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농촌, 기후변환137

나물과 신선채소 그리고 숙주나물 인류가 농경을 시작하면서 얻은 가장 큰 잇점은 탄수화물 섭취에 있다. 고열량의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면서 부드러운 턱을 가지게 되고 대뇌가 발달하게 되었다. 하지만 현대인은 운동량이 부족하게 탄수화물을 과다 섭취하면 갖가지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밥상 위에 채소를 많이 올리라고 조언을 하곤 한다.베트남의 수도 하노이 보다 더 북쪽 지역으로 갔더니 호박줄기를 볶은 반찬을 자주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특이하게 무, 당근, 동과 등을 길게 썰어서 데친 것을 상에 올려주었다. 땅콩과 소금을 섞은 것을 찍어 먹었다. 열대기후 지역에서는 연중 신선한 채소나 과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채소에 대한 고민이 적을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겨울이 있기 때문에 겨우내 신선한 채소를 얻기는 매우 힘들다. 그 대안으로 나온.. 2025. 6. 2.
우리나라 농업위성과 활용 1. 필요성유럽의 마젤란이나 갈릴레오, 미국 나사의 다양한 위성으로 농업, 임업 분야에서 원격조사를 많이 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해양 표면의 온도 등을 측정해서 기상을 예측하고 농업생산과 전망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천리안위성으로 산림분야에서는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해외 위성을 통해서도 정보 분석은 가능하다. 하지만 독자적인 위성을 가지게 되면 더 많은 정보를 받아볼 수 있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분석도 가능해진다.국내 농업 국한으로 하면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으나 해외농업이나 산림업 진출을 위해서 사전조사를 할 때 상당히 유용하다. 또 내가 자주 강조하는 부분인데 우리가 지금 가 보지는 못하지만 언젠가는 협력해야 할 북한 농업을 책상 앞에서 분석하기에도 아주 유용하다.위성이 발달하지 않았던.. 2025. 5. 5.
캄보디아 봉제산업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실천 참고한 보고서는 GGGI가 2025년 발간한 Sustainable Energy Practices in Cambodia’s Garment Industry: An Energy Audit Study 이다. 캄보디아 봉제산업은 의류, 신발, 여행용품 제조업을 통칭한다. (GFT: Garment, Footwear & Travel Goods) 캄보디아의 봉제산업은 매우 중요한데 2024년에 약 92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했고, 전세계 GFT제품의 1.4%를 생산(110억 달러)한다. 이 산업의 비용구조는 원부자재 45-50%, 인건비 32-38%, 에너지 3%, 기타비용 10-14%, 이익 0-12%로 구성된다.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에너지 3% 때문인데, 많은 봉제공장에서 주 연료로 화목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2025. 4. 30.
세계 자포니카 쌀 시장 현황과 우리 정책 방향 1. 서론: 우리나라 쌀 생산 정책의 한계일본의 쌀 부족 사태와 동남아 지역의 자포니카 벼 재배 시도를 보면 우리는 농업 정책이 너무 국내 요소에 국한되어 만들어지는 것 같다.우리나라 쌀 정책은 추곡수매제에서 공공비축제로 전환되었고, 동시에 쌀소득보조금에서 공익직불금으로 바꼈다. 쌀 생산이 부족하고 균등하게 보급하기 위해 정부는 추곡수매제를 통해 쌀을 매입해서 다시 시중에 판매했다. 쌀 소비가 감소하고 수급이 안정되면서 공공비축제로 바꾸어 일정 분량을 보관하고 있다가 다시 시가로 방출하는것이 공공비축제다. WTO체제에서 직접 보조금을 주는 것이 제한적이어서 생긴 것이 벼 재배 농가의 소득 보전을 위해 만든 제도가 쌀소득보조금이고, 농업의 공익기능을 인정하여 보조금 제도를 변형한 것이 지금의 공익직불금이다.. 2025. 4. 24.
기후변화와 식량은 비용으로 직결된다. 1. 일본 레이와 쌀 소동일본의 레이와 시대인 2024년 8월부터 지금까지 쌀이 부족하고 가격이 폭등한 현상을 말한다. 기후위기, 정책실패, 수요증가 등의 이유와 관세장벽, 자포니카 쌀 소비 등의 부가적인 문제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일본이 캄보디아에서 자포니카 벼 재배에 꾸준히 투자하는 큰 이유이기도 하다.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수요보다 공급이 많기 때문에 수급은 안정적이고 2025년 4월 대일무역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일본으로 쌀이 수출됐다.(캄보디아의 자포니카 쌀 https://chongdowon.com/520)우리나라와 일본은 특히 쌀에서 민감한데 벼농사 인구가 많고 이 농민들이 선거 때 표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물론 주식이 쌀이고 특히 양국이 자포니카 쌀을 소비하기 때문이다. 아마 인디카 쌀.. 2025. 4. 21.
