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양식 전망 2025 라보뱅크
라보뱅크에서 발간한 수산양식전망 2025보고서에 발췌. 본 보고서는 대서양 연어, 틸라피아((역돔), 팡가시우스(메기), 새우, Marine finfish(농어, 도미)를 다루고 있는데 그 중 틸라피아, 메기, 새우만 살펴본다. 이 세가지 어종은 아시아 특히 중국과 베트남 생산량이 많기 때문에 항상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생각보다 수산양식이 많지는 않다. 중국의 수질오염으로 민물양식이 베트남으로 많이 이동했다고 들었는데, 이 보고서를 보면 인도네시아의 생산량도 상당히 많다. 물론 생산량, 국내소비량, 수출량을 동시에 봐야 산업을 이해할 수 있다.베트남은 여전히 메기 최대 생산국이고 원래 미국 수요가 많았는데 지금은 중국수요로 바뀌는 듯하다. 흰다리새우는 수질오염과 바이러스 때문에 블랙타이거로..
2025. 1. 15.
우리나라 쌀과 술의 생산액 2024
1. 농림업 생산액 및 GDP대비 부가가치 비중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44[단위 : 십억 원, %]19972001201120212022농림업 생산액30,38833,56847,31061,39460,059- 쌀 비중30.331.916.915.513.1쌀 생산액 9,208 10,708 7,995 9,516 7,868- 축산업 비중22.724.831.74042축산업 생산액 6,898 8,325 14,997 24,558 25,225e-나라지표의 통계를 보면 농림업 생산액 중 2022년 쌀의 비중은 13.1%이고 금액으로는 7조 8680억원이다. 축산업은 비중이 42%이고 금액..
2024.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