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mbodia_Agri

캄보디아 쌀 현황 2024/2025

by chongdowon 2025. 7. 30.
728x90

지난 글에서 향후 10년간 쌀 재고와 가격을 알아봤다.(https://chongdowon.com/502) 향후 10년간 글로벌 쌀 재고는 감소하고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때문에 증가하고 있는 캄보디아의 쌀 생산은 앞으로 10년 간의 국제 쌀 재고와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USDA FAS의 최신보고서를 보자. Cambodia Rice: MY 2024/25 Production Summary and MY 2025/2026 https://ipad.fas.usda.gov/highlights/2025/07/Cambodia/index.pdf

캄보디아는 쌀 생산 11위 국가(수출은 9위)로 Marketing Year(MY) 2024/25기준으로 847만톤의 정미를 생산했다. 90년대 중반 자급이 가능해진 이후로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400% 이상 증가했다. 농지에 대한 투자, 농업기술보급, 새로운 종자 보급 등으로 생산면적도 증가했다. 뚠레삽호수를 중심으로 주로 벼 재배가 이뤄지는데, 쁘레이벵 13% 따께오 11% 바탐방 11% 반띠에이민쩌이 9% 등이다. 

건기재배와 우기재배로 나눠지는데 건기재배가 생산의 중심이다. 우기 파종은 5-6월에 이뤄지고 수확은 조생종/중생종 8-9월, 만생종 10-1월이다. 건기 재배는 11-12월에 파종하고 2-4월에 수확한다. 

2024년 벼 재배 현황

우기: 5월에 파종이 시작됐으나 초반 강우 부족으로 일정이 늦춰졌다. 하지만 6월부터 기상이 여건이 호전되면서 재파종이 시작되었다. 전체 파종면적은 계획보다 10% 증가했다. 

건기: 11월부터 파종이 시장되었다. 파종면적은 전년 대비 8% 증가했다. 위성으로 관측된 자료 분석 결과 건기 벼 재배 지역 특히 남부 지방에서 식생 활력이 우수했고, 식생건강지수(VHI: Vegatation health indices)가 평균-평균이상으로 나타났다.

 

 

2025/26 전망

USDA는 24/25년 보다 4% 감소한 810만톤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되고 수확 면적은 2% 감소한 380만ha로 예측된다. 수확지수도 3% 감소한 3.49톤/ha로 전망된다. 25/26 우기 벼 파종이 시작됨에 따라 평년 강수량 패턴이 예상되어 벼 수확량 증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벼 수확량 전망은 10년 추세와 비슷할 것으로 예되지만 2024/25년 기록보다는 여전히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불리한 가격 조건 때문에 농민들은 파인애플 등 수익성이 높은 작물을 재배할 가능성이 있어, 결과적으로 잠새 수확량 전망이 낮아지고 벼 수확량도 감소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