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기후 변화 영향에 대한 캄보디아의 취약성
캄보디아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에 가장 취약한 65개국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국가 경제가 농업, 어업, 관광업과 같이 기후에 민감한 부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기후로 인한 위험에 매우 취약합니다. 증가하는 기후 변화의 위협에는 기온 상승, 홍수 및 가뭄과 같은 극심한 기상 이변의 빈도 및 강도 증가, 해수면 상승 등이 포함됩니다. 캄보디아의 제한된 적응 능력은 취약성을 더욱 악화시키며, 국가 발전에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위험을 초래하고 지역 사회를 기후 관련 손실과 피해의 최전선에 놓이게 합니다. 인구 1,700만 명 이상의 캄보디아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포함하여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예측에 따르면, 상당한 적응 및 완화 노력이 없다면 캄보디아는 기후 변화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2050년까지 약 9.8%의 GDP 손실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캄보디아는 이미 자연재해에 상당한 노출을 겪고 있으며, 취약 계층 가구는 누적된 위험에 직면해 있습니다. 홍수는 캄보디아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입니다. INFORM 위험 지수(INFORM Risk Index)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전 세계에서 홍수에 네 번째로 가장 많이 노출된 국가입니다. 열대성 저기압, 몬순 및 태풍 시즌 동안의 극심한 강우로 인한 돌발 홍수는 지속적인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주요 홍수 사태는 5년마다 재발합니다. 동시에, 표준강수증발산지수(SPEI)에 따르면 전국이 기상학적 가뭄으로 인한 농업 손실 위험에 처해 있으며, 심각한 가뭄의 연간 발생 확률 중앙값은 약 4%입니다. 남부 평야 지역은 특히 취약하며, 대략 5~6년마다 심각한 가뭄을 겪습니다. 메콩강 유역, 톤레삽 분지, 그리고 캄보디아 북서부 지역은 기후 위험에 대한 취약성이 더욱 높습니다. 국립통계원(2022)의 기후 위험 및 빈곤 데이터를 결합한 분석에 따르면, 이 지역의 저소득 가구는 홍수, 가뭄, 폭염 스트레스에 불균형적으로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영향은 농업 생계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하며, 가장 가난한 지역 사회가 반복되는 기후 충격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해수면 상승과 해안 침수는 캄보디아의 17,237 에 달하는 해안 지역에 점차 더 큰 위협이 될 것입니다. 캄보디아의 4개 해안 주에 걸친 해수면 상승은 2050년까지 0.21m, 2100년까지 0.69m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세기 말까지 예상되는 상한 임계치에 가까운 1미터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영구적인 해안 침수는 코콩 주의 약 25,000헥타르의 토지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해수면 상승은 해안 주 전역의 맹그로브 숲과 해양 생태계 손실, 해안 지역 사회의 생계 수단 상실, 농경지 염분화 및 해수 침투, 그리고 주요 기반 시설 및 해안 관광 활동에 해로운 영향을 초래할 것입니다.
캄보디아는 상당한 폭염 스트레스에 직면해 있으며, 도시들은 인공적인 환경으로 인해 더 높은 기온에 직면하는 도시 열섬 효과를 겪고 있습니다. 캄보디아는 연평균 64일 동안 기온이 35°C를 초과하며, 이는 극심한 폭염 노출 상위 23개국에 속합니다. 이는 특히 옥외 근로자, 제조업 종사자, 그리고 취약 계층에게 심각한 건강 및 경제적 위험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기후 관련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캄보디아는 투자 확대와 목표 지향적인 정책 및 전략 실행을 통해 적응 노력을 강화해 왔습니다. 주요 조치로는 기후 회복력이 있고 지속 가능한 농업 관행의 장려, 재생 에너지 개발 투자, 그리고 재난 위험 관리 시스템 및 기후 회복력 있는 기반 시설의 강화 등이 있습니다.
5.2. 적응 조치
캄보디아의 농업 적응 전략은 2035년까지 작물, 축산업, 양식업 전반에 걸쳐 회복력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목표에는 기후 회복력이 있는 작물 품종 개발이 포함되며, 매년 2,000종을 보존하고 농경지의 20%에 고수확 회복성 품종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후 스마트 농업 관행은 농경지의 20%에 적용될 것이며, 30%는 부가가치가 높고 기후 회복력이 있는 작물로 다각화될 것입니다. 96,000헥타르 이상의 수생 생태계가 복원될 것이며, 양식업은 토착종 개량과 344개 공동체 어업 보호구역의 관리 강화를 통해 혜택을 볼 것입니다. 축산업의 경우, 기후 관련 손실을 5% 미만으로 유지하고, 인공 수정을 통해 53,000마리의 소를 출생시키며 22,000헥타르의 토지에서 스마트 사료 관리를 시행할 것입니다. 이 전략은 또한 태양광 관개, 개선된 수확 후 관리 시스템, 확대된 디지털 기후 서비스를 촉진하며, 60만 명의 농민에게 도달하고 국가 식량 안보와 기후 회복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임업 및 기타 토지 이용(FOLU) 부문에서는 통합 경관 관리 및 지속 가능한 임업과 같은 개선된 산림 관리 관행이 산림 회복력을 강화하고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보존 노력은 생산림 내의 높은 보존 가치(High Conservation Value) 지역을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두며, 이는 생물 다양성, 유역 관리 및 휴양 활동을 지원합니다. 또한, 황폐화된 산림 생태계를 복원하는 것은 기후 적응과 생태계 회복에 상당한 잠재력을 제공합니다.
