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445

운영체계의 개발 2020/12/12 13:32 회사라는 조직에서 한 개인이 뚜렷한 성과를 보여줄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조직의 구성원으로 설령 자리를 비우더라도 회사는 운영된다. 규모에 따라서 개인의 역량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만 결국에는 만들어진 체계 속에서 굴러가는 톱니일 뿐이다. 대규모영농을 운영하는 회사에서 일하는 장점은 회사마다 차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장기목표전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역량과는 상관없이 똑같이 장기적인 안목으로 일을 할 수 있다. 그래서 나 역시 똑같은 톱니들 중 하나의 부품이지만 지금 하는 일의 가장 큰 매력은 운영체계의 개발에 있다. 대규모 영농을 이해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문헌을 보고 있는데 서구의 농장운영방식과 아시아의 운영방식은 문화와 사고방식의 차이에 있어 앞서나간.. 2023. 3. 24.
농업에 GIS 활용 2020/12/30 16:02 대규모영농 Plantation에 대해서 꾸준히 생각하고 있는데, 작은 규모의 농업도 같은 문제를 가지지만 규모가 커지면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훨씬 더 많이 들게 된다. 기업농이 되면 생산성이 최우선과제가 될 수 있는데 이를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땅 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행위에 대한 기록과 분석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통제가 불가능한 기상환경이라는 변수 역시 잘 기록해서 영농활동에 연계하여 생산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땅은 고정되어 있고 영농활동은 시간에 따라 누적되기 때문에 그래프로 그리자면 수평적 기록과 수직적 기록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다양한 DB도구가 있어서 수평적인 기록은 어렵지 않지만 이를 다시 수직적으로 내려다 보려면 GIS를 적용하는 것이 용.. 2023. 3. 24.
2019-2020 캄보디아 농업 연례 보고 2020/12/31 16:06 캄보디아어 판은 이미 3월에 나왔는데 영문판은 이제 나왔다. 돈이 없어서 못 만든다고 했는데 결국 만들긴 만들었나보다. Annual Repor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9-2020 and Direction 2020-2021 이 내용은 2019년의 결과다. 1. GDP - 농업부문의 GDP기여도는 21%로 산업은 32.3%, 서비스는 39.1%를 차지 - GDP 기여도는 매년 감소했지만 총생산은 22,786백만리엘로 매년 상승 - 농산업분야별로 볼 때, GDP기여도는 작물 53.67%, 축산 11.11%, 수산 24.3%, 임업 6.91% 2. 비료, 농약 수입 - 235개 업체 등록, 95개 업체에서 1,515품목 취급, .. 2023. 3. 24.
농장 내 기상변화와 기후변화 예측 2021/01/04 16:15 여러번 말했지만 기후변화학과에 입학할 때까지만 해도 기후변화는 정치적 이슈라고 생각했고, 가장 재미있게 본 책이 기후변화의 정치학이었다. 지금도 국제기구들은 기후변화에 많은 돈을 쓰고 있는데, 그 모든 활동이 온전히 기후변화를 위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와는 별개로 2019년과 2020년 11월 12월 그리고 1월의 기상을 보면 평소에 느끼던 날씨가 아니란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 지난 3년간 농장에 PWS를 설치하고 기상을 관찰했는데, 아쉽네 18개월만에 통신부품이 고장나서 강우량을 제외한 온습도와 일조량의 자료는 획득하지 못했다. 결과는 위의 표로 요약되는데, https://en.climate-data.org/asia/cambodia/ (2020년 9월 21일 15.. 2023. 3.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