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캄보디아84

2021년 캄보디아 쌀 수출 현황 및 농산물 수출 전망 2022/02/13 12:02 2019년 기준 캄보디아 벼 생산량은 10,885,733톤으로 식량, 종자용을 제외하고 남는 양은 576만톤에 이른다. 이 때문에 캄보디아 정부는 100만톤의 쌀 수출이 오래된 목표였다. 2015년부터 쌀 수출량은 급격히 증가하여 2014년 38만톤 2015년 53만톤 2016년 54만톤 2017년 6만톤 2018년 62만톤 2019년 62만톤을 수출했다. 2018년과 2019년에 수출이 주춤한 것은 유럽의 캄보디아, 미얀마산 장립백미에 대한 관세부과의 영향이 있다. 그리고 2020년에는 팬더믹의 영향으로 수요가 급증하여 69만톤을 수출한 뒤, 2021년에는 물류비의 증가 등으로 수출이 다소 감소한 61만톤에 그쳤다. 2022년부터 유럽의 관세부과가 철폐되면서 유럽 수출이 .. 2023. 3. 21.
식민지형 해외농업을 운영하는 중국기업 2022/03/28 19:01 지속가능한 농업을 고민하는 농업인의 한사람으로서 이런 문제는 낯 뜨겁지만 다루지 않을수가 없다. 수탈형, 식민지형 농업이 얼마나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수많은 임금농을 양성하여 오히려 농촌이 피폐해지는 결과를 만들게 되는지 이 사례에서 여실히 알 수 있다. 원문기사는 China wants bananas. Cambodia’s banana workers, exporting mainly to China, are getting sick, blaming the chemicals they use. But no one is listening 를 참고하기를 바란다. https://www.scmp.com/magazines/post-magazine/long-reads/article/317179.. 2023. 3. 20.
2021년 캄보디아 농축수산업 생산 현황 2022/04/13 10:59 아래의 자료는 캄보디아 농업부에서 발간하는 MAFF Annual Report 에서 자료를 뽑았고, 매년 반복해서 말하지만 각 지역에서의 자료취합, 농업부에서 자료취합 과정에 오류가 많다. 특히 보고서 자체에서도 오류가 있기 때문에 100% 신뢰하기 보다는 추세 정도를 읽는다고 생각하면 좋다. https://elibrary.maff.gov.kh/book/623933d233e7d 2019년 현재 캄보디아 인구는 15,552,211명이고 인구당 GDP는 1,561불이다. https://www.nis.gov.kh/index.php/en/12-publications/15-agriculture-census-in-cambodia-2013-final-result 2021년 캄보디아는 총 .. 2023. 3. 20.
캄보디아의 난립하는 은행과 QR코드의 통합 2022/05/16 18:56 코로나 시대를 지나면서 캄보디아도 비접촉이 일상화되었다. 배달전문점과 배달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배달기사는 프놈펜 시내 어느 곳에서도 보일 정도로 많아졌다. 식다에서 밥을 먹더라도 이제는 현금을 주고 받는 일이 줄어들고, 각 은행의 QR코드를 스캔해서 지불하는 비접촉결제 방식이 흔해졌다. 하지만 캄보디아는 국가경제 규모에 비해서 엄청나게 많은 숫자의 은행이 있는데, 캄보디아중앙은행(NBC:National Bank of Cambodia)에 따르면, 43개 상업은행 14개 특수은행(국영은행 1개 포함), 5개의 외국상업은행점포, 74개 MFI 등이 있다. https://www.abc.org.kh/banking-environment 캄보디아 은행현황 이렇게 많은 은행이 있다 .. 2023. 3.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