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453

쟁기와 써레, plough and harrow 2015/05/08 17:09 한국의 농경에서 논이나 밭 작업의 순서는 예나 지금이나 비슷하다. 우선 갈이를 하고 써레를 한다. 그리고 이랑이 필요한 밭에서는 이랑쟁기를 사용해서 다시 이랑과 골을 만들어 주게 된다. 캄보디아도 비슷하긴 한데 워낙 농업인구 대비 농지 면적이 넓어서인지 일부 지역의 논에서는 써레를 쓰는 방식이 조금 다르다. 그래서 살짝 정리해 본다. 농경에 있어서 흙을 갈아 엎는 행위는 가장 중요하며 채집행위와 구분되는 요소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축경은 아래 사진처럼 하나의 날에 소나 말을 1~2마리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구조적인 차이는 조금씩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은 아래와 흡사하다. 발전한 형태가 디스크해로우(원반형쟁기)이다. 원반쟁기의 장점은 힘을 적게 받는데 있다... 2023. 4. 11.
색소체 분화, plastid differentiation 2015/06/08 15:57 색소체의 분화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전색소체에서 엽록체(녹색)으로 분화되고 이것이 다시 Chromoplast 유색체로 분화가 된다. 녹색식물이 가을이 되면 단풍이 들게 되는 방법이 바로 여기에 있다. wikimedia.org 2023. 4. 11.
Pistia stratiotes, 물상추, 캄보디아 서식 2015/06/15 19:17 UNDP의 예정된 컨설팅 프로그램 중에 하나가 북한의 서식중인 단백질 식물이 있다. 거기서 제시하는 예시 중 하나가 Pistia 즉 물상추여서 캄보디아에서도 적용이 가능할 자료를 좀 찾아 봤다. 종명은 Pistia stratiotes 이다. 서식은 아르리카 원산의 열대로 나와 있으나, http://www.cabi.org/isc/datasheet/41496 자료를 보면 캄보디아에서도 발견되었다. 실제로 많이 보던 수초류 중 하나로 생각되지만 정확한 분류는 아직 알 수 없다. 한국에서도 서식이 가능하지만 당연히 열대 원산이어서 겨우내 식물전체가 살아 남지는 못한다. 실제로 이 식물체를 단백질원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오래된 논문이 하나 있다. Fresh-water pl.. 2023. 4. 11.
농업이 어려운 이유 2015/06/22 04:21 농업이 어려운 이유라기 보다는 많은 비농업인들이 농업에 대해 간과하거나 너무 쉽게 생각하는 부분들이 있다. 주말에도 업무상 만나시 분의 얘기를 들으면서 늘 하던 고민이지만, 잠이 안 오는 김에 한번 끄적여 본다. 대화를 하는 사람들의 경험이나 업무범위에 따라서 접근성이 다른 것은 사실이다. 농업에 대해 잘못 생각하는 가장 큰 부분이 "왜 돈이 안되는 농사를 하느냐" 상당히 어려운 이야기가 될 수 있는데, 우선은 정책이다. 모든 국가 식량정책이 최우선이다. 그래서 식량생산이 가능할 경우 기본적으로 인구가 먹을 수 있는 식량을 생산하는 기반조성 및 유지관리가 농업부서의 첫번째 임무이다. 물론 똑같은 돈으로 구축하는 농업관련 인프라를 쌀이나 밀에 사용하지 않고 채소나 기타 환금성.. 2023. 4.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