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0 행동경제학, 2007.1.2 2022/08/11 21:12 행동경제학, 도모노 노리오 지음, 이명희 옮김, 지형 주류경제학에서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라는 가정을 한다. 그런데 인간은 정말 합리적인가? 예를 들어 구매 결정을 할 때 인간은 순간적으로 경험과 지능을 통해 계산을 하고 그에 따라 구매를 실행에 옮긴다. 로또 복권의 낮은 당첨확률을 몰라서 고민 끝에 복권을 구매할까? 경험에 의한 합리적인 판단보다 감정에 따라 판단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부터 행동경제학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인간은 상황에 따라 스스로를 합리화하는 것이지 합리적인 것은 아니다. 또 이 책에 따르면 단순히 감정 뿐만 아니라 뇌의 작용에 의해서 또 진화적 산물로써 상호작용을 통해 판단을 하게 된다. 1~8장에 걸쳐 이런 다양한 예시가 있고 9장에 다시 정리가 돼 있.. 2023. 3. 17. 밥이라도 좀 잘해라 2022/08/22 17:47 말에 새로 문을 연 한식당에서 점심을 먹었다. 다른 무엇보다 밥을 왜 이렇게 못할까하는 실망에 다시는 가고 싶지 않은 식당으로 기억하게 됐다. 사람들과 먹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보면 다들 먹는 것이 중요하고 친환경, 유기농, 채식 등 많은 것을 이야기 한다. 하지만 정작 재료가 어떻게 재배되었고, 어떻게 다루어야 더 맛있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우리들이 보는 매체에서는 자극적인 소재로 식재료를 다룰 뿐 정작 그 본질은 제대로 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다. 논 농사 전기간에 걸쳐서 물이 적당하게 공급되고 적기에 수확되면 쌀은 투명해진다. 전분립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아서다. 쌀을 고를 때 이걸로 먼저 판단할 수 있다. 전분립이 많으면 파쇄립도 많아진다. 쌀이 고르지.. 2023. 3. 17. 한류 열풍속 캄보디아 짝퉁 한식당 2022/08/30 16:29 꾸준한 한류열풍 속에 캄보디아에서 한식도 발전하는 것 같다. 주변국에 비해 인구와 관광객은 적지만, 프놈펜에만 크고 작은 한식당이 100여개 있다. 한국인 투자자가 운영하는 한식당들은 대체로 고기를 중심으로 한 백반류, 튀긴 닭(치킨), 중국집, 분식집이 대부분이고 백반을 중심으로 한 식당이 가장 많다. 이런 기존의 흐름과는 달리 이제는 현지인이 직접 투자한 한식당들도 일부 보이는데, 이전에는 Mi hul Seoul (서울 매운라면)처럼 상호에만 한글이 반영되고 음식은 한국적인 것과는 관계가 먼 음식점이었다. 이제는 제법 제대로 된 식당도 보이는데 UWA Korean Street Food, ISeoulYou 같은 식당들이다. 각각의 홍보 홈페이지와 페이스북으로 볼 때, 첫번.. 2023. 3. 17. 냉동포장육의 몸값변화 2022/10/04 11:10 80년대 이전에는 유통망이 취약한 지방에서는 wet meat 상태로 공급되었는데, 아침 일찍 여러가지 부식을 실은 트럭이 동네를 돌면 엄마들은 급한대로 채소나 두부, 생선과 육류를 사서 아침 반찬을 하고 남는 것은 오후 상에도 올렸다. 우리나라의 80년대 소득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바뀐 것 중 하나는 식문화의 변화다. 소득의 증가와 함께 냉장고가 보급되면서 다량의 냉장냉동육이 공급되고, 가정에서는 장기보관하며서 먹을 수 있게 되었다. 나도 기억 나는 것이 우리 앞집은 흔히 말하는 점빵으로 술, 과자 같은 공산품 외에도 포장냉동육을 팔았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수입산 저질의 냉동육이었던 것 같다. 게다가 가끔은 양념냉동육도 있었는데, 해동 후 재판매가 어려운 고기를 양념에 절.. 2023. 3. 17. 이전 1 ···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1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