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업농촌, 기후변환132 댐 건설, 메콩강 수위변화 그리고 기후변화 2012년에 캄보디아 기후변화에 대해 쓴 글이 있다. http://chongdowon.com/5704224 1990년부터 2010년까지의 프놈펜 기상자료를 취합해서 세계기후변화의 추세와 비교했던 글이다. 그 이후에 캄보디아 기후변화는 매우 심각해져셔 농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은 강우형태의 변화가 가장 심각한 문제일텐데, 연간 강우량은 여전히 1200~1400mm로 변함이 없지만 연중 강우일수는 많이 줄어 들었다. 집중호우가 늘어나면서 농지가 더이상 버티기 어려운 상태가 되었다. 메콩강협의회 Mekong River Commission에는 메콩강 유역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는데, 2019년 12월의 기사를 보면 기후변화보다 메콩강의 댐 설치가 강의 수위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한다.. 2023. 3. 29. 플랜테이션, 대규모영농, Large scale farm, Plantation 2020/04/11 14:32 국내에는 영농규모가 작아서 상업농이라고 구분되는 면적이 작물마다 다르지만 5ha이상으로 보는 것 같다. (이 부분에 대해 명확한 자료를 찾지 못했지만 농진청의 보도자료를 참고 https://www.rda.go.kr:2360/board/board.do?mode=view&prgId=day_farmprmninfoEntry&dataNo=100000062038 ) * http://www.fao.org/3/a-i6858e.pdf Defining small scale food producers to monitor target 2.3. of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AO 에서는 지역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5ha 미만을 Small sca.. 2023. 3. 29. 식량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2020/04/20 13:18 COVID-19가 지구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인터넷에서 꾸준히 올라오는데, 인간의 왕래와 생산활동이 줄어들자 대기는 깨끗해지고, 야생동물들이 더 자유롭게 인간의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다. 인간의 식량 생산을 위해 많은 자원이 소모되고, 지구환경에도 나쁜 영향을 준다는 보고서와 논문은 매년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 자료는 그래프를 통해 순차적으로 인간이 얼마나 많은 지구자원을 이용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또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인간의 노력은 무엇인지 아주 간략하게 보여 주고 있다. 가까운 곳에서 생산된 식품 이용, 축산식품을 적게 섭취. https://ourworldindata.org/environmental-impacts-of-food 식량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2023. 3. 29. 농업 이해하기 2020/06/01 22:22 한 지역의 농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농학이나 농경제가 아니라 지역의 역사나 문화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 농학에는 생물학, 재배학 등 기르는 행위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지식을 전달하지만 지금과 같은 기후변화의 시대에서는 같은 지역에서 똑같이 전달되는 농학적인 지식조차도 현장에 맞지 않을 수 있다. 한반도의 농업이 급격히 성장하게 된 계기는 논농사, 치수사업, 축경, 화학비료, 농업기계, 대형화 등으로 볼 수 있다. 농업용수를 위한 관개수리시설이 지금처럼 고도화되지 않았을 땐 둠벙이라는게 용수를 공급했다. 일종의 작은 연못으로 용수 공급은 물론 새우같은 민물고기도 공급했다. 충청도지역에는 이 민물새우(둠벙새우)를 재료로 한 요리도 있다. 이렇게 둠벙은 논에 필요한 용수 뿐만.. 2023. 3. 29.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