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캄보디아89

캄보디아 GAP 제도 2021/01/20 15:56 1.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의 개념 (인용문헌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ps;jsessionid=Ss1hP2hzO2arE443xcai9RUgCs08185caZjxAdpIa6A8dnFGM4OfZvGKl1Kr11Pb.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0067&kidofcomdtyNo=28220) GAP는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농축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자 및 관리자가 지켜야 하는 생산 및 취급 과정에서의 위해요소 차단 규범을 의미하는 것으로, - 환경에 대한 위해 요인을 최소화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 2023. 3. 24.
캄보디아 축산 시장 동향 2021 2021/02/03 22:13 1. 현황 : 쌀, 카사바, 옥수수 등 대표적인 농산물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농축수산물은 내수공급이 부족하다. 축산물 역시 공급이 부족하여 수입으로 모자란 부분을 대체하는 한편 캄보디아 정부는 내수생산을 늘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 그럼에도 부족하고 부족한 자금과 CP라는 강력한 축산기업 때문에 내수생산이 원활하지는 않다. 2. 가격 동향 : 축산물 가격은 주변국으로부터 수입이 원활하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다만 2020년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수입과 유통이 불안정하여 가격이 일부 상승했다. 지난 6년간 각 축산물의 평균가격을 보면 2020년 평균가격이 현저히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riel/kg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평균 Beef 40,9.. 2023. 3. 24.
캄보디아 농업간이조사 2019, Cambodia Inter-Censal Agriculture Survey 2019 (CIAS19) 2021/02/10 17:28 1. 지역구분 1) Plain Zone(범람지역) : Phnom Penh, Prey Veng, Svay Rieng, Takeo, Tboung Khmum, Kandal, Kampong Cham(프놈펜, 쁘레이벵, 스바이리엥, 따께오, 뜨봉크뭄, 껀달, 깜퐁참) 2) Tonle Sap Lake Zone(뚠레삽 호수지역) : Pailin, banteay Meanchey, Battambang, Otdar Meanchey, Siemreap, Kampong Chhnang, Kampong Thom, Pursat(빠일린, 반떼이민쩌이, 바탐방, 오다민쩌이, 시엠립, 깜퐁츠낭, 깜퐁톰, 뿔삿) 3) Coastal Zone(해안지역) : Kampot, Kep Koh Kong, Preah Si.. 2023. 3. 23.
캄보디아 신선망고의 중국수출 2021/04/28 11:09 2021년 4월 27일 캄보디아 농업부 장관은 본인의 페이스북에 캄보디아 신선망고 중국수출을 위한 중국검역기관의 공식 승인을 발표했다. 캄보디아-중국의 양자간 FTA를 통해 캄보디아는 연간 50만톤의 신선망고를 중국으로 수출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전까지는 VHT, HWT 설비 승인을 받지 못해 수출을 하지 못했다. 지난 2년간 캄보디아의 망고 생산은 중국 수출을 기대로 이전보다 훨씬 증가했지만 갑자스러운 팬더믹 사태와 준비되지 못한 내부 사정으로 수출이 제한되어 망고재배 농민들과 관련 산업종사자들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베트남을 통한 국경 무역으로 많은 물량의 망고가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었는데 국경 봉쇄로 인해 수출이 제한되어 망고 가격의 폭락과 가격 회복이 되지 않.. 2023. 3. 23.
캄보디아 농업생산현황 2020과 분석 2021/06/23 13:12 2021년 4월 발간된 '캄보디아농업국 연례보고서 2020 및 이전의 자료를 분석하면 1. 작물분야 벼 재배면적은 3,404,131ha으로 2019년 보다 75,285ha 증가했다. 벼 생산량은 10,935,619톤이고 자연손실분과 국내수요량을 제외한 잉여벼는 5,922,136톤 (정미기준 3,790,167톤)이다. 지난해 정미 약 60만톤 수출하여 여전히 많은 양의 쌀이 남아도는 것을 알 수 있다. 베트남에서 자스민85와 OM2490의 교잡종인 OM5451품종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베트남 국경 지역에서는 물벼(Paddy)로 수출되는 물량 역시 증가하고 있다. 상업작물(부작물) 재배면적은 986,543ha (옥수수, 카사바, 고구마, 채소, 녹두, 땅꽁, 대두, 참깨, .. 2023. 3. 23.