글로벌 식품 시스템의 5가지 주요 변화 동남아시아 주요 쌀 수출국인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는 아세안 국가에 대한 수출 비중도 높지만 유럽과 아프리카 수출 비중도 높다. 유럽국가들의 인구감소로 수요는 감소하겠지만 반대로 고급미(premium rice)의 수요는 증가한다. 반증으로 캄보디아 쌀 수출의 70%는 톤당 900불 대의 고급미이다.아시아 지역의 축산물 수요 증가는 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급격한 성장을 이뤄내고 있으나, 문제는 지역내에서 사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이다.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내수 생산기반이 갖춰진다 하더라도, 기존 식량 생산 기반과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점진적으로는 식량 공급 가격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비만 등 성인병의 증가와 함께 미용, 보험 산업이 동반 성장하고 건강기능식 시장도 함께 성장 가능하.. 2025. 4. 3.
선진국에서 만들어진 기술을 개도국에서 쓸 수 있을까 프놈펜에서 1시간 정도 떨어진 껀달지역은 채소재배를 많이 한다. 프놈펜의 배후지의 장점을 고스란히 활용하고 있는데, 농지가 넓어 지대가 낮고 바싹강, 메콩강 등이 양쪽으로 흐르고 있어 물 공급이 용이하다. 프놈펜과 가까워 농촌인구의 유출이 심각하긴 하지만, 반대로 가까운 만큼 농산물의 운송이 유리하다.우리나라는 볏짚을 대부분 소먹이 조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대형베일러를 사용한다. 원형은 한 개당 400kg이상이 나가고 사각형도 20kg이 훌쩍 넘는다. 그러다 보니 원형베일러를 가동하기 위한 트랙터는 50마력은 예사고 100마력 이상도 많이 사용한다. 사각베일러는 50마력에서도 가능하지만 더 큰 트랙터를 많이 사용한다. 이렇게 대형베일을 만들다 보니 운반을 위해서 트랙터의 전방유압장치를 로더로 많이 사용한.. 2025. 3. 20.
캄보디아 농업은 수평적으로 성장할까 수직적으로 성장할까? 캄보디아 농업은 수평적으로 성장할까 수직적으로 성장할까? 어제 스마트농장 관련 글에서 캄보디아 농지의 한계를 조금 얘기했는데, 세계 어디에도 발생하는 똑같은 문제다. 인간사회는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으로 산업이 발달하고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농업과 제조업을 국외에서 아웃소싱한다. 국내산업에서는 서비스업의 총생산 비중이 높아지게 된다. 지금 미국과 중국이 경쟁하고 있는 분야가 이 지점이다. 아웃소싱으로 일거리가 부족해지고 고용지표가 나빠지면서 리쇼어링을 실시하지만, 1차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하고, 노동의 질이 나쁘며 국내 인건비가 너무 높아서 리쇼어링을 하더라도 매력적인 일자리는 없다. 아웃소싱을 하면서 식량의 생산기지가 된 국가들은 가공되지 않은 농산물은 많이 공급해야 하므로 단위면적당 생산성을.. 2025. 2. 28.
한국과 일본의 쌀 용도별 사용량 비교 1. 주식 소비한국: 한국에서는 쌀이 주식으로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밥은 거의 모든 식사에서 중심이 되며, 특히 백미(흰쌀)가 주로 소비됩니다. 한국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약 60kg 정도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서구화된 식습관의 영향으로 쌀 소비량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입니다.일본: 일본도 쌀이 주식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최근 몇 년간 1인당 쌀 소비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일본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약 50kg 정도로, 한국보다 약간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빵, 면류 등 다른 주식의 소비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용도한국일본1인당 연간 쌀 소비량약 56.7kg(2022년 통계청)약 50.8kg(2022년 농림수산성)주식용 비중약 70%약 60%가공식품용약 2.. 2025. 2. 23.
향후 10년간 세계 쌀 가격 전망과 캄보디아 대응전략 1. 캄보디아 2024년 쌀 수출 현황캄보디아는 2024년 651,522톤의 정미를 수출해서 4억 9119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총 57개 수출업체가 68개 국가에 수출했으며, 이 중 EU는 327,156톤(2억 5,318만 달러), 중국(및 홍콩, 마카오)은 117,925톤(7,566만 달러), 아세안 국가 127,076톤(9,270 달러)를 수출했다. 전체 수출량 중 향미는 76.15%, 백미 18.7% 파보일드 3.1% 유기농 1.78% 등이다. 그리고 도정이 안된 산물벼 5,180,155톤(14억 9600만 달러)를 수출했는데 대부분 베트남으로 수출되었다.2. 향후 10년간 글로벌 쌀 가격 전망 (RaboResearch Food & Agribusiness)1) 상위 9개 수출국의 STU(사용가.. 2025. 1.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