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다른 일을 하고 있어서 농업쪽은 잘 안 보고 있었는데 비료 관련 상담할게 있어서 몇가지 찾아보는 중이다.
미국 옥수수 농가의 생산비 중 절반은 비료값이다. 비료가격은 원유 가격에 정비례한다. 비료가격이 상승하면 옥수수 가격이 상승하고 바이오에탄올과 사료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소고기 가격도 오르게 된다. 따라서 비료 가격의 변동은 단순히 생산원가의 증가 뿐만 아니라 당연하지만 소비자의 식탁 위의 비용까지 결정하게 된다. 게다가 바이오에탄올 가격도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물류비에도 영향을 준다.
미국 농무성USDA의 2025년 10월 보고서 Drivers of Fertilizer Markets: Supply, Demand, and Prices 를 보면 에너지 가격, 지정학적 요인(전쟁 등), 자연재해(허리케인) 등에 의한 가격변동을 설명하고 있다.
세계 화학비료의 원료 공급은 중국, 인도, 러시아, 미국 등으로 이 중 질소와 칼륨은 에너지와 직접 연동되어 있다. 인산은 인광석에서 추출하는 광물이다. 그래서 전세계적으로 N, K의 가격은 대동소이하다. 중국의 수출제한, 러시아 전쟁, 중동 분쟁으로 인한 무역항로의 폐쇄 등이 이들 가격을 움직이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오히려 농업 생산에 대한 걱정이 더 많다. 더이상 개간하기는 어렵고 제한된 면적 즉 이미 개간된 면적에서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비료 역시 집적적으로 효율적으로 써야 한다. 농업가치사슬로 볼 때 비료 가격이 10% 증가하면 최종 식탁의 비용은 30% 이상 증가할 수 있고, 농가에서는 비료 가격이 오른다고 해서 생산성 유지를 위해서 사용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비료 가격은 농가 생산비 원가 중에서도 기초이면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기도 하다.
다음은 주요 내용 요약이다. (AI요약)
1. 미국 비료 생산 및 수입
생산량 감소 및 구성 변화: 2006년 이후 미국의 비료 생산량은 전반적으로 감소했습니다. 과거에는 인산 비료가 주를 이뤘지만, 2022년에는 **질소 비료가 전체 생산량의 61%**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높은 수입 의존도: 미국은 비료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입에 크게 의존합니다. 특히 칼륨 비료(potash)의 경우 국내 생산량이 수요의 5% 미만에 불과해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습니다. 2022년 기준, 미국 비료 수입의 주요 공급국은 캐나다(53%), 러시아(14%), 카타르(6%)입니다.
세계 시장 점유율 하락: 2006년부터 2022년까지 미국은 세계 비료 생산, 수입,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25% 이상 감소했습니다.
2. 비료 수요 및 농가 비용
소비 감소: 2021년 비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미국 비료 소비량은 크게 감소했습니다. 질소, 인산, 칼륨 비료 소비량은 2020년과 2021년 사이에 각각 5.8%, 12.6%, 16.2% 줄었습니다. 전반적인 비료 소비는 2018년 이후 경기 침체 이전 수준보다 낮아졌습니다.
운영 비용에서의 비중 증가: 비료 비용은 옥수수와 밀 농가의 주요 운영 비용입니다. 2022년에는 비료 가격 급등으로 인해 옥수수와 밀 생산의 운영 비용 중 비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40%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비료 비용의 급등: 2022년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후 옥수수 농장의 에이커당 비료 비용은 216.81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0~2019년 평균보다 110% 높은 수치입니다. 밀의 경우도 2022년에 에이커당 비료 비용이 2010~2019년 평균보다 141% 증가했습니다.
3. 가격 변동 요인
에너지 가격: 비료 생산에 있어 에너지, 특히 천연가스 가격은 비료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과거에는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면 미국 내 암모니아 생산량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했습니다. 최근 질소 비료 가격의 급등은 천연가스 가격 상승과 관련이 있습니다.
자연재해: 허리케인이나 혹한 같은 자연재해는 비료 생산 공장을 폐쇄하고 천연가스 생산을 방해하여 공급망에 혼란을 야기합니다.
지정학적 사건 및 무역 정책: 2021년부터 2022년까지의 비료 가격 급등은 코로나19 팬데믹, 에너지 가격 상승, 그리고 러시아의 수출 제한과 같은 지정학적 갈등에 의해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수요-가격 관계: 비료 가격과 옥수수, 밀 가격은 비슷한 패턴을 보입니다. 농민들이 비료 구매를 결정할 때 예상되는 작물 가격을 고려하기 때문입니다.
'농업농촌, 기후변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물과 신선채소 그리고 숙주나물 (2) | 2025.06.02 |
---|---|
우리나라 농업위성과 활용 (1) | 2025.05.05 |
캄보디아 봉제산업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실천 (0) | 2025.04.30 |
세계 자포니카 쌀 시장 현황과 우리 정책 방향 (0) | 2025.04.24 |
기후변화와 식량은 비용으로 직결된다. (1)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