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농촌, 기후변환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2023

by chongdowon 2024. 7. 2.
728x90

이 자료는 2023년 12월 31일 발간된 농림축산식품부의 농립축산식품 주요통계에서 발췌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https://www.data.go.kr/tcs/dss/selectDataSetList.do?dType=FILE&keyword=&operator=&detailKeyword=&publicDataPk=&recmSe=&detailText=&relatedKeyword=&commaNotInData=&commaAndData=&commaOrData=&must_not=&tabId=&dataSetCoreTf=&coreDataNm=&sort=updtDt&relRadio=&orgFullName=%EB%86%8D%EB%A6%BC%EC%B6%95%EC%82%B0%EC%8B%9D%ED%92%88%EB%B6%80&orgFilter=%EB%86%8D%EB%A6%BC%EC%B6%95%EC%82%B0%EC%8B%9D%ED%92%88%EB%B6%80&org=%EB%86%8D%EB%A6%BC%EC%B6%95%EC%82%B0%EC%8B%9D%ED%92%88%EB%B6%80&orgSearch=&currentPage=1&perPage=10&brm=&instt=&svcType=&kwrdArray=&extsn=&coreDataNmArray=&pblonsipScopeCode=

 

공공데이터 포털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11956호)』에 따라 개방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Datase

www.data.go.kr

 

1. 작물별 경지이용면적

노지식량작물 중 미곡(벼) 재배면적은 2000년대부터 80%를 넘는다. (2019년 제외) 지금까지 우리나라 농정은 쌀 증산이 목표였고 경지정리도 논에 적합하게 많이 돼 있다. 또 벼농사는 기계화율이 높기 때문에 당연히 면적이 많을 수 밖에 없다. 물론 무턱대로 이 면적들은 밭으로 전환한다고 해도 농업노동인력이 부족해서 제대로 농사를 지을 수 없다.

2. 경지이용현황

경지이용현황이 잘 이해가 안되는데, 2022년을 보면 논 75.8a(0.758ha) 밭 73.6a로 거의 면적이 비슷하다. 밭작물은 0.7ha는 약 2000평으로 한 농가에서 경작하기 적당한 면적이 맞는데 논 면적은 너무 적다. 특히 대형 논이 많다는걸 감안하면 여전히 혼자서 작은 논 한마지기를 농사 짓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고 이해해야 할 것 같다.

3. 연령성별농가인구

이부분이 정말 심각한 문제인데 2022년에 전체 농가 인구의 65%가 60세 이상이다. 65세이상으로 세분화하면 50%나 된다. 반면 앞으로 농업을 지켜나갈 20~49세의 인구비율은 14%에 불과하다. 이는 70년대 31%에서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반대로 60세 이상의 인구비율은 70년대 8%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4. 생산구조

국내총생산에서 농림어업이 미치는 영향은 70년 29%에서 2000년 4.3%로 급격히 감소했고 2022년에는 1.8%이다. 그런데 이런 구조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선진국들은 대부분 비슷하다. https://chongdowon.tistory.com/381

 

농업인구와 생산성 변화

한 나라의 경제가 발달하면 농업에서 제조업 그리고 서비스업으로 업종이 분화된다. 그리고 농업종사자 수는 줄어들고 그 다음 산업의 인구가 증가한다. 농업의 총 GDP는 증가하지만 국가의 전

chongdowon.com

 

한국농업통계.xlsx
0.08MB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