Uraria lagopodioides, 캄보디아 야생화 2021/11/05 08:37 Uraria lagopodioides (Linn,) Desv. Ex. Dc. 줄기가 60cm까지 자라는 콩과식물로 해발 900m이하의 남중국,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인니, 필리핀호주 등지에 서식한다. 그 때문인지 영어명은 없고 우리말로도 명칭이 없다. 캄보디아어로는 'កន្ទុយកំប្រុក 껀뚜이 깜쁘록' Medical Plants of Cambodia에 따르면 식물체 전체는 이질, 호흡계통, 류머티증, 발열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참고 http://tropical.theferns.info/viewtropical.php?id=Uraria+lagopodioides 2023. 3. 22.
캄보디아 기후변화 2021 2021/11/21 22:54 1. 캄보디아 기후현상 캄보디아는 고온의 열대기후로 몬순우기(5~10월)와 건기(11월~4월)의 두 계절로 나뉜다. 몬순우기에는 연중 강우량의 80~90% 비가 내린다. 2의 지역 구분에 따라 지역적으로 강우량은 1400~2000mm로 내린다. 평균기온은 전국에 걸쳐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우기 직전에 32도의 최고 온도를 보이고 우기 중에는 25~27도를 나타낸다. 엘니뇨 현상으로 따뜻하고 건조하게 되고, 라니냐현상은 시원한 공기를 공급한다. 캄보디아 연평균 기온은 25~27이지만 최고 기온은 38도까지 올라가고 최저기온은 17도까지 떨어질 수 있다. 1960년대 이후로 10년마다 0.18도가 상승했다. 건기인 11~4월에는 급속히 상승하여 10년마다 0.20~0.2.. 2023. 3. 21.
콩과 녹두 이야기 2021/12/08 17:07 우리나라는 콩과 작물 중에 메주콩으로 불리는 대두를 가장 많이 먹는다. 된장, 간장을 담기도 하고 두부, 두유도 만들어 먹기 때문에 소비가 많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콩나물을 키울 때도 대두를 많이 쓰는데, 콩나물은 겨울철 신선한 채소를 구하기 어려울 때 가을에 수확한 콩을 길러 채소로 쓸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반면 녹두나물은 콩나물에 비해서 많이 먹지 않는데, 숙주나물로 불릴 만큼 잘 쉬기 때문이다. 동남아지역에는 콩나물은 오히려 귀하고 녹두나물이 흔한데 여기에는 콩과 녹두가 비슷해 보이지만 재배환경이 다른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동남아 거주하시는 분들에게 자주 질문 받는 것 중 하나가 왜 제대로 된 콩나물이 없냐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정리해 본다. 1. 대두와 녹두의 .. 2023. 3. 21.
반딧불과 별 사진 촬영 2021/12/14 22:58 건기가 되면서 반딧불이 많아지기 시작해서 반딧불 촬영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을 조금 공부하신 분들은 알겠지만, 야간 촬영은 1. 삼각대 2. ISO 3. 장노출 4. 조리개의 조합이 잘 맞아 떨어져야 한다. 환경적으로는 빛공해가 적고 구름이 없어야 별사진을 찍기에 유리하다. 반딧불은 반대로 달빛이 없는 날이 더 유리하다. 빛 공해를 알려주는 사이트를 보면 강남역은 104가 나오고, 내가 있는 지역은 0.05가 나온다. 그리고 구름 레이더가 특히 중요한데 야간에 촬영을 해야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술시간과 겹치게 된다. 구름 정보를 확인하고 구름이 많을 때를 피하면 술을 마실지 안 마실지 결정할 수 있다. 빛 공해 검색 https://www.lightpollutionmap... 2023. 3. 21.
2021년 캄보디아 농업 분석 2021/12/28 12:59 2021년은 지속된 코로나 팬더믹의 영향으로 캄보디아의 농업은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다만 2021년 11월을 기점으로 위드코로나가 실시되고 포스트코로나에 대한 기대로 다양한 농업생산증대를 위한 정책과 각계의 목소리가 늘어나고 있다. 2021년 게재된 언론기사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생산, 쌀 수출2021년 1~11월 쌀 수출은 532,179톤으로 예년보다 약 7만톤 가량 감소한 상황이다. 수출 도정미의 70%는 장립향미품종이다. 반면 베트남으로의 산물벼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은 주로 메콩강 하류 지역의 캄보디아-베트남 국경지대의 IR계열 중단립벼를 수입하고 있다. 한편 캄보디아는 캄-중 FTA의 결과로 2021년 40만톤의 수출쿼터를 받았지만 .. 2023. 3.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