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농촌, 기후변환141

녹지면적과 외로움 코로나 시대에 인간은 이전에 겪지 못했던 집단 격리가 전세계적으로 휩쓸고 지나갔다. 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한가지를 배웠다. 인간은 고립된 상태로 결코 살아날 수 없다는 점을.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타인과 교류하거나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 활동을 하도록 진화했다. 최근 도시화된 환경에서는 반려동물, 반려식물을 키우면서 교류의 부족함을 채워 외로움을 극복한다. 녹지가 많은 도시의 시민이 더 건강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47129 기사에서 다루는 연구결과는 단순히 인구당 녹지면적이다. 프놈펜은 크메르왕조가 북부 시엠립지역에서 남하하여 새롭게 지은 도시로 자연호수와 습지 그리고 농경지를 매립하면서 성장했다. https://chongdowon... 2024. 9. 12.
캄보디아 재래시장, 대형마트 채소 가격 비교 추석을 앞두고 벌써 차례상 물가 때문에 시끄럽다. 우리나라의 농업환경 특성상 시기별로 농산물 가격이 들쭉날쭉일수밖에 없고 기후변화로 예전과 다른 농업환경이 이를 더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 동남아시아를 여행하는 큰 이유 중 하나가 싼 물가일텐데 교통, 숙박, 식당의 가격은 한국보다 싼 것이 틀림없다. 하지만 농산물도 과연 한국보다 쌀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는 내수생산도 많지만 부족분은 수입을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가격 방어를 하고 있기도 하다. 최근 며칠 시장을 둘러보면서 몇가지 채소 가격을 조사해봤다. 항목이 많지는 않지만 캄보디아의 재래시장, 대형마트 그리고 한국의 도매시장의 채소 가격을 비교해 보면 현실이 어떤지 알 수 있을 것이다. (USD 1 = KRW 1,350 = KHR 4,200.. 2024. 9. 5.
한반도 벼 재배 이유 지난 주말에 친구가 유튜브를 하나 보고 한반도 벼 재배에 대해서 물어본게 있어서 다시 정리한다. 사실 이 논쟁은 이미 끝난 문제이고 농업 전공자라면 반문할 가치도 없는 주제이다. 특히 쌀농사라고 제목을 짓거나 언급을 하는 어떠한 매체라도 있으면 그냥 거르면 된다.벼농사이고 우리는 쌀을 가지고 밥을 지어서 먹는 문화권에 살고 있다. 벼, 쌀, 밥을 구분하지 않는 언어권도 많은데 대부분 벼농경 문화가 없는 경우다. 예를 들어 영어권에서는 Paddy (rice), Rice, Steamed Rice라고 한다. 한자로는 취반이라고 하는데 Steamed라는 말도 사실 한국과 일본의 밥짓는 모습과 동남아의 밥짓는 모습을 보면 정확히 맞아 떨어지지도 않는다. 한국 일본은 쌀을 불려 밥솥에 물과 함께 넣어서 (앉히다) .. 2024. 8. 12.
지구 면적의 농업 이용 지구 전체 표면적은 변화가 없지만 빙하기와 간빙기를 반복하면서 인간이 거주하고 농업이 가능한 땅의 면적은 천천히 변화한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급격한 기후온난화는 해수면을 상승시켜 거주 가능한 면적이 점차 줄어 들고 있다. 게다가 인구 증가로 숲의 면적도 감소하고 있다. 숲의 감소는 온난화를 가속시키기 때문에 기후위기를 직면한 지금 어떻게 지표면을 사용하고 있는지 지켜보는 것은 중요한 일이 된다.Our World in DATA에서 2024년 2월 16일 Half of the world’s habitable land is used for agriculture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와 있어서 내용을 정리해 본다.- 1000년 전에는 400만km2만 농업에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 이는 사용 가능한 농지면적의 .. 2024. 7. 31.
감귤, 밀감, 귤, 온주귤 귤 또는 감귤은 감귤나무의 열매로 운향과 Rutaceae 굴속 Citrus 감귤나무종 Citrus. reticulata 에 속한다.온주밀감은 밀감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중국 저장성의 원저우(온주 unshiu)가 원산으로 운향과 귤속 온주밀감종 Citrus unshiu에 속한다. 밀감은 감귤의 재배종으로 22% 정도의 포멜로 유전자가 포함돼 있다. 이 온주밀감은 1911년 제주도에 최초로 들어와 감귤나무의 효시가 되었으나 2019년 4월 고사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http://www.jejuilbo.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748 제주 최초 온주밀감 결국 고사 '역사 뒤로' - 뉴제주일보1911년 제주도에 최초로 들어온 감귤나무의 효시인 온주밀감(미장온주)이 결국 고.. 2024. 7. 22.
