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Rice6

향후 10년간 세계 쌀 가격 전망과 캄보디아 대응전략 1. 캄보디아 2024년 쌀 수출 현황캄보디아는 2024년 651,522톤의 정미를 수출해서 4억 9119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총 57개 수출업체가 68개 국가에 수출했으며, 이 중 EU는 327,156톤(2억 5,318만 달러), 중국(및 홍콩, 마카오)은 117,925톤(7,566만 달러), 아세안 국가 127,076톤(9,270 달러)를 수출했다. 전체 수출량 중 향미는 76.15%, 백미 18.7% 파보일드 3.1% 유기농 1.78% 등이다. 그리고 도정이 안된 산물벼 5,180,155톤(14억 9600만 달러)를 수출했는데 대부분 베트남으로 수출되었다.2. 향후 10년간 글로벌 쌀 가격 전망 (RaboResearch Food & Agribusiness)1) 상위 9개 수출국의 STU(사용가.. 2025. 1. 30.
쌀, 밀, 옥수수 생산지수 비교 쌀 생산과 소비에 대해서 알아본 적이 있는데 인구의 2/3는 아시아에 거주하고 이 많은 인구를 떠 받칠 있는 이유가 쌀의 공급력에 있다. https://chongdowon.com/236 결과를 요약하면 벼, 옥수수, 밀 모두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세계 평균 각각 4.76, 5.88, 3.49인데 옥수수는 워낙 다비작물이어서 생산성이 높을 수 밖에 없다. 벼는 담수재배의 잇점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벼와 옥수수는 파종량이 비슷한데 밀은 두배 이상이어서 산술적으로 밀이 투입대비 생산량이 떨어진다. 게다가 벼는 기후에 따라 이기작이나 이모작이 가능하고, 재배 가능지역이 북위 53도의 중국 북부지역에서 남위 40도의 아르헨티나 중부까지로 넓기 때문에 재배면적과 단위면적당 연간생산량이 많은 장점이 있다... 2023. 9. 24.
재배벼의 탄생과 동아시아 이동 몇 가지 연구자료를 읽고 정리했다. 언어와 인류와 식물의 유전적 요소를 토대로 분석했는데 요약하자면 1)아시아에서는 야생벼가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었고 2)양쯔강 일원에서 자포니카가 재배되기 시작했고, 이는 인도로 종자형태로 전달되면서 초기 인디카와 섞이게 되었다. 3) 이와 동시에 동남아시아에는 인구의 이동과 함께 품종과 재배기술이 전달되었다. 4)인도 남부에서 동남아시아로 인디카가 전파되었다. 1. 후기 홀로세 해안 진화가 벼 재배의 확장을 일으킴 https://www.pnas.org/doi/full/10.1073/pnas.1919217117 (홀로세(Holocene)는 약 1만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지질 시대) 탄화벼만으로는 추적에 한계가 있어 퇴적물의 꽃가루의 농도를 비교하여 분석했다. 홀로세 중기.. 2023. 9. 24.
캄보디아에서 쌀의 역할 캄보디아에서 쌀과 민물고기는 탄수화물과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생산, 가공, 수출에 관련된 정부부처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하루가 멀다하고 그들의 움직임에 대해서 기사를 쏟아낸다. 캄보디에서 쌀이 어떻게 경제에 영향을 주는지 1. GDP 기여 2. 국내소비 3. 생산량과 아시아내 포지션 4. 생산성 향상과 부가가치향상 등으로 나누어서 생각해 보자. 아시아에서 주식은 쌀이다. 아시아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 인구의 절반이 쌀을 먹는다. 아시아가 중요한 이유는 생산량에 있다. 인도, 태국 등이 주요 수출국으로 많은 양을 생산하고 수출해서 전세계의 부족한 쌀을 충당하고 있다. (세계 쌀 생산량, 소비량, 수출입 https://chongdowon.com/236) 지난 20.. 2023. 8. 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