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453

국제원당 시세와 캄보디아 원당 생산 현황 2023년 1. 국제 원당 시세 (출처 aT 국제곡물시장정보) 원당시세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2018년 360불에서 코로나 직전에 280불까지 떨어졌다. 2018년 이전에 400불까지 올라간 적이 있어서 이 즈음에 캄보디아에도 3곳의 원당공장이 투자되었다. 하지만 낮은 사탕수수 생산량, 국제시세의 하락으로 코로나 시기에 4곳의 공장이 폐업했다. 2. 캄보디아 생산 현황 2018년 캄보디아 3개 원당공장이 총 120,126톤 생산 Rui Feng, Yellow Field, Koh Kong Sugar 등이며 총 5개 공장이 있다. 나머지 2곳은 끄라체의 인도계 공장(KAMADHENU VENTURES), 깜퐁스푸의 Phnom Penh Sugar(10만톤으로 추정됨) 2020년 이후로 이 4공장은 모두 경영 악화로 폐업.. 2023. 5. 3.
[책]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장하준,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부키, 구글e북, 2014.7.17 워낙 유명한 경제학자여서 따로 설명은 필요없을 것 같고, 이 책은 제목 그대로 경제학 입문서다. 여러차례 경제학 관련된 책을 잃어 보려고 했는데 매번 용어도 어렵거니와 수많은 이론이 현실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하기 어려워서 끝까지 읽을 수 없었다. 이 책은 처음부터 입문자, 심화학습자 등 수준을 나누어 접근할 수 있게 글을 썼다. 작가의 역량인지 번역자의 역량인지 모르겠으나 문장 자체도 아주 쉽게 읽혀진다. 1장에서는 경제학에 문외한인 사람들이 읽어 감을 잡을 수 있게 설명을 하고 그 뒤로는 심화과정인데 독자의 선택에 맡기고 있다. 글이 잘 읽혀서 어렵지 않게 마지막장까지 읽었다. 이 책이 쉬운 이유는 아주 많은 경제학 이론의 현실적.. 2023. 4. 30.
농업과 온실가스 배출 티스토리에 와서 처음 쓰는 글이다. 오래된 글을 다 옮기고 새 글을 쓰려고 했는데 시간도 많이 걸리고 써 놔야 할 글은 있어서 일단은 뒤죽박죽 되더라고 그냥 써야겠다. -- 누가 뭐래도 농업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주된 산업 중 하나다. 식품을 생산하면서 전체 온실 가스 배출의 35%를 배출한다. 낙농을 포함한 축산업에서 57% 배출하고 인간 소비용 식품에서 29% 그리고 면이나 고무에서 14%를 배출한다. 총식품 생산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다시 나누어 보면 산림개간 29%, 경운과 질소비료 사용 38%, 가축 사육 21%, 그외 11%는 농업재료의 운송과 식품 가공에 사용된다. 식품별 온실가스 배출 비중을 보면 동물성식품 25%, 우유 8%, 돼지고기 7% 쌀 12%, 밀 5%, 사탕수수 2% 지역별로.. 2023. 4. 17.
식량 안보와 농지수탈 2014/07/31 00:57 최근 한국 농업의 큰 흐름 중 하나는 좁은 국내보다 해외에 농장을 개발하여 안정적인 식량을 확보하자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얼마전 여러사람과 이에 관해 얘기를 한 적이 있다. 최근의 국제농업의 한 방향은 강소농을 육성하고, 그 강소농 육성을 위해 전통농업을 되살리자는 흐름이 있다. 한국으로 치면 둠벙문화를 되살려 농지에서도 종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유기물의 순환체계를 갖추자는 것이다. 반면에 이런 흐름과는 달리 개발도상국 농장개발에서는 앞서 말한 것처럼 오직 수탈형 농업이 이루어질 뿐이다. 대부분의 농업 투자자나 기업은 현지에서 땅을 구하고 농사를 짓는 과정에서 환경에 대한 예의는 전혀 갖추지 않는다. 말하자면 농약을 사용하든, 대형 농기계를 사용하든 생산량만 확보하면 된다.. 2023. 4.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