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농촌, 기후변환141

선진국에서 만들어진 기술을 개도국에서 쓸 수 있을까 프놈펜에서 1시간 정도 떨어진 껀달지역은 채소재배를 많이 한다. 프놈펜의 배후지의 장점을 고스란히 활용하고 있는데, 농지가 넓어 지대가 낮고 바싹강, 메콩강 등이 양쪽으로 흐르고 있어 물 공급이 용이하다. 프놈펜과 가까워 농촌인구의 유출이 심각하긴 하지만, 반대로 가까운 만큼 농산물의 운송이 유리하다.우리나라는 볏짚을 대부분 소먹이 조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대형베일러를 사용한다. 원형은 한 개당 400kg이상이 나가고 사각형도 20kg이 훌쩍 넘는다. 그러다 보니 원형베일러를 가동하기 위한 트랙터는 50마력은 예사고 100마력 이상도 많이 사용한다. 사각베일러는 50마력에서도 가능하지만 더 큰 트랙터를 많이 사용한다. 이렇게 대형베일을 만들다 보니 운반을 위해서 트랙터의 전방유압장치를 로더로 많이 사용한.. 2025. 3. 20.
캄보디아 농업은 수평적으로 성장할까 수직적으로 성장할까? 캄보디아 농업은 수평적으로 성장할까 수직적으로 성장할까? 어제 스마트농장 관련 글에서 캄보디아 농지의 한계를 조금 얘기했는데, 세계 어디에도 발생하는 똑같은 문제다. 인간사회는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으로 산업이 발달하고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농업과 제조업을 국외에서 아웃소싱한다. 국내산업에서는 서비스업의 총생산 비중이 높아지게 된다. 지금 미국과 중국이 경쟁하고 있는 분야가 이 지점이다. 아웃소싱으로 일거리가 부족해지고 고용지표가 나빠지면서 리쇼어링을 실시하지만, 1차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하고, 노동의 질이 나쁘며 국내 인건비가 너무 높아서 리쇼어링을 하더라도 매력적인 일자리는 없다. 아웃소싱을 하면서 식량의 생산기지가 된 국가들은 가공되지 않은 농산물은 많이 공급해야 하므로 단위면적당 생산성을.. 2025. 2. 28.
한국과 일본의 쌀 용도별 사용량 비교 1. 주식 소비한국: 한국에서는 쌀이 주식으로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밥은 거의 모든 식사에서 중심이 되며, 특히 백미(흰쌀)가 주로 소비됩니다. 한국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약 60kg 정도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서구화된 식습관의 영향으로 쌀 소비량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입니다.일본: 일본도 쌀이 주식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최근 몇 년간 1인당 쌀 소비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일본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약 50kg 정도로, 한국보다 약간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빵, 면류 등 다른 주식의 소비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용도한국일본1인당 연간 쌀 소비량약 56.7kg(2022년 통계청)약 50.8kg(2022년 농림수산성)주식용 비중약 70%약 60%가공식품용약 2.. 2025. 2. 23.
향후 10년간 세계 쌀 가격 전망과 캄보디아 대응전략 1. 캄보디아 2024년 쌀 수출 현황캄보디아는 2024년 651,522톤의 정미를 수출해서 4억 9119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총 57개 수출업체가 68개 국가에 수출했으며, 이 중 EU는 327,156톤(2억 5,318만 달러), 중국(및 홍콩, 마카오)은 117,925톤(7,566만 달러), 아세안 국가 127,076톤(9,270 달러)를 수출했다. 전체 수출량 중 향미는 76.15%, 백미 18.7% 파보일드 3.1% 유기농 1.78% 등이다. 그리고 도정이 안된 산물벼 5,180,155톤(14억 9600만 달러)를 수출했는데 대부분 베트남으로 수출되었다.2. 향후 10년간 글로벌 쌀 가격 전망 (RaboResearch Food & Agribusiness)1) 상위 9개 수출국의 STU(사용가.. 2025. 1. 30.
수산양식 전망 2025 라보뱅크 라보뱅크에서 발간한 수산양식전망 2025보고서에 발췌. 본 보고서는 대서양 연어, 틸라피아((역돔), 팡가시우스(메기), 새우, Marine finfish(농어, 도미)를 다루고 있는데 그 중 틸라피아, 메기, 새우만 살펴본다. 이 세가지 어종은 아시아 특히 중국과 베트남 생산량이 많기 때문에 항상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생각보다 수산양식이 많지는 않다. 중국의 수질오염으로 민물양식이 베트남으로 많이 이동했다고 들었는데, 이 보고서를 보면 인도네시아의 생산량도 상당히 많다. 물론 생산량, 국내소비량, 수출량을 동시에 봐야 산업을 이해할 수 있다.베트남은 여전히 메기 최대 생산국이고 원래 미국 수요가 많았는데 지금은 중국수요로 바뀌는 듯하다. 흰다리새우는 수질오염과 바이러스 때문에 블랙타이거로.. 2025. 1. 15.
