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Rice6

세계 쌀 생산량, 소비량, 수출입 1. 쌀의 이용 쌀은 화본과의 단년생 또는 다년생 식물인 벼를 재배하여 얻어지는 곡식을 탈곡 후 도정한 것이다. 대표적인 식량작물은 옥수수, 대두는 도정 과정이 없지만 대두는 용도에 따라 불려서 투명한 껍질을 벗겨내기도 한다. 쌀은 전세계 인구의 절반이 먹는 주요 곡물로 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남미 등에서 주곡으로 이용된다. 탈곡 : 줄기에서 낟알을 떼어 냄. 도정 : 곡식의 껍질을 벗겨냄 벼속(Oryza)에는 약 23종의 벼가 있고 재배종은 벼(O. sativa)와 아프리카벼(O. glaberrima) 두가지다. O. sativa에는 단립종인 자포니카 japonica와 장립종인 indica가 있다. 단립종은 찰성이 있고 장립종은 찰성은 없지만 자스민과 바스타미와 같은 향미가 있다. 세계적으로 .. 2023. 7. 27.
2021년 캄보디아 쌀 수출 현황 및 농산물 수출 전망 2022/02/13 12:02 2019년 기준 캄보디아 벼 생산량은 10,885,733톤으로 식량, 종자용을 제외하고 남는 양은 576만톤에 이른다. 이 때문에 캄보디아 정부는 100만톤의 쌀 수출이 오래된 목표였다. 2015년부터 쌀 수출량은 급격히 증가하여 2014년 38만톤 2015년 53만톤 2016년 54만톤 2017년 6만톤 2018년 62만톤 2019년 62만톤을 수출했다. 2018년과 2019년에 수출이 주춤한 것은 유럽의 캄보디아, 미얀마산 장립백미에 대한 관세부과의 영향이 있다. 그리고 2020년에는 팬더믹의 영향으로 수요가 급증하여 69만톤을 수출한 뒤, 2021년에는 물류비의 증가 등으로 수출이 다소 감소한 61만톤에 그쳤다. 2022년부터 유럽의 관세부과가 철폐되면서 유럽 수출이 .. 2023. 3.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