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업9 농업에 GIS 활용 2020/12/30 16:02 대규모영농 Plantation에 대해서 꾸준히 생각하고 있는데, 작은 규모의 농업도 같은 문제를 가지지만 규모가 커지면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훨씬 더 많이 들게 된다. 기업농이 되면 생산성이 최우선과제가 될 수 있는데 이를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땅 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행위에 대한 기록과 분석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통제가 불가능한 기상환경이라는 변수 역시 잘 기록해서 영농활동에 연계하여 생산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땅은 고정되어 있고 영농활동은 시간에 따라 누적되기 때문에 그래프로 그리자면 수평적 기록과 수직적 기록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다양한 DB도구가 있어서 수평적인 기록은 어렵지 않지만 이를 다시 수직적으로 내려다 보려면 GIS를 적용하는 것이 용.. 2023. 3. 24. 2021년 캄보디아 농축수산업 생산 현황 2022/04/13 10:59 아래의 자료는 캄보디아 농업부에서 발간하는 MAFF Annual Report 에서 자료를 뽑았고, 매년 반복해서 말하지만 각 지역에서의 자료취합, 농업부에서 자료취합 과정에 오류가 많다. 특히 보고서 자체에서도 오류가 있기 때문에 100% 신뢰하기 보다는 추세 정도를 읽는다고 생각하면 좋다. https://elibrary.maff.gov.kh/book/623933d233e7d 2019년 현재 캄보디아 인구는 15,552,211명이고 인구당 GDP는 1,561불이다. https://www.nis.gov.kh/index.php/en/12-publications/15-agriculture-census-in-cambodia-2013-final-result 2021년 캄보디아는 총 .. 2023. 3. 20. 프놈펜 메콩강 수위와 강우량 변화 2022/10/13 10:37 메콩강위원회의 자료를 통해서 꾸준히 강우량과 강수위를 모니터링 하고 있었는데 지금 보니 홈페이지가 완전 개편되면서 각종 지표들을 보기 좋게 정리되었다. 이 중 Prek KDam station은 뚼레삽강이 프놈펜으로 진입하는 지점에 있기 때문에 프놈펜의 강우 현상이나 메콩강에서 바삭강으로 분기되고, 뚠레삽으로 역류하는 물의 양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곳이다. 또한 상류지역 강우현상은 물공급 뿐만 아니라 하류지역의 기상현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캄보디아는 주변 대양 뿐만 아니라 태국 중국 등 내륙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라오스, 태국, 중국의 기상현상이 캄보디아 지역 내 강 수위 뿐만 아니라 기상 현상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메콩강의 수위 변화는 여러모로 관심을 갖게 한.. 2023. 3. 17. 벼 재배면적, 쌀 생산량, 소비량 2023/03/13 16:29 쌀은 우리의 주식이면서 농업의 근간이다. 식문화의 변화로 쌀 소비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농지 면적 중에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다른 식량자원과 달리 우리가 먹는 자포니카계열의 벼 품종은 한국, 일본, 중국 일부에서만 소비되기 때문에 국내에서 생산이 불가능할 경우 수급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고품질, 고수량성에 맞춰 꾸준히 육종을 해 왔고, 재배면적은 감소했지만 생산성은 높아져 총 생산량이 급격히 하락하지는 않고 있다. 식량안보 측면에서 정부는 매년 쌀을 수매하고 비축하여 갑작스러운 재난재해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매년 남아돌게 되는 쌀은 보관비용과 처분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낳게 되어, 적정량 을 보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 2023. 3. 15. 이전 1 2 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