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농촌, 기후변환141

벼농사와 논둑 그리고 수검표 삽 2021/06/14 16:22 우리나라 벼농사는 논농사와 동의어이다. 이미 오래전부터 물대기를 하는 논벼만 남고 밭벼는 없기 때문이다. 봄비가 오기 시작하면 논에서는 어김없이 논갈이와 써래질을 하고 동시에 삽으로 논둑을 보강한다. 논둑을 만드는 이유는 물을 잘 가두기 위함이고 논둑을 매년 보강하는 이유는 논둑 높이를 잘 조절해서 물의 수평이 잘 맞아 혹시 논바닥이 높아 잡초가 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그 뿐만 아니라 가끔 땅강아지가 구멍을 파고 장마철이 지나가면 물이 지나다니면서 구멍이 커지고 어느 순간 논둑이 터지기도 한다. 요즘에는 트랙터나 콤바인이 밟고 지나가서 논둑이 무너지기도 한다. 논둑은 물을 가두는 기능 외에도 이동경로의 기능도 있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논둑에 콩을 심기도 했다. 모내.. 2023. 3. 23.
식물잡종강세의 원인 2021/08/04 22:35 식물학이나 작물학을 배우면서 유전학까지 넘어가면 잡종강세를 반드시 배우게 된다. 우생학에서는 순종이 우수하다고 가르치지만 자연계에서는 잡종이 훨씬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잡종강세의 원인이 밝혀지는 최근 자료를 보기 전까지 전공자들도 잡종강세는 현상으로만 받아들이고 그 이유를 이해한 적은 없었다. 2013년 한 자료에서도 잡종의 유전형질이 순종형질에 비해 성장, 스트레스 내성, 적응에서 촉진된다는 실험결과만 이야기하고 있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KAR2013067523 표현형을 지나서 분자형에서도 그 실체를 밝혀내지 못한 것이다. 아... 잡종강세란 잡종강세(heterosis)하이브리드의.. 2023. 3. 22.
옥수수 시럽이 비만을 유도 2021/08/25 22:14 [바이오토픽] 식품 속의 과당(fructose)이 비만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규명 출처: [BRIC Bio통신원] [바이오토픽] 식품 속의 과당(fructose)이 비만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규명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333968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333968&Page=1&PARA0=24&fbclid=IwAR0i-yYvZEZ0sso9WdIx8nqvXZZHFhZpnropxUVMls_CJGhbviaPJOtFacQ 본 연구의 내용은 고농도의 옥수수시럽은 소장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식이영양 섭취 증가와 체중 증가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이.. 2023. 3. 22.
북한 농업개혁의 현황과 전망1 2021/09/09 22:41 남북한이 통일이 되든 서로의 체제를 인정하고 공존의 길을 모색하게 되면, 북한에 우선 필요한 것이 식량과 농업이라고 생각한다. 학부시절 학번이 10년 이상 나는 선배들도 입학할 때 북한농업에 대한 꿈이 있다고 들었다. 금강산 개발사업부터 지금까지 시류에 따라 남북경제협력은 희비가 엇갈렸다. 북한 정권의 정당성과는 별개의 민중의 삶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남북교류는 갈수록 더 절실해 질 것이고, 그 때 내가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다. 농업과 농촌개발 분야에 종사하면서 작물을 뛰어넘는 다양한 경험들을 했다고 생각했지만, 동아시아 농업과 인구이동의 흐름을 보면서 지식의 부족을 많이 느꼈다. 앞으로 혹시 북한농업개발사업에 참여하게 될 때를 준비해서 틈틈히 북한 농업을 정리하고자 한.. 2023. 3. 22.
인류 생존과 가축 2021/09/24 11:36 인간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 계기는 유목 생활에서 정주생활을 시작한데 있다. 유목의 장점은 식량을 지속적으로 구할 수 있지만 반대로 안전한 거처가 없기 때문에 포식자들에게 노출되고 아이를 낳고 키우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초의 집단정주생활은 수렵채취와 함께 되었다고 보는데, 한 곳에 머무르면서 인구가 늘어나게 되자 차츰 농경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잉여 농산물이 제사장 즉 종교의 발달을 유발했다는 과거의 이론과 달리 최근에는 반대로 제사장이 필요에 의해 잉여의 식량을 공급받고, 이를 위해 농경이 발달했다는 이론이 있다. 작물 재배의 시작은 채취하던 식물류 중에 재생산이 가능한 곡물류 위주로 파종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가축의 사양도 비슷하게 이루어져 아마 가장 순한 동물들이.. 2023. 3. 22.
