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농촌, 기후변환141

개도국 농업에서 iot 활용 최근에 CAMFOOD CAMBUILD CAMAGRI 전시행사가 연속으로 개최되었다. 코로나 이전보다 규모가 줄어들고 건설은 중국업체 농업은 베트남업체 위주로 행사 참여가 있어서 크게 관심을 두고 볼거리는 없었다. CAMBUILD에서 캄보디아 통신사인 SMART는 가정용자동화시스템을 선보였는데 이미 1~2년전부터 관련 제품을 판매하고 있던 것을 일원화하여 보여 주고 있었다. 특히 최근 이 통신사는 M2M요금제를 개인에게 개방했는데 기존에는 iot에 사용 가능한 요금제를 기업에게만 판매했고 기업은 개인에게 재판매하는 방식이어서 접근이 어려웠다. 캄보디아처럼 전기와 통신 인프라가 취약한 곳에서 오히려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었는데 개인용 요금제를 출시하여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 2023. 9. 21.
기후변화와 농업 생산 기후변화와 환경문제를 다룬 조금 흥미로운 책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을 읽고 있는데 몇가지 데이터들에 대한 확인이 필요해서 자료를 찾아봤다. 1. 삼림면적 감소와 농업생산 삼림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마찬가지로 농업재배면적도 감소하고 있다. 반면 생산량은 농축산 모두 증가했다. 미국과 유럽의 이산화탄소 배출은 최근 감소하고 있지만 중국과 인도의 폭발적인 증가로 전지구로 볼 때 감소량은 미미하다. 구체적으로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960년 9,387,668,000 1970년 14,898,716,000 1980년 19,501,563,000 1990년 22,757,480,000 2000년 25,453,623,000 2010년 33,364,347,000 2020년 35,264,086,000이다. .. 2023. 9. 5.
작물의 영양소 감소 2015-09-30 15:37:53 자주 가는 농업관련 블로그에 글(http://blog.daum.net/stonehinge/8724935)이 있어서 원문을 찾아봤다. 기사 원문 http://www.nytimes.com/2015/09/15/science/a-decline-in-the-nutritional-value-of-crops.html?smid=tw-nytimesscience&smtyp=cur&_r=0 기사에 따르면, 몇 몇의 연구결과로 볼 때 농작물의 영양소가 감소하긴 했지만, 토양에 의한 문제는 아니라고 한다. 오히려 재배종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 농법이나 화학비료의 사용도 또다른 원인이다. 논문 http://hortsci.ashspublications.org/content/44/1.. 2023. 8. 29.
Nawa Kekulama farming, 나와 케쿨라마 농법 2017-02-01 22:07:00 '농업이 문명을 움직인다'에 소개돼 있는 스리랑카에서 고대농법을 통해 개발한 벼농사법인 '나와 케쿨라마'. 핵심은 두가지인데 하나는 태음력에 따르는 것과 다른 한가지는 갈지 않고 피복재배를 하는 것이다. 태음력을 따르는 이유는 북서 계절풍이 부는 시기에 농사를 지음으로써 일조시간을 늘리고, 계절풍 직후 건기가 시작되어 해충의 발생도 줄여준다. 이런 주기에 따라 물의 사용도 줄어 들게 되었다. 두번째는 농사를 시작하면서 처음에만 농지를 적셔주고, 바로 직파를 하는 것이다. 써레질을 하지 않기 때문에 땅 속 생물들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을 쓰는 농법중에 하나가 태평농법인데, 장점은 많지만 현대농업에서 잘 적용되고 있지는 않다. 여기서 밝히는 피복의 장점은 보온이.. 2023. 8. 29.
기아와 버려지는 식량 2016-10-11 17:26:37 내가 기아문제에 크게 관심있지는 않지만 어쨌건 세계적인 기아 발생의 원인은 불공평한 식량공급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생산되는 식량과 버려지는 식량 그리고 그 사이에서 농민들의 이익과 관련하여 항상 염두에 둘 수밖에 없다. http://www.worldhunger.org/2015-world-hunger-and-poverty-facts-and-statistics/ 에 따르면 영양부족에 빠진 인류는 전체의 10.9퍼센트로 794.6백만명에 이른다. 아프리카는 인구의 20%가 영양부족 상태가 지역별 가장 높은 수치이다. http://www.worldfooddayusa.org/food_waste_the_facts 에서는 UNEP의 보고서를 인용하여 산업국가에서 매년 버려지는 .. 2023. 8. 28.
