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Cambodia_Agri88 케이폭, Kapok, Cotton tree 2022/04/20 12:18 캄보디아에서 길을 가다보면 뜬금없이 나무에 흰색 덩어리가 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영어로 Cotton tree 목화나무라고 불리는 Kapok 케이폭 나무다. 캄보디아 주요 섬유작물 중 하나로 흔하지만 집중적으로 생산되는 것은 아니어서 황마나 목화, 실크처럼 생산량이 통계로 보고 되지는 않는다. 생산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주로 가정 내에서 배게, 방석 등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또 초본성인 목화와는 달리 나무로 영년생이기 때문에 매년 수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반면 나무에 메달리기 때문에 수확와 수집이 쉽지는 않다. 케이폭은 쌍떡잎식물 아욱목 목화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아메리카 열대지방 원산이며,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에 퍼져있다. 높이는 17~30m에 달라고 가지가 수평으.. 2023. 3. 20. 캄보디아 젖소농장, Dairy farm in Cambodia 2022 2022/05/25 13:15 0. 요약 :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경제도 성장하고 있지만 먹거리의 다양성은 여전히 취약하다. 성인들은 더 좋은 먹거리를 찾기 위해 부족한 물고기 대신 육류 소비를 늘리고 있다. 성인과 함께 영유소년도 유제품을 많이 소비하지만, 냉장유통의 한계로 신선유의 유통 보다는 가공유, 우유 발효제품의 운송이 용이하다. 반면 코로나가 지나가고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관광객이 다시 들어오면 각종 유제품의 수요가 동반하여 폭증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내수 생산 가능한 젖소는 1,000두 이내로 여전히 부족하여 많은 양의 유제품을 태국, 베트남에서 수입하고 있다. 낙농업이 더 성장할 기회는 있지만 농장에서 소비지까지 얼마나 신선하게 운반하고, 가공유 수입을 어떻게 대처할지가 관건이다. 1... 2023. 3. 20. 캄보디아 마카다미아 생산과 세계 소비량 2022/06/27 15:36 1. 캄보디아 마카다미아 특정한 집단의 농작물들은 재배환경이 비슷하다. 카사바, 밀, 옥수수, 대두 등 혹은 커피, 후추, 캐슈넛, 고무 등. 그래서 농민들은 작황과 시황에 따라 작물을 바꾸는데 앞에 언급한 작물들은 최대 1년이지만 뒤에 언급한 작물들은 최소 3년 후에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종을 바꾸는 것은 큰 결정이 된다. 최근 시장상황이 바뀌면서 캄보디아에서는 약 10만ha의 캐슈넛 나무가 베어졌다는 기사가 있었다. 주 수출국이던 베트남의 수입이 감소한 여파도 있고, 농촌인구가 감소하면서 노동력 투입 대비 단가가 낮은 작물을 포기하게 된 것이다. 캄보디아에서 캐슈넛과 고무를 대체하는 작물은 코코넛과 마카다미아로 바뀌는 모습이 보인다. 1) 라타나끼리 마카다미아 202.. 2023. 3. 20. 캄보디아 농업 노동력 환경의 변화 2022/07/21 15:15 다른 자료들을 보다가 생각나서 정리하는데, 농업부문 고용은 8억 7천만 명이지만 전체 지역에서 농업 고용 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반면 저소득 국가에서는 인구의 63%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저소득 국가의 농업종사자 90%는 농업 생산에 참여하고 나머지는 농업서비스 부문에 종사하고 있다. 캄보디아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농업 인구는 2019년 35%이다. 150만 호의 농가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농업 인구 중 작물생산을 위한 농업회사에 종사하는 인구는 이 비율보다 적을 것이다. 1600만 명의 인구 중 수도인 프놈펜 거주자는 157만이고 주요 농업 지역인 바탐방의 거주 인구는 15만 명으로 10%가 채 안된다. 결론적으로 농지 면적은 더이상 늘어나지 않고.. 2023. 3. 17. 이전 1 ··· 17 18 19 20 21 2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