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도발과 생각들69 급속한 현지화는 오히려 망조 2019/09/12 12:59 캄보디아에서 창업하는 많은 한국과 외국 식당들을 보면 드는 생각은 한가지이다. 너무 급속한 현지화는 망하는 지름길이다. 현지에 사는 외국인들은 주인이 외국인인 식당이 생기면 맛은 물론, 서비스도 그 나라 수준에 걸맞기를 원한다. 예를 들어 한식당에 가면 김치찌개, 된장찌개가 기본 메뉴에 있는건 당연한 일이고 서비스가 칼같이 빨라야 한다. 스테이크를 먹으러 가면 현지 식당처럼 플라스틱 접시가 아니라 도자기 그릇에 음식이 나오길 기대하는 것이다. 또 오래 거주한 사람들은 현지어로 주문도 가능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모국어 또는 영어 주문 가능을 기대하고 외국식당에 가기도 한다. 배달을 하는 한식당의 경우 여러번 겪은 일이지.. 2023. 3. 29. 캄보디아 화재 피해와 개선 2020/02/08 09:52 캄보디아 전체산림면적은 1973년 국토의 72%였다. 2014년에는 48%로 감소해서 총 8,660,152ha로 크게 줄어 들었다. 이 중에서 밀림은 42%에서 16%로 전체 산림면적의 감소보다 줄어드는 폭이 크다. 밀림은 대개 지구의 허파 역할을 하며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서 산소를 내뿜어주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종의 다양성 보존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캄보디아 산림면적의 감소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는데, 한가지는 대규모 영농을 위한 개간이다. 종의 다양성은 해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똑같이 이산화탄소를 동화하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의 화전도 조금은 다르지만 여기에 분류해야 할 것 같다. 두번째는 불법 벌.. 2023. 3. 29. 플랫폼 일자리 유튜브시리즈 중에 "Liza on Demand"라는 코메디프로그램이 있는데 여기의 주인공 Liza는 여러가지 플랫폼 일자리 즉 우버택시, 배탈, 심부름 등의 일을 쉬지 않고 한다. 아직 삶의 정체성을 찾지 못했다는 전제와 성장과정을 재밌게 풀어가는 이야기지만, 예전 드라마에서 보여주던 시급형의 파트타임 직업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한국에 살고 있지 않아서 우리나라도 얼마나 많이 플랫폼 일자리가 생겼는지는 체감하지 못하고 있지만 본업 외에 카카오택시나 쿠팡 배달을 하는 사람들의 후기가 꾸준히 인터넷에 올라오는 것을 보면, 이미 일상생활에 흔해졌는지도 모르겠다. 내가 경영이나 경제학에 관심이 없고, 내가 종사하는 일자리가 아직까지는 AI대체 불가능하며 플랫폼 노동인력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분야다. 그래.. 2023. 3. 29. 농촌지도사업과 농업부문 ODA, 농업 협력 2020/05/01 12:18 ODA나 국가간 농업협력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끝도 없을 것이고, 이 부문에서 농촌지도사업의 역할과 우리나라 농촌지도사업의 우수성을 좀 생각해 볼까한다. 오래전이지만 코이카 봉사단원으로 활동할 때는 잘 몰랐었는데, 우리나라 농업분야 ODA는 농촌지도 성격의 업무들도 포함돼 있긴하다. 요즘에는 Agriculture extension service라고 별도의 사업계정이 있기도 하다. 그런데 실제 업무가 이뤄지는 과정에서는 우리나라의 강점인 농촌지도사업 또는 조직활동을 제대로 반영 못하는 것 같다. 우선은 국가마다 문화가 다르고 그들만의 조직문화가 있기 때문에 흔히 말하는 우리의 새마을 정신, 즉 스스로 주변을 가꾸고 힘들여 일하는 개념이 없을 수 있다. 캄보디아에서 내가 진행했던.. 2023. 3. 29.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