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2 기상이 쌀 생산에 주는 영향 2017-02-27 15:53:24 기상과 기후, 농업생산성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많은 논문이 있는데, 선진국의 농업에서는 기후 보다는 기상, 기상 보다는 시장에 따라 생산성이 달라진다고 생각한다. 그 말은 상업작물들은 대부분 시시각각으로 변해가는 기상에 대응할 수 있거나,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말이다. 어쨌건 범지구적인 기후 문제와 국지적인 문제는 또 다르기 때문에 둘을 한번에 엮어서 말하기는 어렵다. 최근 3년 정도 캄보디아 농업기상과 벼 또는 작물생산성, 그리고 기아(식량부족)의 상관성을 찾아 보고자 꾸준히 자료를 보고 있다. 아직 결론은 없지만, 생산량 보다는 농가수익에 더 관심을 두어야 벼 생산과 기아의 상관성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avg month avg 6~10 rainfall yr rai.. 2023. 8. 25. 고대 농법의 현대적 해석 2017-02-02 10:17:53 가 전통농법에 관심을 가졌던 이유는 신흥 농업국이나 강소농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생각해서였다. 2012년 관련된 책을 처음 읽었는데, 농사를 짓기에는 좋지 않은 환경에서 적용할 경우 상업적인 수익은 얻을 수 없더라도, 참여하는 농가들의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아주 최소한의 방법으로 생각했다. 실제로 농업에서 잉여생산물이라는 것은 더 많은 노동력, 토지면적, 거름이 있을 때만 가능한 것으로 이 모든 것들이 부족한 곳에서는 자급하기에도 모자란 것이 현실이다. 시간나서 다시 책을 읽으면서 곰곰히 생각해 보니 오히려 최근에 들어 알게 모르게 이런 전통농법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고, 예전에 비해 기계화가 되면서 인력으로는 메꿀 수 없었던 부분들을 해결할 수 .. 2023. 8. 25. 캄보디아 새우, 가재, 랍스터 용어정리 2016-12-28 14:12:08 한글로 발행되는 각종 문서에 되도록이면 학명, 영문명, 현지명을 동시에 기입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나도 읽으면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새우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대충 부르다 보니 오해가 생겨서 정리해 본다. * 혹시 오류가 있으면 지적바랍니다. 1. 바닷가재 가시발새우과에 속하는 갑각류의 총칭으로 Lobster 라고도 불린다. 2. 닭새우 닭새우과에 속하며, 학명은 Panulirus japonicus이며 영어로는 Spiny Lobster이다. 바닷가재와 차이점은 집게발이 크지 않다는 것이고, 동남아 여행시에 랍스터라고 팔리는 것들이 이놈들이다. Rock lobster, crayfish, sea crayfish, crawfish라고도 불린.. 2023. 8. 25. 캄보디아의 관료주의 2016-12-05 22:53:41 제목은 거창하게 관료주의라고 했지만 실은 캄보디아의 많은 사람들에게서 볼 수 있는 모습이 아닐까 한다. 오늘 코트라 프놈펜 무역관은 하반기기업상담회를 열어서 관세와 국내세금에 대한 토론과 질의응답이 있었다. 생각보다 많은 기업들이 참석한 것으로 보였다. 2부는 관세와 세금을 각각의 회의장에서 패널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관세 관련 세션에 참석한 나는 몇가지 궁금한 것들이 있었는데, 결국 궁금증은 풀지 못했다. 우리 기업이 질문한 몇가지 중에 1) 수출품이 반품될 경우 세금과 기간 2) 면세조항으로 설치된 시설물의 국내판매(비면세)시 세금 계산법 3) 시하눅빌항구의 창고 무료 사용기간에 비해서 캄보디아는 휴일이 많다 등이었다. 캄보디아 관세청 담당 직원의 답변이 참으로 답.. 2023. 8. 25.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11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