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453 대학교 도서관 2016-11-03 22:55:33 촌놈인 내가 대학교에 들어가면서 얻은 보람은 무수히 길게 뻗은 길에 보이는 술집도 아니고, 전국방방곡곡에서 모인 많은 사람들의 다양성도 아니다. 오히려 거추장스러웠을 뿐이다. 비록 그다지 명문대학은 아니지만 입학 당시에만 하더라도 아시아 최대 규모를 자랑하던 도서관이 있었다. 흔히 사람들은 넓은 공간을 채우다 보니 질 떨어지는 책도 많다고 했지만, 나야 그런 책들을 보는게 아니었기에 상관은 없었다. 다양한 책들 중에서도 가장 좋은 책은 역시 월간지 같은 잡지가 아니었을까 한다. 보통의 유명한 인문서적들이야 접근이 쉽지만 잡지들은 전부 비치해 놓기 힘든데, 대학도서관의 장점은 이런 잡지들이 내가 알지도 못했던 것까지 쌓여 있다는 것이다. 지금도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 당시.. 2023. 8. 29. 작물의 영양소 감소 2015-09-30 15:37:53 자주 가는 농업관련 블로그에 글(http://blog.daum.net/stonehinge/8724935)이 있어서 원문을 찾아봤다. 기사 원문 http://www.nytimes.com/2015/09/15/science/a-decline-in-the-nutritional-value-of-crops.html?smid=tw-nytimesscience&smtyp=cur&_r=0 기사에 따르면, 몇 몇의 연구결과로 볼 때 농작물의 영양소가 감소하긴 했지만, 토양에 의한 문제는 아니라고 한다. 오히려 재배종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 농법이나 화학비료의 사용도 또다른 원인이다. 논문 http://hortsci.ashspublications.org/content/44/1.. 2023. 8. 29. Nawa Kekulama farming, 나와 케쿨라마 농법 2017-02-01 22:07:00 '농업이 문명을 움직인다'에 소개돼 있는 스리랑카에서 고대농법을 통해 개발한 벼농사법인 '나와 케쿨라마'. 핵심은 두가지인데 하나는 태음력에 따르는 것과 다른 한가지는 갈지 않고 피복재배를 하는 것이다. 태음력을 따르는 이유는 북서 계절풍이 부는 시기에 농사를 지음으로써 일조시간을 늘리고, 계절풍 직후 건기가 시작되어 해충의 발생도 줄여준다. 이런 주기에 따라 물의 사용도 줄어 들게 되었다. 두번째는 농사를 시작하면서 처음에만 농지를 적셔주고, 바로 직파를 하는 것이다. 써레질을 하지 않기 때문에 땅 속 생물들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을 쓰는 농법중에 하나가 태평농법인데, 장점은 많지만 현대농업에서 잘 적용되고 있지는 않다. 여기서 밝히는 피복의 장점은 보온이.. 2023. 8. 29. 캄보디아 쌀 산업의 문제점 2016-01-19 17:30:19 1. 관개수로 취약 : 생산 과잉이긴 하지만 여전히 고급미 생산을 위해서는 관개수로 설치가 필수적이다. 다만 대부분 low-land로 댐을 활용한 용수 공급이 어렵고 저수지의 담수 기능을 활용해야 한다. 이 경우 추가로 양수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단기간 대단위 관개수로 확충은 쉽지 않기 때문에 고급향미 생산 가능 지역을 중심으로 관개수로를 개선하고, 기타 지역에서는 천수답을 적응 품종 활용이 필요하다. key-word : 품종개발 저수지개발(양어장 활용가능) 2. 물류 : 내수시장에서는 물류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수출을 위한 물류에서는 큰 문제가 된다. 현재 캄보디아 물류 상황에서는 쌍방향 물류량이 일치하지 않아서, 도로 외에 철도나 수로를 이용한 수송은 쉽지 않은.. 2023. 8. 28.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11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