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6 캄보디아 에너지 소비 현황과 환경 2019/11/22 16:27 Cambodia National Energy Statistics 2016에 따르면 2015년에 전체 4,762ktoe 에너지 공급 중 전기는 3%, 석탄 11%, 바이오매스 44%, 석유 38%, 수력 4%이다. 캄보디아는 2010년에서 2015년까지 전체 에너지 수입은 연평균 8.3% 증가했다. 주요 바이오매스는 화목이다. 바이오매스 생산은 평균 4.1% 증가했다. (바이오매스 생산과 소비는 같음) 다른 일차에너지에 비해 바이오매스는 생산량이 느리게 증가하고 있지만 전체 공급의 36%로 여전히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해당 보고서의 53페이지를 보면 2010년을 100으로 봤을 때, 2015년의 캄보디아는 GDP와 TPES(Total Primary Energy Supply, .. 2023. 3. 29. 캄보디아 화재 피해와 개선 2020/02/08 09:52 캄보디아 전체산림면적은 1973년 국토의 72%였다. 2014년에는 48%로 감소해서 총 8,660,152ha로 크게 줄어 들었다. 이 중에서 밀림은 42%에서 16%로 전체 산림면적의 감소보다 줄어드는 폭이 크다. 밀림은 대개 지구의 허파 역할을 하며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서 산소를 내뿜어주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종의 다양성 보존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캄보디아 산림면적의 감소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는데, 한가지는 대규모 영농을 위한 개간이다. 종의 다양성은 해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똑같이 이산화탄소를 동화하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의 화전도 조금은 다르지만 여기에 분류해야 할 것 같다. 두번째는 불법 벌.. 2023. 3. 29. 캐슈넛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2020/03/03 15:24 최근 한국에서도 제주도와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망고나 바나나 같은 열대작물을 많이 재배하고 있지만, 캐슈넛은 아직 없는 것 같아서 몇가지 정리해 본다. 캐슈넛의 형태 http://chongdowon.com/5864691 프놈펜 캐슈넛 가공공장 https://chongdowon.tistory.com/237 캐슈넛 가공공장 2018-04-05 09:46:11 프놈펜 인근에 위치한 캐슈넛 가공공장. 캐슈애플의 끝에 자라는 너트는 나무에서 떨어진 것을 주워 모은 뒤, Shell 이라고 불리는 껍질을 벗긴 것을 너트라고 부른다. 보통은 이 chongdowon.com 캄보디아 캐슈넛은 베트남, 러시아, 한국, 중국, 미얀마, 페루,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되는데 2019년 202,317톤의.. 2023. 3. 29. 댐 건설, 메콩강 수위변화 그리고 기후변화 2012년에 캄보디아 기후변화에 대해 쓴 글이 있다. http://chongdowon.com/5704224 1990년부터 2010년까지의 프놈펜 기상자료를 취합해서 세계기후변화의 추세와 비교했던 글이다. 그 이후에 캄보디아 기후변화는 매우 심각해져셔 농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은 강우형태의 변화가 가장 심각한 문제일텐데, 연간 강우량은 여전히 1200~1400mm로 변함이 없지만 연중 강우일수는 많이 줄어 들었다. 집중호우가 늘어나면서 농지가 더이상 버티기 어려운 상태가 되었다. 메콩강협의회 Mekong River Commission에는 메콩강 유역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는데, 2019년 12월의 기사를 보면 기후변화보다 메콩강의 댐 설치가 강의 수위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한다.. 2023. 3. 29. 이전 1 ··· 86 87 88 89 90 91 92 ··· 119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