수탈형 농업과 생태농업의 갈림길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인구를 뒷받침 한 것은 녹색혁명이다. 화학비료의 발명과 육종학 그리고 유전공학으로 이어지는 녹색혁명은 식량생산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켜 지금의 인구를 먹여 살리는 것은 물론이고 가축의 먹거리까지 충분히 제공한다. 덕분에 우리 식탁은 풍성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먹거리를 매일 거르지 않고 먹을 수 있게 되었다. 물론 부자나라에 국한된 이야기지만.최근에는 수직농장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농업과 축산은 생산환경이 물리적으로는 수평적이다. 밭을 이층으로 쌓아서 농사를 지을 수 없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아무리 높아지더라도 더 많은 생산을 위해서는 더 많은 면적이 필요하다. 수직형 식물공장들이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되었지만 물리적 한계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래서 농산물 공급에 있어서.. 2024. 7. 6.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2023 이 자료는 2023년 12월 31일 발간된 농림축산식품부의 농립축산식품 주요통계에서 발췌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https://www.data.go.kr/tcs/dss/selectDataSetList.do?dType=FILE&keyword=&operator=&detailKeyword=&publicDataPk=&recmSe=&detailText=&relatedKeyword=&commaNotInData=&commaAndData=&commaOrData=&must_not=&tabId=&dataSetCoreTf=&coreDataNm=&sort=updtDt&relRadio=&orgFullName=%EB%86%8D%EB%A6%BC%EC%B6%95%EC%82%B0%.. 2024. 7. 2.
가축분뇨 발생량 및 처리현황 우리나라는 축산을 위해서 많은 양의 곡물을 수입한다. 가축이 먹고 나면 분뇨가 발생하는데 원래 우리 땅에서 생산한 곡물이 아니기 때문에 고스란히 쓰레기가 된다. 원래라면 다시 흙으로 돌아가야 한다. 그래서 분뇨 발생량을 살펴봤다. 해양투기가 금지되기 이전부터 우리 정부는 축산분뇨와 축산폐기물의 자원화를 꾸준히 지원하여 통계상으로는 대부분의 축산분뇨가 자원화(퇴비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생산된 축산퇴비가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관한 자료는 없다. 게다가 농경지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생산 축산퇴비 사용량 역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어떤 통계를 제시하더라도 산술적으로 가축분뇨를 국내에서 완전히 소비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내가 주장하는 바는 북한에 보내자는 것이다. 가축분.. 2024. 6. 17.
물 발자국과 축산폐기물 처리 방안 동기단톡방에서 얘기가 나왔는데 예전에 써 둔 글을 찾지 못해서 다시 작성. 내용은 단톡방에서 복붙환경분야에서 LCA life cycle assetment 전생애평가라는 개념을 적용하는데, 예를 들어 생수 500mL가 천원에 팔리는데 여기에는 물을 뽑아서 정수하고 담고 유통하는 비용이 포함된거지. 그런데 발생하는 쓰레기처리비용하고 지하수 개발에 따른 환경파괴에 대한 비용은 들어가 있지 않거든. 만약  LCA를 적용하면 천원이 아니라 더 비싼 비용이 되어야 한다는거지. 다만 공적 영역에 가깝기 때문에 공공에서 비용을 처리하는거지. 핵발전 단가가 30년전 하고 달라지게 된 이유가 LCA를 적용했던건데 처음에는 핵폐기물 처리비용을 낮게 잡았다가 도시화되고 폐기물이 생각보다 처치곤란인 문제가 되니까 이 폐기비용이.. 2024. 6. 14.
국제 카카오 생산량, 가격 추이 카카오닙을 구매하시려는 분이 계셔서 베트남산 카카오를 알아봤더니 가격이 2022년 대비 3배 올랐다. 그래서 가격 조사를 좀 해봤다. 참고로 캄보디아에는 2개 카카오 농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중 하나의 농장은 라타나끼리에 있다. 이 농장은 연간 20톤을 생산하고 5월에 출하한다. 농장주 혹은 투자자는 말레이시아인으로 보인다.코코아는 코코아 나무에서 열리는 열매의 씨앗을 분말로 만든 것인데, 코코아 생두를 수확한 다음 건조하면 닙이 된다. 이 닙을 분말로 만들어서 음료나 다른 상품으로 만들게 된다. 코코아 나무는 Theobroma cacao 신들의 음식이라는 이름을 가진 상록수로 열대 우림지역에서 서식하고 15미터까지 자랄 수 있다. 재배 적합지역은 북위 20도와 남위 20도 사이의 온도가 16.. 2024. 6.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