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캄보디아84

캄보디아 유일의 해상 물류항 시하눅빌항 PAS 오랜만에 시하눅빌항을 방문했다. 예전에는 냉장컨테이너 운송이 가능한지 확인을 위해서 항만시설 내 컨테이너용 전력사용 확인차 방문했었다. 이번 방문의 주요 목적은 벌크선 입항 가능한지, 배후시설은 충분한지, 업종에 따라 민원발생 여지가 있을지 등이었다. 결론은 모두 문제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시하눅빌항은 캄보디아 유일의 해상물류항이다. 프놈펜항은 메콩강으로 연결되는 River port다. 벌크선이 입항 가능한 13m이상의 수심을 가지고 있지만 벌크선은 설비 규모의 10% 밖에 사용되지 않고 있다. 주로 컨테이너항으로 사용되는데 상세한 스펙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목적항에서 벌크선이 입항 가능하고 선적과 하역도 가능하다. 또 Tanker도 입항 가능하고 현재 석유제품을 수입하는데 사용된다. ht.. 2023. 7. 2.
캄보디아 농업 통계 공유 (2001년부터) 캄보디아 농업부MAFF의 연례보고서(Annual report) 자료를 10년 이상 취합해서 가지고 있다. 별도로 쌀 수출자료도 함께 가지고 있다. 캄보디아 농업에 대해서 문의가 오면 객관적인 수치를 제공하고 논문을 쓰게 될 경우 활용하려고 가지고 있던 것이다. 물론 논문을 한번 내기도 했다. 혼자 가지고 있던 자료를 공유하게 된 계기는 몇가지 이유가 있는데 우선 데이터개방이다. 생각해보니 나도 항상 캄보디아의 공공데이터 개방에 대해서 문제 삼았는데 내가 가지고 있는 자료를 공유하지 않는 것 역시 같은 맥락에서 웃기는 행동이었다. 두번째는 공유를 통해서 더 나은 방향설정이다. 구슬이 서말이어도 꿰어야 보배라고 했듯이 다양하게 해석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여럿이 고민하면 더 좋을 것 같다. 세번.. 2023. 6. 16.
국제원당 시세와 캄보디아 원당 생산 현황 2023년 1. 국제 원당 시세 (출처 aT 국제곡물시장정보) 원당시세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2018년 360불에서 코로나 직전에 280불까지 떨어졌다. 2018년 이전에 400불까지 올라간 적이 있어서 이 즈음에 캄보디아에도 3곳의 원당공장이 투자되었다. 하지만 낮은 사탕수수 생산량, 국제시세의 하락으로 코로나 시기에 4곳의 공장이 폐업했다. 2. 캄보디아 생산 현황 2018년 캄보디아 3개 원당공장이 총 120,126톤 생산 Rui Feng, Yellow Field, Koh Kong Sugar 등이며 총 5개 공장이 있다. 나머지 2곳은 끄라체의 인도계 공장(KAMADHENU VENTURES), 깜퐁스푸의 Phnom Penh Sugar(10만톤으로 추정됨) 2020년 이후로 이 4공장은 모두 경영 악화로 폐업.. 2023. 5. 3.
아보카도 품종, Variety of Avocado, 캄보디아, Cambodia 2019/10/11 12:49 아보카도는 하나의 종자와 큰 과육을 가진 과일로 500개 이상의 품종이 있다. 나무는 400년 이상 살 수 있고, 원산지는 중앙멕시코 남부지역이다. 최초로 발견된 것은 멕시코 푸에블라 시정촌(Coxcatlán, Puebla, Mexico)으로 기원전 1만년으로 알려져 있다.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는 기원전 5천년 초기에 재배종이 전파되었다. 아보카도라는 말은 아즈텍언어의 "ahuacatl"에서 기원되었는데 '고환'이라는 의미다. 또 모양과 껍질 때문에 '악어배'라고도 알려져 있다. 전세계 아보카도 주요 생산국은 멕시코, 페푸, 콜롬비아, 도미니카공황국, 인도네시아, 미국 캘리포니아이고 95%의 생산량을 차지한다. 대부분 Haas 품종을 재배한다. https://www... 2023. 3.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