/cambodia/ (2020년 9월 21일 15.. 2023. 3. 24.
캄보디아 기후변화 2021 2021/11/21 22:54 1. 캄보디아 기후현상 캄보디아는 고온의 열대기후로 몬순우기(5~10월)와 건기(11월~4월)의 두 계절로 나뉜다. 몬순우기에는 연중 강우량의 80~90% 비가 내린다. 2의 지역 구분에 따라 지역적으로 강우량은 1400~2000mm로 내린다. 평균기온은 전국에 걸쳐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우기 직전에 32도의 최고 온도를 보이고 우기 중에는 25~27도를 나타낸다. 엘니뇨 현상으로 따뜻하고 건조하게 되고, 라니냐현상은 시원한 공기를 공급한다. 캄보디아 연평균 기온은 25~27이지만 최고 기온은 38도까지 올라가고 최저기온은 17도까지 떨어질 수 있다. 1960년대 이후로 10년마다 0.18도가 상승했다. 건기인 11~4월에는 급속히 상승하여 10년마다 0.20~0.2.. 2023. 3. 21.
프놈펜 메콩강 수위와 강우량 변화 2022/10/13 10:37 메콩강위원회의 자료를 통해서 꾸준히 강우량과 강수위를 모니터링 하고 있었는데 지금 보니 홈페이지가 완전 개편되면서 각종 지표들을 보기 좋게 정리되었다. 이 중 Prek KDam station은 뚼레삽강이 프놈펜으로 진입하는 지점에 있기 때문에 프놈펜의 강우 현상이나 메콩강에서 바삭강으로 분기되고, 뚠레삽으로 역류하는 물의 양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곳이다. 또한 상류지역 강우현상은 물공급 뿐만 아니라 하류지역의 기상현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캄보디아는 주변 대양 뿐만 아니라 태국 중국 등 내륙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라오스, 태국, 중국의 기상현상이 캄보디아 지역 내 강 수위 뿐만 아니라 기상 현상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메콩강의 수위 변화는 여러모로 관심을 갖게 한.. 2023. 3.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