농업생산과 배후 산업의 발전 속도 2017-08-21 16:47:20 요약 전통적으로 농업에서는 기상을 최대 과제로 보았고, 고대부터 비를 부르고 멈추게 하는 제사장들이 권력을 가졌다. 현대에 있어서는 기상 뿐 아니라 식탁까지 원활하게 가져다 줄 배후산업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캄보디아 망고를 예로 보면, 지금까지 캄보디아 망고는 여러가지 이유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에서 망고 농장이 개발되기 시작었고, 주변국 수요 증가로 저가의 고품질 망고를 중간 유통상인이 매입하여 육로로 신선망고 판매했다. 최근에는 냉동, 건조 등의 새로운 수요가 생겨 가공공장이 설치되고, 가공상품이 유통되고 있다. 앞으로는 국제 수요에 맞춰 항공, 선박을 통한 신선망고 유통으로 고부가가치를 얻는 한편 자체 상표와 국제 표준 품질관리를 통해 글로벌 수요에 대응할 필요.. 2023. 8. 28.
개인용 기상관측대, PWS, Personal Weather Station 2017-10-31 22:51:15 기후와 기상은 우리 일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몇가지 직업군에서는 특히 더 중요하다. 나처럼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기상의 기록과 예측, 기후의 변화가 투자와 수익의 변동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특히 더 중요하다.학교 다닐 때는 많은 비용으로 구축한 기상대가 있어서 쉽게 자료를 얻어 활용했지만 소규모 또는 개인이 운용하기에는 쉽지 않다. 캄보디아의 취약한 기상자료 때문에 늘 애 먹다가 최근에 중국제조업의 도움을 받았다.제품은 알리익스프레스에서 Misol 로 검색하면 나오는 것으로 온습도, 풍향속, 광량, 강우 등 기본적인 것들을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기록된 정보는 https://www.wunderground.com/ 와 같은 기상 .. 2023. 8. 28.
캐슈넛 등급 기준 2018-03-28 20:37:47 WW 는 White Whole 을 뜻하며 피해를 입거나 분쇄되지 않은 것으로 가장 높은 등급에 해당된다. 그 다음 등급으로는 S, B가 있다. Scorched 는 white 보다 더 검은 것이다. http://cashewindia.org/cashew-grades https://www.afius.org/resources/Documents/AFI%20Specifications/cashews-part-i.pdf 숫자는 파운드당 캐슈넛의 갯수로 WW240은 1파운드에 240개의 너트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숫자가 낮을수록 개당 사이즈가 크고 좋은 캐슈넛이다. 숫자 기준은 180 210 240 320 450 1파운드는 453.492 그람 2023. 8. 28.
이산화탄소가 식물에 주는 영향 2018-05-23 15:23:25 아주 기본적인 상식으로 녹색식물 또는 광합성을 하는 생물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여, 대사산물을 만드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래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 광합성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아래의 기사에 따른 연구 결과를 보면 이산화탄소가 영향을 주는 것은 맞지만 실제로는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토양 내 무기 질소라고 한다. http://www.sciencetimes.co.kr/?news=%EC%9D%B4%EC%82%B0%ED%99%94%ED%83%84%EC%86%8C-%EC%A6%9D%EA%B0%80-%EC%8B%9D%EB%AC%BC%EC%97%90-%EC%A2%8B%EC%9D%84%EA%B9%8C C3와 C4 식물을.. 2023. 8. 28.
기상이 쌀 생산에 주는 영향 2017-02-27 15:53:24 기상과 기후, 농업생산성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많은 논문이 있는데, 선진국의 농업에서는 기후 보다는 기상, 기상 보다는 시장에 따라 생산성이 달라진다고 생각한다. 그 말은 상업작물들은 대부분 시시각각으로 변해가는 기상에 대응할 수 있거나,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말이다. 어쨌건 범지구적인 기후 문제와 국지적인 문제는 또 다르기 때문에 둘을 한번에 엮어서 말하기는 어렵다. 최근 3년 정도 캄보디아 농업기상과 벼 또는 작물생산성, 그리고 기아(식량부족)의 상관성을 찾아 보고자 꾸준히 자료를 보고 있다. 아직 결론은 없지만, 생산량 보다는 농가수익에 더 관심을 두어야 벼 생산과 기아의 상관성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avg month avg 6~10 rainfall yr rai.. 2023. 8.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