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업농촌, 기후변환132 수탈형 농업과 생태농업의 갈림길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인구를 뒷받침 한 것은 녹색혁명이다. 화학비료의 발명과 육종학 그리고 유전공학으로 이어지는 녹색혁명은 식량생산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켜 지금의 인구를 먹여 살리는 것은 물론이고 가축의 먹거리까지 충분히 제공한다. 덕분에 우리 식탁은 풍성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먹거리를 매일 거르지 않고 먹을 수 있게 되었다. 물론 부자나라에 국한된 이야기지만.최근에는 수직농장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농업과 축산은 생산환경이 물리적으로는 수평적이다. 밭을 이층으로 쌓아서 농사를 지을 수 없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아무리 높아지더라도 더 많은 생산을 위해서는 더 많은 면적이 필요하다. 수직형 식물공장들이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되었지만 물리적 한계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래서 농산물 공급에 있어서.. 2024. 7. 6.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2023 이 자료는 2023년 12월 31일 발간된 농림축산식품부의 농립축산식품 주요통계에서 발췌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https://www.data.go.kr/tcs/dss/selectDataSetList.do?dType=FILE&keyword=&operator=&detailKeyword=&publicDataPk=&recmSe=&detailText=&relatedKeyword=&commaNotInData=&commaAndData=&commaOrData=&must_not=&tabId=&dataSetCoreTf=&coreDataNm=&sort=updtDt&relRadio=&orgFullName=%EB%86%8D%EB%A6%BC%EC%B6%95%EC%82%B0%.. 2024. 7. 2. 가축분뇨 발생량 및 처리현황 우리나라는 축산을 위해서 많은 양의 곡물을 수입한다. 가축이 먹고 나면 분뇨가 발생하는데 원래 우리 땅에서 생산한 곡물이 아니기 때문에 고스란히 쓰레기가 된다. 원래라면 다시 흙으로 돌아가야 한다. 그래서 분뇨 발생량을 살펴봤다. 해양투기가 금지되기 이전부터 우리 정부는 축산분뇨와 축산폐기물의 자원화를 꾸준히 지원하여 통계상으로는 대부분의 축산분뇨가 자원화(퇴비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생산된 축산퇴비가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관한 자료는 없다. 게다가 농경지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생산 축산퇴비 사용량 역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어떤 통계를 제시하더라도 산술적으로 가축분뇨를 국내에서 완전히 소비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내가 주장하는 바는 북한에 보내자는 것이다. 가축분.. 2024. 6. 17. 물 발자국과 축산폐기물 처리 방안 동기단톡방에서 얘기가 나왔는데 예전에 써 둔 글을 찾지 못해서 다시 작성. 내용은 단톡방에서 복붙환경분야에서 LCA life cycle assetment 전생애평가라는 개념을 적용하는데, 예를 들어 생수 500mL가 천원에 팔리는데 여기에는 물을 뽑아서 정수하고 담고 유통하는 비용이 포함된거지. 그런데 발생하는 쓰레기처리비용하고 지하수 개발에 따른 환경파괴에 대한 비용은 들어가 있지 않거든. 만약 LCA를 적용하면 천원이 아니라 더 비싼 비용이 되어야 한다는거지. 다만 공적 영역에 가깝기 때문에 공공에서 비용을 처리하는거지. 핵발전 단가가 30년전 하고 달라지게 된 이유가 LCA를 적용했던건데 처음에는 핵폐기물 처리비용을 낮게 잡았다가 도시화되고 폐기물이 생각보다 처치곤란인 문제가 되니까 이 폐기비용이.. 2024. 6. 14. 이전 1 2 3 4 5 6 7 8 ··· 3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