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9

하노이 여행 2023년 1월 2023/01/13 11:56 짧게 시간을 내서 하노이와 하롱베이를 다녀왔다. 1. 하노이 : 동쑤언과 도매시장을 방문했다. 과일 구성은 프놈펜과 크게 차이가 없는데 품질이 좀 더 좋다. 캄보디아 망고로 보이는데 가격은 1.5불 최근 중국배가 많이 들어오면서 한국배는 도매시장에서 빠지고 프리미엄.시장으로 옮겨갔다고 한다. 북베트남이 원래 중국의 지배를 받았고 지리문화적으로 남베트남 보다는 중국에 가까워 유사성이 있다. 기후로는 열대 보다는 아열대에 가깝기 때문에 한지성 작물들이 유망하다. 의외로 소가 많이 보이지 않고 브라만도 보이지 않는다. 기후로 볼 때 축산업도 미래가 있어 보인다. 호안끼엠 호수를 주변으로 관광객이 많이 머무르고 상업지구는 멀리 떨어져 있다. 그래서인지 호안끼엠 인근은 금토일에는 길.. 2023. 3. 16.
지리의 힘2 2023/01/16 20:10 지리의 힘2, 팀 마샬, 사이 2021, 교보전자책 지리의 힘은 1권도 마찬가지지만 특별히 요약할 내용은 없다. 나라별로 역사속에서 지리가 주는 힘과 흥망성쇠를 다루고 있다. 이번 책에서 작가의 결론은 마지막 챕터인 '우주까지'에 있어 보인다. 산업혁명 이후로 불과 200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지구는 인구증가와 온난화로 몸살을 겪고 있다. 지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과학기술은 부단히 노력하고 있지만, 시계를 100년 뒤로 돌리지 않고서는 어쩔 수 없이 더 많은 자원을 캐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밖에 없다. 환경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쓰려고 하지만 결국 태양광패널이나 풍력발전기의 부품들도 땅속에서 나온다. 땅을 파헤치지 않으려면 우주로 나아가야 하는데, 이제는.. 2023. 3. 16.
농업과 AI 2023/01/19 11:40 지구의 인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거기에 맞춰 식량도 증산해야 한다. 처음에는 화학비료로 폭발적인 생산량의 증가를 이끌어 냈고, 그 다음에는 육종을 통해 병해충을 줄이고 생산량을 늘렸다. 이제는 더 많은 면적을 개간하여 농지를 늘리면서 수평재배가 아닌 수직재배를 하면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농장이 대형화되면서 농업용대형트랙터를 많이 쓰게 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더 크고 효율적인 장비가 필요하게 되었다.당연히 인력을 적게 쓸 수 있는 방식인 자율주행트랙터 개발이 한참이다. AI는 자율주행 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품질을 판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오늘 두가지 사례를 찾아왔는데, 하나는 사진촬영을 통해 수확 후 품질관리를 하는 앱이고 또 하나는 바코드를 식별하고.. 2023. 3. 16.
비료, 금리 그리고 농업생산성 2023/02/10 12:41 기상이변이 많아지면서 농업도 예측하기 더 어려워지고 있다. 농업예측은 미래를 점치는게 아니라 공급 예측을 통해 안정적인 먹거리 공급과 분배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우러 전쟁의 여파로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면서 비료와 경유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에너지는 수요 감소와 공급선의 안정화로 가격이 점차 하향 그래프를 그리고 있지만 비료는 질소비료를 제외하고는 여전히 높은 모습이다. 1. 비료 출처 : 월드뱅크 블로그 https://blogs.worldbank.org/opendata/fertilizer-prices-ease-affordability-and-availability-issues-linger 2022년 초 정점에 비해서는 완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원인은 유럽.. 2023. 3. 16.
