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농촌, 기후변환141 고무나무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발전 동남아시아 열대 지역은 연평균 온도가 높고 강우량이 많아 바이오매스 생산량이 많다. 늘어나는 전기 사용량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열병합발전에 대한 연구가 많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단가가 낮아지고 있으며 화석연료사용 자제 노력으로 바이오매스 발전은 더 각광받고 있다. 과수는 수확 후 전지전정을 한다. 캐슈, 고무나무와 같은 수종들 역시 전지전정을 하기도 하지만 식재한지 25년 정도 지나면 수익성이 떨어지면서 벌채를 한다. 벌채된 나무는 화목, 톱밥, 펠릿, 우드칩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태국의 연구자료를 보면 1Rai (0.16ha)에서 30톤의 고무나무 바이오매스가 생산된다. 1ha = 6.25 rai = 187.5톤 슬라브는 원목의 40%, 톱밥은 원목의 10%가 생산된다.. 2024. 1. 29. 농업인구와 생산성 변화 한 나라의 경제가 발달하면 농업에서 제조업 그리고 서비스업으로 업종이 분화된다. 그리고 농업종사자 수는 줄어들고 그 다음 산업의 인구가 증가한다. 농업의 총 GDP는 증가하지만 국가의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어들게 된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농촌인구를 도시화 이탈하고 부족한 인력을 대신해서 농기계가 그 자리를 메꾼다. 제조업이 농업보다 부가가치가 높기 때문에 GDP의 비중도 달라지게 된다. 농업인구 비중이 높은 상위 10개국과 G20 국가를 살펴봤다. 1991년 41%였던 농업인구는 2021년 26%로 감소했다. 1981년 농업생산(GDP)은 전세계 총 생산의 7.5%를 차지했지만 2022년에는 4.3%가 되었다. 농업인구 비중이 높은 부룬디, 마다카스카르 등 10개 국의 농업종사 비중은 86.. 2024. 1. 15. 2023년 Novel Farming Systems Agfundernews.com에서는 2023년의 유망한 Novel Farming Systems 20개사를 소개하고 있다. https://agfundernews.com/data-snapshot-from-insect-ag-and-vertical-farming-to-aquaculture-the-top-20-deals-in-novel-farming-systems-in-2023 Data snapshot: From insect ag and vertical farming to aquaculture… the top 20 deals in Novel Farming Systems in 2023 Funding in Novel Farming Systems—an AgFunder category spanning vertical f.. 2024. 1. 12. 기후변화란 무엇인가 기후변화의 결과로 우리가 겪는 현상 중에 특히 농업에 영향을 받는 일과 일상의 변화에 대해서는 여러번 글을 썼는데 정작 기후변화가 무엇인지는 쓴 적이 없었다. 기후변화와 엘니뇨, 라리냐 현상을 오해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마침 최근 BBC의 기사에 기후변화 간단 가이드가 있어서 옮겨 본다. 기후변화란 지구의 평균 기온과 기상 조건이 장기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현재 세계는 19세기 후반보다 약 1.1도 더 따뜻해졌다. 인간이 기후변화를 일으키는가? 여러 조사를 보면 지구의 기후는 자연상태에서도 변화했다. 더워지고 추워지는 것을 반복했지만 최근의 기후변화는 인간이 초래한 것이다.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온실가스가 배출되고 열이 갇히면서 지구가 뜨거워지게 되었다. 산업혁명 이후 CO2의 양은 약 50% 증가했다. .. 2023. 12. 1. 한글-영어-캄보디아 농업용어집 예전에 만들어서 공유했던 자료인데 다시 열어 보면서 한번 더 공유한다. 캄보디아어-영어로 된 농업용어집에서 영어에 일치하는 우리말을 넣고 캄보디아 단어에 우리말 발음을 한글표기했다. 필요한 캄보디아 단어가 있으면 한글이나 영어로 검색해서 캄보디아어 단어를 보여주거나 해당하는 발음을 읽어주면 서로 확인이 가능하다. 연구재단사업으로 제작했고 캄보디아종자시장조사 보고서 부록에도 수록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저작권은 없다. 2023. 11. 15. 