5.1. Cambodia’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mpacts
Cambodia is recognized as one of the 65 most climate-vulnerable countries globally. The national economy is heavily reliant on climate-sensitive sectors such as agriculture, fisheries, and tourism, rendering it highly susceptible to climate-induced hazards. The growing threats of climate change include increasing temperatures, more frequent and intense extreme weather events—such as floods and droughts—and rising sea levels. The country’s limited adaptive capacity further exacerbates its vulnerability, posing an immediate and sustained risk to national development and placing local communities at the forefront of climate-related losses and damages.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17 million, the country has experienced compounding challenges, including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the COVID-19 pandemic. Projections indicate that, without substantial adaptation and mitigation efforts, Cambodia could face a GDP loss of approximately 9.8% by 2050 due to the adverse impacts of climate change. Cambodia is already experiencing significant exposure to natural hazards, with disadvantaged households facing cumulative risks. Flooding is the most prevalent and recurrent natural disaster in Cambodia. According to the INFORM Risk Index, Cambodia ranks as the fourth most flood-exposed country globally. Flash flooding, driven by extreme rainfall during tropical cyclones and the monsoon and typhoon seasons, presents a persistent threat. On average, major flood events recur every five years. Simultaneously, the entire country is at risk of agricultural losses from meteorological drought, with a median annual probability of severe drought at approximately 4%,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The southern plain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experiencing severe drought conditions roughly every five to six years. The regions along the Mekong River, Tonle Sap Basin, and northwest Cambodia face heightened vulnerability to climate hazards. Analysis combining climate risk and poverty data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2022) shows that low-income households in these areas are disproportionately exposed to floods, droughts, and heat stress. These compounded impacts pose significant risks to agricultural livelihoods, with the poorest communities most affected by recurring climate shocks. Sea level rise and coastal inundation will increasingly threaten Cambodia’s 17,237 km2 of coastal zone. Sea level rise across Cambodia’s four coastal provinces is projected to increase 0.21 m by 2050 and 0.69 m by 2100. Permanent coastal inundation from one meter of sea level rise, the approximate upper probable threshold by the end of the century, would affect roughly 25,000 hectares of land in Koh Kong province. Sea level rise would result in a loss of mangrove forests and marine ecosystems across coastal provinces, livelihood of coastal communities, salinization of agricultural land and seawater intrusion, and deleterious impacts to critical infrastructure and coastal tourism activities. Cambodia faces significant heat stress, and cities suffer from urban heat island effect, facing higher temperatures due to the built environment. The country experiences 64 days per year on average with temperatures exceeding 35°C, placing it among the top 23 countries with extreme heat exposure. This poses serious health and economic risks, particularly for outdoor workers, manufacturing employees, and vulnerable populations. To address these climate-related risks, Cambodia has strengthened its adaptation efforts through increased investme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targeted policies and strategies. Key measures include the promotion of climate-resilient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s, investment i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nd the enhancement of disaster risk management systems and climate-resilient infrastructure.
5.2. Adaptation Measures
Cambodia’s Agriculture adaptation strategy aims to build resilience across crops, livestock, and aquaculture by 2035. Key targets include developing climate-resilient crop varieties, with 2,000 conserved annually and 20% of farmland adopting high-yield resilient types. Climatesmart practices will cover 20% of agricultural land, and 30% will be diversified with highvalue, climate-resilient crops. Aquatic ecosystems will see over 96,000 hectares restored, while aquaculture will benefit from improved native species and strengthened management of 344 Community Fishery Reserves. For livestock, climate-related losses will be kept under 5%, with 53,000 cattle born via artificial insemination and 22,000 hectares under smart fodder management. The strategy also promotes solar irrigation, improved post-harvest systems, and expanded digital climate services, aiming to reach 600,000 farmers and enhance national food security and climate resilience. On FOLU, improved forest management practices, such as integrated landscape management and sustainable forestry, are essential for enhancing forest resilience and adapting to climate change. Conservation efforts focus on protecting High Conservation Value areas within production forests, which support biodiversity, watershed management, and recreation. Additionally, restoring degraded forest ecosystems offers significant potential for climate adaptation and ecological recovery.
https://unfccc.int/sites/default/files/2025-08/Cambodia-NDC%203.0_0.pdf
'Cambodia_Gene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캄보디아의 토지 무상양도 보호 프로그램과 SLC (4) | 2025.07.15 |
---|---|
캄보디아 드론 사용 규정 (0) | 2025.04.09 |
캄보디아 건기 공기질 저하의 원인과 해결 (0) | 2025.02.01 |
대표적인 캄보디아 전통음식 놈번쪽 (0) | 2025.01.08 |
프놈펜 신공항과 주변대로 (2)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