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Cambodia_Agri88

캄보디아 신선망고의 중국수출 2021/04/28 11:09 2021년 4월 27일 캄보디아 농업부 장관은 본인의 페이스북에 캄보디아 신선망고 중국수출을 위한 중국검역기관의 공식 승인을 발표했다. 캄보디아-중국의 양자간 FTA를 통해 캄보디아는 연간 50만톤의 신선망고를 중국으로 수출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전까지는 VHT, HWT 설비 승인을 받지 못해 수출을 하지 못했다. 지난 2년간 캄보디아의 망고 생산은 중국 수출을 기대로 이전보다 훨씬 증가했지만 갑자스러운 팬더믹 사태와 준비되지 못한 내부 사정으로 수출이 제한되어 망고재배 농민들과 관련 산업종사자들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베트남을 통한 국경 무역으로 많은 물량의 망고가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었는데 국경 봉쇄로 인해 수출이 제한되어 망고 가격의 폭락과 가격 회복이 되지 않.. 2023. 3. 23.
캄보디아 농업생산현황 2020과 분석 2021/06/23 13:12 2021년 4월 발간된 '캄보디아농업국 연례보고서 2020 및 이전의 자료를 분석하면 1. 작물분야 벼 재배면적은 3,404,131ha으로 2019년 보다 75,285ha 증가했다. 벼 생산량은 10,935,619톤이고 자연손실분과 국내수요량을 제외한 잉여벼는 5,922,136톤 (정미기준 3,790,167톤)이다. 지난해 정미 약 60만톤 수출하여 여전히 많은 양의 쌀이 남아도는 것을 알 수 있다. 베트남에서 자스민85와 OM2490의 교잡종인 OM5451품종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베트남 국경 지역에서는 물벼(Paddy)로 수출되는 물량 역시 증가하고 있다. 상업작물(부작물) 재배면적은 986,543ha (옥수수, 카사바, 고구마, 채소, 녹두, 땅꽁, 대두, 참깨, .. 2023. 3. 23.
농지의 국유화 2021/08/02 12:36 생산감소와 가격상승 최근 몇년 사이 국내 축산농가에서 ASF와 AI 등으로 농장들이 어려움을 겪고 생산이 줄었다. 올해 폭염과 겹치면서 축산농장들의 폐사가 이어지면서 이는 시장에서 공급부족으로 인한 가격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 게다가 지난해 이례적인 벼 생산량 감소로 지금까지 100% 초과 달성한 쌀 수급에도 차질이 생겼다. 절대농지면적은 줄어들고 농지의 가격이 더욱 상승하고, 또 고령영농인구가 농업을 포기하면서 그 빈자리를 젊은 농업인력이 대체해야 하지만 귀농이 쉬운 일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농업생산성이 증가하더라도 절대농업인구와 농지면적이 감소하면 그만큼 생산이 뒷받침되기 어렵다. 스마트농장에 줄이어 투자하고 있지만 일정부분은 노동력이 반드시 있어야 하기 때문에 관행농업.. 2023. 3. 22.
Uraria lagopodioides, 캄보디아 야생화 2021/11/05 08:37 Uraria lagopodioides (Linn,) Desv. Ex. Dc. 줄기가 60cm까지 자라는 콩과식물로 해발 900m이하의 남중국,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인니, 필리핀호주 등지에 서식한다. 그 때문인지 영어명은 없고 우리말로도 명칭이 없다. 캄보디아어로는 'កន្ទុយកំប្រុក 껀뚜이 깜쁘록' Medical Plants of Cambodia에 따르면 식물체 전체는 이질, 호흡계통, 류머티증, 발열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참고 http://tropical.theferns.info/viewtropical.php?id=Uraria+lagopodioides 2023. 3. 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