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Cambodia_Agri88

캄보디아 농업 발전에 외부 환경이 미치는 요인 2018/11/08 22:54 인구에 비해 농지가 많고, 한 때의 몰락으로 여전히 많은 농산물을 외부에서 수입하고 있다. 그래서 캄보디아 농업 잠재력은 높고, 특히 벼농사처럼 전국에 광범위하게 농사 가능한 품목에서는 많은 양을 수출하고 있다. 하지만 연간 산물벼 400만톤의 남아도는 벼 중에서 실제로 수출되는 것은 정곡 50만톤 밖에 되지 않는다. 그나마도 중국과 유럽에 대부분이 수출되는데 최근 EU의 캄보디아 농산물에 대한 EBA 혜택 철회와 맞물려 당장 내년 출하시기에 수출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애초에 캄보디아 쌀이 세계 시장으로 수출할 수 있었던 계기는 두가지인데, 동남아시아의 주요 쌀 수출국인 태국에 비해 가격이 낮고, 베트남에 비해 품질이 좋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 가격은 산지 가격 보.. 2023. 3. 30.
캄보디아 농업의 높은 대중국 의존도는 앞으로 어떻게 될것인가. 2018/12/24 22:31 유럽의 캄보디아산 쌀에 대한 관세 부과와 대중국 수출 증대에 관한 문제를 블로그에 좀 적긴 했는데, 쌀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농산물이 중국, 베트남 수출에 촛점이 맞춰져 있어서 문제다. 망고의 경우 불과 4년전 3만ha에서 지난해 12만ha로 면적이 늘었고 대부분 베트남을 통해 중국으로 수출된다. (물론 일부는 싱가폴 중동 유럽으로 수출 된다.) 문제는 중국 남부지방에서 망고 등 열대과일 재배면적이 늘어나면서 캄보디아 수입이 줄고 있는데, 이는 중국과 캄보디아의 망고 수확시기가 겹치기 때문이다. 수확시기가 겹치는 기간에는 망고가격이 폭락하여, Kg당 100원에도 못 미친다. 중국은 수확시기가 겹치지 않는 미얀마를 새로운 시장으로 개척하고 있다.아직은 중국 수요에 부응할 정도.. 2023. 3. 30.
캄보디아 제비집 사업, bird’s nest industry in Cambodia 2019/05/19 21:56 아래에 보이는 조금 기괴한 사진은 제비집을 수집하기 위한 건물이다. 제비만 드나들수 있도록 작은 구멍만 설치하고, 제비가 충분히 집을 지으면 수거해서 판매하는 사업이다. 바닷가나 물가에서 볼 수 있고, 최근에 더 많이 건설되고 있는게 보인다. 프놈펜 포스트의 기사에 따르면, 제비집 생산은 바닷가에 위치한 꼬꽁, 깜폿, 시하눅빌 등에서 4~5층의 건물에서 이뤄진다. 현재까지 공식적인 수출 통계는 없지만, 아시아 등지에 판매된다. 2017년 세척되지 않은 둥지는 600~650불/kg에 판매되었다. 올해는 850~1,100불/kg에 거래되고, 깨끗한 둥지는 2017년 1,500불, 2018년 3,000불에 팔렸다. Cambodia Bird’s Nest Federation (CBN.. 2023. 3. 30.
캄보디아 몬돌끼리 소나무 숲의 진실 2019/06/06 13:29 제목이 조금 자극적일 수 있으나 수많은 억측과 부정확한 정보를 많이 듣던 중 오래됐지만 정확한 자료를 이제야 확인해서 글을 정리한다. 몬돌끼리의 센모노롬에 진입하면 갑자기 열대지역에서는 보기 힘든 소나무 숲이 길을 따라서 엄청나게 보이고, 이 소나무숲은 베트남 국경지역까지 계속 이어진다. 지금까지는 중국이 개발했다, 일부러 조림을 해 줬다. 등의 얘기만 들었다. World Rainforest Movement와 캄보디아 NGO Forum의 자료를 보면, 이 지역의 소나무는 중국 기업의 ELC로 시작되었다. Wuzhishan LS Group이라는 업체는 2004년 법인을 설립하고 같은 해 199,999ha의 소나무 조림지를 센모노롬과 오리응 지역에 ELC로 받았다. ELC자료를.. 2023. 3.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