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453

캄보디아] 달걀, 오리알, 거위알 2017-04-04 19:30:49 많은 동남아지역이 마찬가지일텐데, 캄보디아의 식문화도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아래 사진은 시장에 팔리는 A:절인오리알, B:달걀, C:거위알 이다. 사진에는 없지만 메추리알과 갈색 달걀도 당연히 있다. 핑크색알이 뭔지 몰라서 오늘 찾아보니 Hard Boiled then Pickled Ammonia Duck Egg 라고 하는데 그냥 피단 같다. 아무래도 핑크색 오리알이 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에 하나를 사 봐야겠다. 두번째 사진은 검은 재에 코팅된 오리알이다. 염장된 오리알에 진흙물을 바르고 검은 재로 입힌 것으로, 출하 2주 뒤에 먹으면 오리알의 수분이 제거된다고 한다. 함압단咸鸭蛋 이라고 부르는게 맞는지 모르겠다. 죽을 먹을 때 넣어 먹는 것으로 주는데, 아.. 2023. 8. 28.
개발도상국의 농업투자 유치 2017-06-21 11:25:10 캄보디아는 주변국의 지형과는 조금 다르게 북부 산악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뚠레삽을 중심으로 평탄하고 낮은 지형이다. 이와 함께 근대식으로 발전하던 60년대 이후 산업발전이 매우 더디게 진행되다 보니 아직 개간할 여력이 남은 농지나 산림이 많다. 그래서 농장의 대형화하기에 유리한 조건이다. 이 때문에 캄보디아 정부는 (지금은 중단되었지만) 농업에 대해서 ELC라고 하는 토지경제적 양여권을 부여해, 농업투자를 활성화시켰다. 중국은 남중국해를 포함한 동남아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라오스,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에 열심히 직간접의 투자를 하고 있다. 당연히 캄보디아에도 해마다 많은 투자를 하고 있어서, 현재 연간 ODA 총액으로는 중국이 1위를 차지하고 있.. 2023. 8. 28.
캄보디아 음식의 기원과 종류 2017-07-07 15:51:45 농업을 공부하다 보면 당연히 음식이나 식재료에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 한식은 식재료를 볼 때 대부분 중국을 통해 유입된 것이 많다. 캄보디아는 태국, 베트남, 라오스와 국경을 맞대고 있고 근대 이전에는 태국, 베트남과의 국경선이 여러번 바뀌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다. 또 인도의 영향과 중국, 프랑스의 영향도 받았다. 중국은 13세기부터 이주해서 살기 시작했는데, 프랑스 식민지 시기에 이주가 급격히 늘어났다. 특히 프랑스 식민지 시절을 거치면서 베트남이나 라오스와 비슷한 식문화인 바게트 빵을 활용한 음식들이 똑같이 존재한다. 프랑스는 맥주, 버터, 빠떼pâte, 커피, 초콜릿, 양파, 당근, 브로콜리, 감자 외 동남아에서 생산되지 않던 식자재들을 캄보디아에 전했다.. 2023. 8. 28.
농업생산과 배후 산업의 발전 속도 2017-08-21 16:47:20 요약 전통적으로 농업에서는 기상을 최대 과제로 보았고, 고대부터 비를 부르고 멈추게 하는 제사장들이 권력을 가졌다. 현대에 있어서는 기상 뿐 아니라 식탁까지 원활하게 가져다 줄 배후산업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캄보디아 망고를 예로 보면, 지금까지 캄보디아 망고는 여러가지 이유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에서 망고 농장이 개발되기 시작었고, 주변국 수요 증가로 저가의 고품질 망고를 중간 유통상인이 매입하여 육로로 신선망고 판매했다. 최근에는 냉동, 건조 등의 새로운 수요가 생겨 가공공장이 설치되고, 가공상품이 유통되고 있다. 앞으로는 국제 수요에 맞춰 항공, 선박을 통한 신선망고 유통으로 고부가가치를 얻는 한편 자체 상표와 국제 표준 품질관리를 통해 글로벌 수요에 대응할 필요.. 2023. 8.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