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0

인류 생존과 가축 2021/09/24 11:36 인간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 계기는 유목 생활에서 정주생활을 시작한데 있다. 유목의 장점은 식량을 지속적으로 구할 수 있지만 반대로 안전한 거처가 없기 때문에 포식자들에게 노출되고 아이를 낳고 키우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초의 집단정주생활은 수렵채취와 함께 되었다고 보는데, 한 곳에 머무르면서 인구가 늘어나게 되자 차츰 농경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잉여 농산물이 제사장 즉 종교의 발달을 유발했다는 과거의 이론과 달리 최근에는 반대로 제사장이 필요에 의해 잉여의 식량을 공급받고, 이를 위해 농경이 발달했다는 이론이 있다. 작물 재배의 시작은 채취하던 식물류 중에 재생산이 가능한 곡물류 위주로 파종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가축의 사양도 비슷하게 이루어져 아마 가장 순한 동물들이.. 2023. 3. 22.
영농형 태양광 발전 2021/10/25 15:37 1. 태양광발전 농업, 장단점 Solar farm이라고 흔히 불리는 농업과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1981년 독일 물리학자에 의해서 처음 소개되었고, 2004년 일본의 나가시마 아키라가 솔라 쉐어링이라는 프로토타입을 도입했다*. 최근에는 Agrivoltaics 또는 agrophotovoltaics라고 한다. 일반적인 경작지 위에 지붕을 만들고 거기에 태양광판을 설치하고, 아래에는 적당한 빛이 투과되어 식물이 자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2030060641489&dbt=NART 초기부터 지금까지 제기되는 문제는 1)농업에 방해된다. .. 2023. 3. 22.
Uraria lagopodioides, 캄보디아 야생화 2021/11/05 08:37 Uraria lagopodioides (Linn,) Desv. Ex. Dc. 줄기가 60cm까지 자라는 콩과식물로 해발 900m이하의 남중국,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인니, 필리핀호주 등지에 서식한다. 그 때문인지 영어명은 없고 우리말로도 명칭이 없다. 캄보디아어로는 'កន្ទុយកំប្រុក 껀뚜이 깜쁘록' Medical Plants of Cambodia에 따르면 식물체 전체는 이질, 호흡계통, 류머티증, 발열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참고 http://tropical.theferns.info/viewtropical.php?id=Uraria+lagopodioides 2023. 3. 22.
캄보디아 기후변화 2021 2021/11/21 22:54 1. 캄보디아 기후현상 캄보디아는 고온의 열대기후로 몬순우기(5~10월)와 건기(11월~4월)의 두 계절로 나뉜다. 몬순우기에는 연중 강우량의 80~90% 비가 내린다. 2의 지역 구분에 따라 지역적으로 강우량은 1400~2000mm로 내린다. 평균기온은 전국에 걸쳐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우기 직전에 32도의 최고 온도를 보이고 우기 중에는 25~27도를 나타낸다. 엘니뇨 현상으로 따뜻하고 건조하게 되고, 라니냐현상은 시원한 공기를 공급한다. 캄보디아 연평균 기온은 25~27이지만 최고 기온은 38도까지 올라가고 최저기온은 17도까지 떨어질 수 있다. 1960년대 이후로 10년마다 0.18도가 상승했다. 건기인 11~4월에는 급속히 상승하여 10년마다 0.20~0.2.. 2023. 3.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