초본성 바이오매스 연료 2024년 바이오매스 REC가중치 개편에서 수입산 바이오매스의 가중치는 0, 국내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의 가중치는 2로 변경된다. 우리나라 숲이 안정화되면서 고유임상의 형태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산림부산물이 증가하고 있다. 수입을 줄이고 국내생산분을 최대한 사용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전히 초본성 바이오매스에 대해서는 REC 가중치가 없는데 이미 많은 장점이 알려져 있으므로 화력발전에 적극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초본성 바이오매스 연료는 풀, 곡물 작물, 잔디, 사료 작물 등 초본 식물에서 얻는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한 연료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연료는 다양한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이점을 제공합니다.초본성 바이오매스 연료의 주요 장점재생 가능 에너지원초본 식.. 2025. 1. 6.
2025년 6개월 비료 가격 전망 Rabobank 요약하면 충분한 재고, 낮은 수요로 인해 NPK 모두 가격이 낮을 것이라는 전망2025년 6개월 비료 가격 전망에서는 우크라이나, 중동의 지정학적 상황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글로벌 에너지 복합체의 극적인 변화는 고려하지 않음. 특히 유럽 천연가스 가격은 질소 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최근 일부 새로운 수요와 공급의 출현과 지속적인 가스 공급 문제가 결합되어 요소 가격에 대한 편향이 예상보다 더 크게 상승했다. 이 특정 편향이 인식보다는 기본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정도는 북반구의 여름 휴가 기간 이후에 명확해질 수 있으며, 특히 옥수수 재배농가의 마진이 현재처럼 계속 나빠보인다면 더 그렇다. 인산은 현재 공급 부족과 구매력 부족으로 좁은 가격대에 머물러 있다. 내년에 가격이 하락할 것.. 2024. 12. 9.
세계 쌀 가격 10년 전망 참고한 보고서는 Ten year outlook for global rice price, Rabobank, 2024.11 https://www.rabobank.com/knowledge/q011456673-ten-year-outlook-for-global-rice-prices-global-rice-supply-growth-slows-demand-remains-steady쌀은 주로 아시아에서 생산되고 소비된다. 물론 남미, 아프리카에서도 일부 수입되어 소비된다. 이는 쌀을 재배적, 이용적 특성 때문이다. https://chongdowon.com/236 위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쌀 생산의 90%는 아시아에서 이뤄진다.지난 20년 동안 재배면적과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모두 증가했다. 베트남은 9개 주요 쌀 수출국 .. 2024. 11. 21.
우리나라 쌀과 술의 생산액 2024 1. 농림업 생산액 및 GDP대비 부가가치 비중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44[단위 : 십억 원, %]19972001201120212022농림업 생산액30,38833,56847,31061,39460,059- 쌀 비중30.331.916.915.513.1쌀 생산액  9,208  10,708    7,995    9,516    7,868- 축산업 비중22.724.831.74042축산업 생산액  6,898    8,325  14,997  24,558  25,225e-나라지표의 통계를 보면 농림업 생산액 중 2022년 쌀의 비중은 13.1%이고 금액으로는 7조 8680억원이다. 축산업은 비중이 42%이고 금액.. 2024. 10. 31.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 1. 세계기상기구에서 10월 28일 발표한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서다. 중요한 두가지 내용은 "CO2 농도는 불과 20년 만에 11.4% 증가했습니다. 엘니뇨 현상과 식물 화재로 2023년 후반 급증 예상"로 보인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엘니뇨현상을 가속화시키고 이는 가뭄을 일으켜서 다시 화재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화재는 다시 이산화탄소발생량을 증가시키게 되면서 같은 현상을 가속화하게 된다. 더 장기적으로 보면 화재로 인한 산림이나 농경지의 황폐화는 뒤따라 오는 홍수를 대비하지 못해 제방의 붕괴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켜 농경지나 산림의 영구적인 불능의 가능성도 만들게 된다. 단순히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가로 온난화가 가속되는게 문제가 아니라 식량 공급의 부족과 생태계 파괴 가능성이 더.. 2024. 10.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