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업농촌, 기후변환132 날씨와 농사 그리고 131 이제는 131이라는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사람이 별로 없을 것 같다. 수퍼컴퓨터가 발달하고 인터넷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들이 생기면서 이제 전화로 날씨 안내를 받을 일은 없어졌다. 20년전만 하더라도 아버지는 봄, 가을에 매일 131에 전화해서 날씨를 확인하고 오늘 작업을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했다. 물론 나도 옆에서 귀 기울이면서 오늘은 일 안해도 될까하고 긴장을 하곤 했다. TV를 틀면 매시간 기상뉴스가 나올 뿐만 아니라 자막으로 실시간 기상을 안내해 주고, 스마트폰에서도 시시각각 바뀌는 날씨를 알 수 있다.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기상은 우리에게 친근하지만 중요한 존재가 되었다. 야외활동을 위해서 빨리를 위해서 차량 관리를 위해서 시간과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항상 날씨에 민감하게 되었다... 2023. 5. 9. 농업과 온실가스 배출 티스토리에 와서 처음 쓰는 글이다. 오래된 글을 다 옮기고 새 글을 쓰려고 했는데 시간도 많이 걸리고 써 놔야 할 글은 있어서 일단은 뒤죽박죽 되더라고 그냥 써야겠다. -- 누가 뭐래도 농업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주된 산업 중 하나다. 식품을 생산하면서 전체 온실 가스 배출의 35%를 배출한다. 낙농을 포함한 축산업에서 57% 배출하고 인간 소비용 식품에서 29% 그리고 면이나 고무에서 14%를 배출한다. 총식품 생산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다시 나누어 보면 산림개간 29%, 경운과 질소비료 사용 38%, 가축 사육 21%, 그외 11%는 농업재료의 운송과 식품 가공에 사용된다. 식품별 온실가스 배출 비중을 보면 동물성식품 25%, 우유 8%, 돼지고기 7% 쌀 12%, 밀 5%, 사탕수수 2% 지역별로.. 2023. 4. 17. 식량 안보와 농지수탈 2014/07/31 00:57 최근 한국 농업의 큰 흐름 중 하나는 좁은 국내보다 해외에 농장을 개발하여 안정적인 식량을 확보하자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얼마전 여러사람과 이에 관해 얘기를 한 적이 있다. 최근의 국제농업의 한 방향은 강소농을 육성하고, 그 강소농 육성을 위해 전통농업을 되살리자는 흐름이 있다. 한국으로 치면 둠벙문화를 되살려 농지에서도 종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유기물의 순환체계를 갖추자는 것이다. 반면에 이런 흐름과는 달리 개발도상국 농장개발에서는 앞서 말한 것처럼 오직 수탈형 농업이 이루어질 뿐이다. 대부분의 농업 투자자나 기업은 현지에서 땅을 구하고 농사를 짓는 과정에서 환경에 대한 예의는 전혀 갖추지 않는다. 말하자면 농약을 사용하든, 대형 농기계를 사용하든 생산량만 확보하면 된다.. 2023. 4. 11. 10대 수퍼식품 2014/11/29 19:13 Super Food 1: Purple, Red, and Blue Grapes Super Food 2: Blueberries Super Food 3: Red Berries Super Food 4: Nuts Super Food 5: Dark Green Veggies Super Food 6: Sweet Potatoes and Orange Vegetables Super Food 7: Tea Super Food 8: Whole Grains Super Food 9: Beans Super Food 10: Fish 출처 : http://www.webmd.com/food-recipes/features/10-super-foods?page=3 육류는 없고 주로 색깔이 있는 식품류가 많다. 색이.. 2023. 4. 11.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