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VN

베트남 곡물, 사료 현황 2025년 8월

by chongdowon 2025. 9. 25.
728x90

재미는 없지만 또 베트남에 오래 있어야 하니 베트남 농업에 대해서 한가지씩 알아 가 보자. 처음이니까 전후사정은 빼고 2025년 8월 현재 상황만 본다.

자료원은 USDA GAIN 보고서 https://gain.fas.usda.gov/#/search

 

GAIN

 

gain.fas.usda.gov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GDP는 7.5% 성장. 공공투자, FDI, 수출증가 등으로 인한 것으로 축산 분야 성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봄. 

양돈

농가축산이 중간형태 상업형축산으로 전환했고, 농가축산이 대형상업농장과 협업하면서 생산이 반등했다. 2025년6월  양돈 사육 두수는 2024년 6월 대비 3.8% 증가한 것으로 예측.  같은 기간 ASF, 구족병, 럼피스킨병,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PRRS) 등이 과제로 남아있다. ASF는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것보다 심각한 상태로 알려졌다.  

가금류

2024년 6월 대비 2025년 6월 가금류 사육수는 4% 증가한 것으로 예측됐다. 점진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별한 질병은 없는 것으로 파악중이다.

버팔로, 소

2025년 6개월간 사육두수는 감소중인데, 수익성이 낮고 방목지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양식

2025년  상반기 생산량은 260만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4.9% 증가했다. 메기 생산량은 872,000톤으로 4.5% 증가했고 수출금액은 1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다. 미국, 브라질과 CPTPP에 가입한 국가들이 주요 수출국으로 남아 있다. 

흰다리새우는 366,900톤 수출해서 7.3% 증가, 블랙타이거 새우는 125,100톤으로 3.6% 증가.했다. 안정적인 날씨와 새우양식의 고급기술이 성장에 기여했다. 

사료 수요

사료 수요는 2025년에는 2,870만톤, 2026년에는 2,950만톤으로 전망되고, 2025년 상반기 사료 수출은 6억 3백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베트남 통계청은 전망했다. 

중국 45%,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등이 수입국이며 사료의 주요 영양 성분은 미강과 카사바이다. 

곡물 생산과 소비량 (제미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