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도발과 생각들69

책임감과 주인의식 책임감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는 것 같은데 또 느껴서 다시 써 본다. 책임감은 맡아서 해야 할 임무나 의무를 중히 여기는 마음, 주인의식은 어떤 일이든 자기 일처럼 책임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이끌어가는 마음가짐을 뜻한다라고 각각 아래의 링크에서 설명하고 있다. https://ko.wiktionary.org/wiki/%EC%B1%85%EC%9E%84%EA%B0%90 http://www.kimjonghoon.com/sotong/plat_view.asp?seq=1331&id=113 책임감이나 주인의식을 강요받던 시절이 있었다. 결국 돈에서 나온다. 제한된 시간 내에 고용인이 원하는 업무를 정해진 비용을 넘지 않게 일을 마무리하거나 그것이 지나칠 때 그만큼을 피고용인이 감내하는 것이 산업화시대에 노동자들이.. 2023. 7. 13.
부산물과 축산 요약 1. 싼 고기를 먹기 위한 밀식 축사에는 더 많은 사료가 공급되어야 한다. 2. 돼지 한마리는 생각보다 많이 먹는다. 3. 캄보디아는 여전히 인당 섭취 열량의 수준이 낮고(2018년 기준 세계 134위) 식탁에서 부산물이 나올 여지가 적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food_energy_intake List of countries by food energy intak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ap of average daily dietary energy availability per capita in 2006–2008.[1] no data 2023. 7. 4.
상상과 예측 그리고 기본소득 상상은 인간만 가진 능력이다. 상상할 수 있기 때문에 내일에 대한 불안감이 있고 미신과 종교의 의지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상상할 수 있기 때문에 내일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상하고 예측하기 시작했다. 농경이 시작된 계기도 수렵채집으로는 부족한 식량을 채우기 위해서였다. 농사의 기술이 발달하게 되면서 도구를 사용하고 가축을 이용하게 되면서 노동력의 활용은 비약적으로 증가했지만 여전히 날씨라는 변수를 이겨낼 수는 없었다. 집권세력은 온갖 미신, 주술을 동원하여 비가 내리게 하거나 멎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 인간의 특성과 높은 농업생산성에 대한 요구에 따라 기상을 관측하여 농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 연중 비가 오는 날, 비가 오는 양 그리고 해가 뜨는 시간과 지는 시간 또 낮의 길이를 정확하게 기록.. 2023. 6. 14.
음식에 대한 감사함 올해도 애플망고를 생산하면서 일반판매를 하기도 하고 지인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했다. 대부분은 아주 고맙게 받아들이지만 가끔은 삐딱한 시선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그래서 농산물은 가급적이면 잘 나누어 먹지 않게 된다. 어떤 사람은 싫어할 수도 있고, 혼자가 다 먹지 못할 수도 있어서 받았다가 짐이 되고 쓰레기가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감사히 받을 생각이 없으면 거절하는게 맞다. 그런데 이렇게 쉽게 받는 농산물이 어떤 과정을 거치고 내 손에 들어온 만원의 가치가 실제로는 얼마나 더 큰 가치가 있는지 알면 쉽게 받은 것을 하찮게 생각하지는 못할 것이다. 1. 대략적인 농산물 유통단계 동물과 식물을 나누어서 계산해 보자. 1)소는 농가에서 판매될 때 계근을 하고 중량으로 판매된다. 예를 들어 소가 1,000kg.. 2023. 5.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