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452 캄보디아의 산림 관리 및 목재 거래에 대한 법적 프레임워크 2022/11/17 16:38 매년 캄보디아에서 나는 침향목, 흑단, 자단 혹은 숯을 구매하려는 한국업체들이 문의를 한다. 기본적으로 조림되지 않은 나무, 가공되지 않은 나무는 수출이 불가능하다. 예전에는 대나무는 예외였으나 이제는 대나무도 해당된다. 게다가 내수용 화목이 절대 부족한 상황으로 전국의 산이 황폐해지고 있다. 하지만 고무나무처럼 식재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잘라내어야 하는 임목들은 주기적으로 산지에서 구할 수 있는데, 현재는 화목으로 사용된다. 이하는 "캄보디아의 산림 관리 및 목재 거래에 대한 법적 프레임워크" (구글 번역이므로 이해가 어려울 경우 원문을 보거나 별도 문의 바람) https://www.timbertradeportal.com/en/cambodia/160/legal-framew.. 2023. 3. 17. 캄보디아 채소 증산을 위한 노력 2022/12/05 16:28 페이스북에 쓰다가 오류나서 블로그에 씀. COVID19 봉쇄 기간 동안 캄보디아 식량안보 분야에서 가장 큰 논의는 채소 공급이 아닐까 싶다. 벼 생산량은 진작에 내수 수요의 2배가 넘어 수출 증진이 목표가 된지 오래되었다. 인구 증가와 함께 식습관의 변화로 채소 소비가 늘었지만 여전히 내수 공급은 부족해서 프놈펜 기준 하루 200톤의 채소가 수입된다는 통계가 있다. 프놈펜을 제외한 다른 지역까지 감안하면 당연히 훨씬 많은 양의 채소가 부족하다. 이 때문에 캄보디아 정부는 갖가지 채소 생산량 증대를 위한 정책을 발표했고, 각국 원조기구와 NGO들은 다양한 증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소의 증산은 쉽지 않은데 이는 벼, 옥수수 등의 식량작물과는 다른 재배.. 2023. 3. 16. 지루함의 심리학 2022/12/09 12:40 지루함의 심리학, 제임스 댄커트 외, 비잉, 2022.2.29 (구글북스 구매) 지루함은 현재 상태가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경고이기 때문에 이를 잘 인지하고 활용하면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요지이다. 이 책을 설명하는 한 유튜브에서는 아래 내용처럼 설명을 했다. 친구가 추천해 준 이 유튜브를 보고 책을 구매했다. 초반에는 지루하멩 대해 일상적으로 이해할 만한 수준의 이야기로 지루함의 긍정과 부정적인 측면을 함께 얘기하다 후반에서는 10대의 자기 결정력에 대한 의문을 제시한다. 자기통제력을 발휘새 관심을 쏟을 대상을 찾고 거기에 몰두할 때 주체성이 형성된다. 지루함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주체성을 되찾는 것이 중요하다. 지루함은 행동하라는 신호다. 욕.. 2023. 3. 16. 삼성갤럭시 Z폴드3사용후기 - 부제 : 사지마라 2022/12/29 11:17 폴드라는 새로운 폼팩터를 삼성이 출시하고 1, 2를 지나서 어느 정도 안정되었다는 믿음과 함께 펜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2021년 11월 출시되자마자 예판으로 폴드3를 구매했다. 가벼운 휴대폰 2개를 포개 놓은 듯한 모습과 무게가 익숙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태블릿을 사용하지 않던 나로서는 펼쳤을 때의 넓은 화면이 가장 큰 장점이었다. 외부화면의 좁은 가로화면으로 인한 잦은 오타가 가장 불편한 점이었지만, 새로운 폼팩터에 대한 도전으로는 나쁘지 않은 사용 경험이었다. 문제는 내구성이다. 굳이 이 글을 쓰는 것도 내구성에 대해 말하고 싶기 때문이다. 사용 후 9개월이 되자 내부 스크린의 접히는 부분에 보호 스크린 들뜸이 생겨서 무상으로 교체를 받고, 추가로 배터리와 관련 .. 2023. 3. 16. 이전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