세계 캐슈넛 생산과 유통 갑자기 캄보디아의 캐슈넛 생산의 전세계 25%를 차지한다는 말도 안되는 기사가 있어서 급하게 자료를 찾아봤다. 2020년에 발간된 MAFF Annual report에서도 2019년 캄보디아의 캐슈넛 생산은 228,308ha에서 208,769톤이라고 명시돼 있다. (https://chongdowon.com/127) FAOSTAT 2023.11.14 10:00 FAO자료에는 캄보디아의 통계는 나와있지 않지만 캄보디아 정부 자료와 비교해서 보면 대략적인 전세계 캐슈넛 총 생산 중 비중을 알 수 있다. 2019년 기준 20만톤은 베트남 보다 생산량이 적으며 2019년 상위 10개국의 총 생산량은 2,837,496톤으로 캄보디아 생산량 208,769톤은 7%에 불과하다. 두번째 표에 Yield가 나와 있는데, 보.. 2023. 11. 14. 세계 홍수 현황 1980-2023 자료 출처 Source: EM-DAT, CRED / UCLouvain, Brussels, Belgium https://www.emdat.be Glossary: https://doc.emdat.be/docs/data-structure-and-content/emdat-public-table/ Version: 2023-10-25 File creation: Tue, 31 Oct 2023 06:51:32 UTC Table type: public_emdat_custom_request # of records: 5336 위 출처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1980년부터 2023년 10월 25일까지 전세계에서는 총 5,336회의 홍수가 발생했다. 대륙별로 보면 아프리카 1150 아메리카 1217 아시아 2187 유럽 636 .. 2023. 11. 1. 작물별 국가별 세계 비료 사용량 2017-2018 International Fertilizer Association에서 발간한 2017-2018 작물별, 국가별 비료 사용량 보고서 (이런 협회가 있는지 오늘 알았음) https://www.ifastat.org/consumption/fertilizer-use-by-crop IFASTAT | Loading... www.ifastat.org 이 보고서는 협회에서 수집한 자료를 통해 N, P, K 세종류의 비료 사용량을 분석한 것이다. 보고서에 자세한 연구조사방법이 나와 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전체 국가를 조사한 것은 아니고 자료가 부족한 일부 국가는 조사에서 제외했으니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 2014년과 2018년을 비교하면 옥수수 벼 밀의 비료 사용 비율이 각각 16% 15% 15%.. 2023. 10. 26. 쌀, 밀, 옥수수 생산지수 비교 쌀 생산과 소비에 대해서 알아본 적이 있는데 인구의 2/3는 아시아에 거주하고 이 많은 인구를 떠 받칠 있는 이유가 쌀의 공급력에 있다. https://chongdowon.com/236 결과를 요약하면 벼, 옥수수, 밀 모두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세계 평균 각각 4.76, 5.88, 3.49인데 옥수수는 워낙 다비작물이어서 생산성이 높을 수 밖에 없다. 벼는 담수재배의 잇점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벼와 옥수수는 파종량이 비슷한데 밀은 두배 이상이어서 산술적으로 밀이 투입대비 생산량이 떨어진다. 게다가 벼는 기후에 따라 이기작이나 이모작이 가능하고, 재배 가능지역이 북위 53도의 중국 북부지역에서 남위 40도의 아르헨티나 중부까지로 넓기 때문에 재배면적과 단위면적당 연간생산량이 많은 장점이 있다... 2023. 9. 24. 재배벼의 탄생과 동아시아 이동 몇 가지 연구자료를 읽고 정리했다. 언어와 인류와 식물의 유전적 요소를 토대로 분석했는데 요약하자면 1)아시아에서는 야생벼가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었고 2)양쯔강 일원에서 자포니카가 재배되기 시작했고, 이는 인도로 종자형태로 전달되면서 초기 인디카와 섞이게 되었다. 3) 이와 동시에 동남아시아에는 인구의 이동과 함께 품종과 재배기술이 전달되었다. 4)인도 남부에서 동남아시아로 인디카가 전파되었다. 1. 후기 홀로세 해안 진화가 벼 재배의 확장을 일으킴 https://www.pnas.org/doi/full/10.1073/pnas.1919217117 (홀로세(Holocene)는 약 1만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지질 시대) 탄화벼만으로는 추적에 한계가 있어 퇴적물의 꽃가루의 농도를 비교하여 분석했다. 홀로세 중기.. 2023. 9. 24.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