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453

[책]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 구글ebook 2023.4.7 앞의 저서인 경제학강의https://chongdowon.com/212를 읽고 곧바로 읽어서인지 내용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경제학강의에서 강조했던 부분이 과학이론과는 달리 경제학은 한가지 이론으로 설명이 되지 않고 시대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수많은 경제학 이론을 한가지씩 간략히 설명하고 이것들을 섞어서(칵테일)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경제학레시피에서는 18가지 식재료의 기원과 조리법을 설명하면서 경제학이야기를 끌어낸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한가지로만 모든 설명이 어렵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경제학 개념을 천천히 알려주고 있다. 쉽게 내용을 끌어가고 있어서 중학생 조카에게 책을 선물했다. 진보주의 경제학자여서 청소년이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도 있겠지.. 2023. 7. 24.
수수, 단수수, 옥수수 그리고 사탕수수 가끔 식량 관련 번역서를 보다보면 단수수와 사탕수수를 많이 틀리게 해석한다. 영문으로는 각각 sweet sorghum과 sugarcane으로 완전히 다르고 종도 다르다. 네 작물 모두 화본과로 엽형이 비슷해서 어릴 때는 구분이 쉽지 않다. 그리고 단수수는 수수의 한 종류로 줄기의 당도가 높기 때문에 수수와 구분이 어렵다. 수수는 영어로 Sorghum(학명 sorghum bicolor)로 화본과의 잡곡이다. 중국에서 고량으로 불리는데 이걸로 만드는 술이 고량주다. 일전에 식사자리에서 한 분이 고량주를 마시면서 사탕수수로 만들었다고 말한 적이 있었다. 외관이 옥수수와 비슷하지만 다 자랐을 때 알갱이가 아주 작다. 수수 사진출처 https://identify.plantnet.org/ml/k-world-flor.. 2023. 7. 20.
진짜 친환경과 공정무역은 있을까? 캄보디아 불법 벌채에 관한 기사를 보면서 다시 한번 친환경의 의미를 되짚어 보게 된다. (심지어는 기사에 사용된 사진도 잘못된 사진이다!! 기사 중간에 나오는 CJ 공장은 봉제공장이 아니고 사료공장이다. 물론 화목을 사용하지만 기사에 언급된 봉제업과는 무관하다.) https://news.mongabay.com/2023/07/forests-in-the-furnace-can-fashion-brands-tackle-illegal-logging-in-their-cambodian-supply-chains/ Forests in the furnace: Can fashion brands tackle illegal logging in their Cambodian supply chains? KAMPONG SPEU, Cam.. 2023. 7. 13.
책임감과 주인의식 책임감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는 것 같은데 또 느껴서 다시 써 본다. 책임감은 맡아서 해야 할 임무나 의무를 중히 여기는 마음, 주인의식은 어떤 일이든 자기 일처럼 책임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이끌어가는 마음가짐을 뜻한다라고 각각 아래의 링크에서 설명하고 있다. https://ko.wiktionary.org/wiki/%EC%B1%85%EC%9E%84%EA%B0%90 http://www.kimjonghoon.com/sotong/plat_view.asp?seq=1331&id=113 책임감이나 주인의식을 강요받던 시절이 있었다. 결국 돈에서 나온다. 제한된 시간 내에 고용인이 원하는 업무를 정해진 비용을 넘지 않게 일을 마무리하거나 그것이 지나칠 때 그만큼을 피고용인이 감내하는 것이 산업화시대에 노동자들이.. 2023. 7.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