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0

해외농업투자와 농업인의 기본권 2022/02/27 09:2 앞서 몇개의 포스팅에서 우리나라 일부 기업의 해외농업투자에 대한 낮은 안목에 대해서 말했다. 농업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투자자와 전문가 사이에는 일정 부분의 괴리가 있을 수 밖에 없고, 투자자의 목소리가 우선시 될 수 밖에 없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해당 지역에서 이미 유망한 작물을 선택하고 확장해서 재배하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전통적인 농업방식이 더이상 맞지 않는 경우들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더 사전현장조사가 중요해질 것이다. 사전조사 : 농장을 개발하기 전에는 다양한 방법과 내용으로 사전조사를 해야 하는데 우리 기업들은 감수성에 의지하는 경향이 강하다. 사전조사에는 기상환경, 시장, 공급, 인력, 기타 기반시설 등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토지가.. 2023. 3. 21.
축산분뇨 발생의 문제와 처리 2022/03/09 11:44 1. 축산분뇨 발생의 원천적 문제 우리나라는 축산동물 사료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축산시설에 나오는 거의 모든 폐기물들은 잉여생산으로 봐야한다. 볏짚으로 소먹이로 쓰던 시절에는 소화된 볏짚이 다시 논과 밭으로 돌아가면서 자연순환이 되었지만, 수입된 조사료와 곡물사료로 만들어진 축산폐기물은 농사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비료와 함께 과잉의 유기물을 공급하게 되었다. 2006년 '폐기물에 의한 해양오염 방지에 관한 국제협약'으로 2007년부터 가축분뇨 및 하수의 해양배출 감축 대책 수립과 2012년 가축분뇨의 해양배출 전면금지 목표 달성a)으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축산폐기물은 고스란히 우리 땅에서 처리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그동안 여러 노력을 통해 축산 폐기물을 자원화했으.. 2023. 3. 21.
작물 생산 원가 변동에 따른 식량수급 문제 2022/03/22 11:07 올해 초부터 중국의 캄보디아 쌀 수입량이 늘고 있다는 긍정적인 캄보디아 측의 기사가 있어 좀 찾아봤더니 역시나 사료 대용으로 Broken Rice 쇄미의 수입이 증가했다고 한다. 기존에 중국이 수입하던 캄보디아 쌀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800~1200불/톤에 달하는 고급향미였기 때문이다.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2/01/18/2368680/0/en/Global-Rice-Market-Outlook-China-s-Imports-Hit-Record-Highs-IndexBox.html 화학비료와 디젤 가격의 폭등으로 옥수수 재배의 원가 역시 폭등하면서 대체제를 찾아야 하는데 단기로는 쇄미가 주인공이 된 듯 하다. 5월 .. 2023. 3. 21.
녹나무속 계피 또는 시나몬 2022/04/07 15:40 요즘 사우나를 하면서 계피껍질을 같이 사용하는데 향이 아주 좋다. 계피는 아시아의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서태평양 지역까지 넓은 지역에 분포돼 있다. 원산지는 한국, 중국,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솔로몬, 스리랑카 등이고, 쿠바, 엘살바도르, 파키스탄 등에 전파되었다. https://powo.science.kew.org/taxon/urn:lsid:ipni.org:names:328262-2#children 넓은 지역에서 자생하는 만큼 품종도 247종이나 있다. 캄보디아는 Cinnamomum cambodianum Lecomte 라는 품종이 있다. http://www.trafficj.org/publication/08_medical_plants_Cambodia.pdf 대표적인 품종.. 2023. 3.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