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농업농촌, 기후변환132

생산만큼 유통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 2016/07/14 17:25 왜 지금 시점에서 유통에 투자를 해야할까. 기존의 자료를 확인하면 2000년 초반부터 치어 생산에 필요한 연구시설에 투자를 진행했다. 대부분의 농민은 정보에 취약하기 때문에 원거리에 있는 소비처 즉 프놈펜이나 시엠립의 수요에 대한 파악이 느리다. 따라서 시장 수요에 즉각적인 반응을 할 수 없다. 반면 양식업은 양식장 조성에 1~2개월 출하까지 6개월이 걸리며, 사료 비용 때문에 첫 출하까지 많은 자본력을 필요로 한다.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한 생산시설의 규모화 역시 자본의 한계로 확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시장을 지배할 수 있는 생산자를 육성하기 위해 소규모 양식장을 조합화 하여 출하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 대규모 소비지의 정보를 단순화하고 전파를 쉽게 하기 위해 .. 2023. 4. 10.
개도국농업개발과 우리 쌀 정책 2016/10/01 21:52 농지 사용에 대한 규제 즉 농업생산을 위한 용도의 제한의 관한 법이 또 개정되려고 한다. 농지를 다른 용도를 개발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한다는 목적이지만, 내가 보기에는 땅값 상승을 노린 꼼수일 뿐이고 대부분은 정치인들의 이해관계 (표심이나 본인들의 재산형성 등) 때문으로 생각하는게 맞을 것이다. 이와중에 올해 쌀값은 또 하락하여 더이상 벼농사를 위한 농지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는 것도 한 핑계이다. 이런 말같지도 않은 생각을 하는 이유는 식량자급율이 30%도 되지 않고, 그나마 쌀 100% 자급이 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는 사실을 뒷전에 묻어 버렸기 때문이다. 쌀 생산이 수요에 비해서 과잉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은 맞다. 하지만 농지전용 제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벼농사가 .. 2023. 4. 10.
미국의 농업 보조금 2016/10/24 11:51 원본글 http://grist.org/food/our-crazy-farm-subsidies-explained/ 전세계적으로 농업생산성과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왜 여전히 기아에 시달리는 인류, 국가, 대륙이 있는지 여러차례 얘기했다. 유럽의 농업 선진국도 마찬가지지만 미국의 농업 보조금 사례를 한번 보자. 이미지에서 언급되는 작물은 물, 옥수수, 수수, 보리, 귀리, 목화, 쌀, 대두, 땅콩으로 주요 식량, 유지,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건조만 충분히 이루어지면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것들이다. 2010년 미국은 전세계 옥수수의 32퍼센트 공급했다. 대부분 이런 옥수수들은 식품이 아니라 사료는 바이오연료용이다. 미국의 보조금 정책은 아래와 같다. 미국의 농업보조.. 2023. 4. 10.
우리나라 달걀값과 소비 수준은 얼마나 되는가 2017/01/17 18:49 http://www.nationmaster.com/country-info/stats/Cost-of-living/Prices-at-markets/Egg/Dozen 얼마전 친구의 페북에서 일본의 달걀값을 보고 찾아봤다. 우리나라 달걀값은 2013년 2014년의 가격을 근거로 12개 기준 세계 47위이다. 2.98불인데 3천원이 조금 넘는다. 산란계의 경우 고도의 과학이 집적된 일종의 공장과 같아서 방사형 사육이 아닌 공장형 사육의 경우 국별로 사료값, 유통구조의 차이를 빼고는 가격에 차이를 보이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 그래서 일본과 비교해 보면 0.7불 즉 천원에 가까운 차이가 나는데, 그 이유를 알지 못하겠다. (진심 궁금) 2023. 4.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