어쨋든 부모로부터 받았다. 2023/02/11 15:17 부모로부터 많은 것을 물려 받는데 육체, 생활환경, 금전, 사고 방식 등 그 중에서도 객체를 크게 결정짓는 것은 유전형질이다. 한 때는 남들보다 적게 가진 것에 대해 불만이 있었고, 물려 받을게 있기는 커녕 남은 빚을 갚아야 할 수도 있는 상황이 싫었다. 그 상황이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지금 안정적인 현실을 웃고 웃으며 살 수 있는 것 역시 부모로 부터 육체와 함께 유전형질을 받아서이다. 해야 하는 업무 중 크게 차지하는 것이 망고농장 관리인데 보통의 한국사람이라면 평생 겪을 수 없는 규모의 농장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나는 망고와 같은 옻나무 알러지가 있는데, 이건 엄마와 같다. 매년 망고 꽃이 피는 시기가 두번 돌아오는데 해마다 두번 극심한 알러지 때문에 일주일씩 고생한다. .. 2023. 3. 16.
캄보디아 시장현황 2022년 12월, 서울 물가 비교 2023/02/20 16:17 최근에 코로나로부터 여행이 자유로워지면서 한국에서도 많은 관광객이 캄보디아를 방문하고 있다. 그러면서 한달살기에 도전하는 사람들도 간혹 보인다. 자연스럽게 물가를 비교하면서 물가가 비싸다, 그래도 싼데가 많다 의견이 분분하다. 그래서 오랜만에 한번 비교해 보고 최근 캄보디아 소비시장의 물가 흐름은 어떤지 찾아봤다. 1. 서울과 프놈펜 시장 물가 비교 https://www.numbeo.com/food-prices/ 2023.02.20 13:47 검색 numbeo.com의 자료를 토대로 서울과 프놈펜의 물가를 비교해 보면 서양식으로 한달 식비는 서울이 605.12불 프놈펜이 267.62불로 프놈펜이 44.23% 싸다. 아시아 식재료를 기준으로 하면 각각 392.32와 173.3.. 2023. 3. 15.
벼 재배면적, 쌀 생산량, 소비량 2023/03/13 16:29 쌀은 우리의 주식이면서 농업의 근간이다. 식문화의 변화로 쌀 소비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농지 면적 중에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다른 식량자원과 달리 우리가 먹는 자포니카계열의 벼 품종은 한국, 일본, 중국 일부에서만 소비되기 때문에 국내에서 생산이 불가능할 경우 수급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고품질, 고수량성에 맞춰 꾸준히 육종을 해 왔고, 재배면적은 감소했지만 생산성은 높아져 총 생산량이 급격히 하락하지는 않고 있다. 식량안보 측면에서 정부는 매년 쌀을 수매하고 비축하여 갑작스러운 재난재해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매년 남아돌게 되는 쌀은 보관비용과 처분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낳게 되어, 적정량 을 보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 2023. 3. 15.
캄보디아 농업 노동력 환경의 변화 2022/07/21 15:15 다른 자료들을 보다가 생각나서 정리하는데, 농업부문 고용은 8억 7천만 명이지만 전체 지역에서 농업 고용 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반면 저소득 국가에서는 인구의 63%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저소득 국가의 농업종사자 90%는 농업 생산에 참여하고 나머지는 농업서비스 부문에 종사하고 있다. 캄보디아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농업 인구는 2019년 35%이다. 150만 호의 농가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농업 인구 중 작물생산을 위한 농업회사에 종사하는 인구는 이 비율보다 적을 것이다. 1600만 명의 인구 중 수도인 프놈펜 거주자는 157만이고 주요 농업 지역인 바탐방의 거주 인구는 15만 명으로 10%가 채 안된다. 결론적으로 농지 면적은 더이상 늘어나지 않고.. 2023. 3. 15.
캄보디아 고추 가치사슬 2023/02/24 11:58 캄보디아 고추재배의 이해관계자와 가공, 수출 증진을 위해서 GIZ에서 이 문서를 발간했다. 참고용으로 정리는 하는데 내용이 조금 미진한 부분이 있다. 1. 품종 품종은 Bird's eye, Cayenne(카옌, Lady finger), Hawaii (sweet)이고 Cayenne이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다. 카옌고추품종은 Bird's eye 보다 길고 주고 요리나 건고추, 고추오일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태국으로 수출도 많이 된다. 5톤/ha의 수량성을 보이고 깜퐁츠낭, 깜퐁참, 뜨봉크뭄에서 많이 재배된다. 베트남이 경쟁자로 베트남산이 캄보디아를 거쳐 태국으로 수출된다. Bird's eye는 작지만 매우 맵고 바탐방에서 주로 재배되고 피클로 만든다. Sweet pepper.. 2023. 3.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