영농형 태양광 발전 2021/10/25 15:37 1. 태양광발전 농업, 장단점 Solar farm이라고 흔히 불리는 농업과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1981년 독일 물리학자에 의해서 처음 소개되었고, 2004년 일본의 나가시마 아키라가 솔라 쉐어링이라는 프로토타입을 도입했다*. 최근에는 Agrivoltaics 또는 agrophotovoltaics라고 한다. 일반적인 경작지 위에 지붕을 만들고 거기에 태양광판을 설치하고, 아래에는 적당한 빛이 투과되어 식물이 자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2030060641489&dbt=NART 초기부터 지금까지 제기되는 문제는 1)농업에 방해된다. .. 2023. 3. 22.
[북한농업] 주요 작물별 재배시기 및 생산량 2021/11/30 22:22 자료출처 https://ipad.fas.usda.gov/countrysummary/Default.aspx?id=KN&crop=Corn 2021.11.30 20:04 검색 1. 재배시기 2. 작물별 생산량 2010-2021(2022)평균 1) 벼 : 481,000ha 1,555,000ton 4.98ton/ha (우리나라 5.2톤/ha) 2) 옥수수 : 540,000ha 2,400,000ton 4.47ton/ha (우리나라 5.14톤/ha) 3) 대두 : 151,000ha 228,000ton 1.5ton/ha (우리나라 1.8톤/ha) *주요 식량 작물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편은 아니지만 아무래도 산지가 많아 농지, 농기계, 비료 등의 부족으로 절대생산량이 부족할 것으로 생각된다.. 2023. 3. 21.
콩과 녹두 이야기 2021/12/08 17:07 우리나라는 콩과 작물 중에 메주콩으로 불리는 대두를 가장 많이 먹는다. 된장, 간장을 담기도 하고 두부, 두유도 만들어 먹기 때문에 소비가 많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콩나물을 키울 때도 대두를 많이 쓰는데, 콩나물은 겨울철 신선한 채소를 구하기 어려울 때 가을에 수확한 콩을 길러 채소로 쓸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반면 녹두나물은 콩나물에 비해서 많이 먹지 않는데, 숙주나물로 불릴 만큼 잘 쉬기 때문이다. 동남아지역에는 콩나물은 오히려 귀하고 녹두나물이 흔한데 여기에는 콩과 녹두가 비슷해 보이지만 재배환경이 다른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동남아 거주하시는 분들에게 자주 질문 받는 것 중 하나가 왜 제대로 된 콩나물이 없냐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정리해 본다. 1. 대두와 녹두의 .. 2023. 3. 21.
한국 미국 캄보디아 옥수수 생산원가 분석 2022/01/05 16:04 한국 미국 캄보디아 옥수수 생산원가 분석 1. 국별 농업생산성의 차이와 이해를 통한 농업투자 국별로 농업환경에 따라서 농산물 생산원가는 차이날수밖에 없지만, 농업을 유지하는 것은 수입했을 때 물류비가 더 높거나 안정적인 공급을 확보하는 등 다양한 이유가 있다. 이런 별 의미없는 3개국의 옥수수 생산을 비교하는 것은 생산량이 가장 많고 첨단기계화된 미국, 적어도 옥수수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기계화가 덜 되고 사료용이 아닌 우리나라, 그리고 농가소득에 큰 도움이 되면서 식용과 사료용을 구분없이 조방적인 면적에 노동집약적으로 재배하는 캄보디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특히 농업투자를 할 때 세밀하게 관찰하지 않은 투자자들이 흔히 빠지기 쉬운 오류가 한국의 식용옥수수의 높은 단가, 미국.. 2023. 3. 21.
Landsat 위성 이미지를 통한 오지 농업 조사 2022/01/10 23:24 새로운 지역을 개발하여 농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방문조사를 통해 지역현황을 알아보고 해당 부지의 토양을 조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한 영상촬영 또한 일반적이기 때문에 연중 몇 차례의 촬영을 통해 영상을 확보하고 계절별 식생과 수리를 조사하여 기초자료를 만들 수 있다. GIS를 활용할 경우 오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일부 조사를 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Landsat를 활용하는 것이다. NASA의 위성관측계획으로 발사된 이 위성은 1972년부터 현재까지 여러대의 위성을 운용중이고, 이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https://earthexplorer.usgs.gov/ 이 사이트 자체가 직관적이어서 사용에 어려움은 없지만, 이 자료를 활용하는 상세한 방법은 h.. 2023. 3.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