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캄보디아89

캐슈넛 가공공장 2018-04-05 09:46:11 프놈펜 인근에 위치한 캐슈넛 가공공장. 캐슈애플의 끝에 자라는 너트는 나무에서 떨어진 것을 주워 모은 뒤, Shell 이라고 불리는 껍질을 벗긴 것을 너트라고 부른다. 보통은 이 껍질을 분리하는 과정을 수작업으로 했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했는데, 최근에는 기계화 되었다. 캐슈나무는 망고나무와 같이 옻나무과로 기름에 독성이 있다. 박피 후 모아진 껍질은 착유를 하게 되는게 동남아에서 만들어지는 저가의 옻칠용으로도 사용된다. 산업용으로는 선박 외부에 도장용으로 쓰거나 바이오 중유로도 사용된다. 껍질이 분리된 너트는 분류기준에 따라 등급이 나뉘에 된다. 캐슈넛 등급기준 http://chongdowon.com/5905885 >>링크수정필요 분리된 뒤 다시 볶는 것과 볶지.. 2023. 8. 3.
추가20150520) 캄보디아 소금, 염전, 캄폿, Salt field Cambodia, Kampot 2014-03-25 11:35:56 캄보디아 바닷가의 염전에서 생산되는 소금.방문한 곳은 남부 해안의 캄폿이지만, 캄폿, 껩, 꼬꽁 등 해안선을 따라서 무수히 많은 염전들이 있다. 염전은 1960년대에 시작. 1975-1979 크메르 루즈 시기에는 협업체계를 이루고 주로 여성 노동자1975-1989 국가 매입형1990 다시 사유화1998-1999 폭우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소금가격이 폭등, 가격 안정화를 목적으로 정부와 민간의 Joint Venture 설립2000 후반 시장 가격체제로 전환2004년 5월 17일 소금협회 설립노동자 인건비는 통상 월 18,000리엘 ~ 400,000리엘(45~100불)생산된 소금은 육로로 프놈펜과 깜폿 인근인 따께오, 시하눅빌, 껀달로 수송. 깜퐁참과 스뚱뜨렝에는 배로 수.. 2023. 7. 26.
부산물과 축산 요약 1. 싼 고기를 먹기 위한 밀식 축사에는 더 많은 사료가 공급되어야 한다. 2. 돼지 한마리는 생각보다 많이 먹는다. 3. 캄보디아는 여전히 인당 섭취 열량의 수준이 낮고(2018년 기준 세계 134위) 식탁에서 부산물이 나올 여지가 적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food_energy_intake List of countries by food energy intak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ap of average daily dietary energy availability per capita in 2006–2008.[1] no data 2023. 7. 4.
캄보디아 유일의 해상 물류항 시하눅빌항 PAS 오랜만에 시하눅빌항을 방문했다. 예전에는 냉장컨테이너 운송이 가능한지 확인을 위해서 항만시설 내 컨테이너용 전력사용 확인차 방문했었다. 이번 방문의 주요 목적은 벌크선 입항 가능한지, 배후시설은 충분한지, 업종에 따라 민원발생 여지가 있을지 등이었다. 결론은 모두 문제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시하눅빌항은 캄보디아 유일의 해상물류항이다. 프놈펜항은 메콩강으로 연결되는 River port다. 벌크선이 입항 가능한 13m이상의 수심을 가지고 있지만 벌크선은 설비 규모의 10% 밖에 사용되지 않고 있다. 주로 컨테이너항으로 사용되는데 상세한 스펙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목적항에서 벌크선이 입항 가능하고 선적과 하역도 가능하다. 또 Tanker도 입항 가능하고 현재 석유제품을 수입하는데 사용된다. ht.. 2023. 7. 2.
캄보디아 농업 통계 공유 (2001년부터) 캄보디아 농업부MAFF의 연례보고서(Annual report) 자료를 10년 이상 취합해서 가지고 있다. 별도로 쌀 수출자료도 함께 가지고 있다. 캄보디아 농업에 대해서 문의가 오면 객관적인 수치를 제공하고 논문을 쓰게 될 경우 활용하려고 가지고 있던 것이다. 물론 논문을 한번 내기도 했다. 혼자 가지고 있던 자료를 공유하게 된 계기는 몇가지 이유가 있는데 우선 데이터개방이다. 생각해보니 나도 항상 캄보디아의 공공데이터 개방에 대해서 문제 삼았는데 내가 가지고 있는 자료를 공유하지 않는 것 역시 같은 맥락에서 웃기는 행동이었다. 두번째는 공유를 통해서 더 나은 방향설정이다. 구슬이 서말이어도 꿰어야 보배라고 했듯이 다양하게 해석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여럿이 고민하면 더 좋을 것 같다. 세번.. 2023. 6. 16.
국제원당 시세와 캄보디아 원당 생산 현황 2023년 1. 국제 원당 시세 (출처 aT 국제곡물시장정보) 원당시세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2018년 360불에서 코로나 직전에 280불까지 떨어졌다. 2018년 이전에 400불까지 올라간 적이 있어서 이 즈음에 캄보디아에도 3곳의 원당공장이 투자되었다. 하지만 낮은 사탕수수 생산량, 국제시세의 하락으로 코로나 시기에 4곳의 공장이 폐업했다. 2. 캄보디아 생산 현황 2018년 캄보디아 3개 원당공장이 총 120,126톤 생산 Rui Feng, Yellow Field, Koh Kong Sugar 등이며 총 5개 공장이 있다. 나머지 2곳은 끄라체의 인도계 공장(KAMADHENU VENTURES), 깜퐁스푸의 Phnom Penh Sugar(10만톤으로 추정됨) 2020년 이후로 이 4공장은 모두 경영 악화로 폐업.. 2023. 5. 3.
아보카도 품종, Variety of Avocado, 캄보디아, Cambodia 2019/10/11 12:49 아보카도는 하나의 종자와 큰 과육을 가진 과일로 500개 이상의 품종이 있다. 나무는 400년 이상 살 수 있고, 원산지는 중앙멕시코 남부지역이다. 최초로 발견된 것은 멕시코 푸에블라 시정촌(Coxcatlán, Puebla, Mexico)으로 기원전 1만년으로 알려져 있다.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는 기원전 5천년 초기에 재배종이 전파되었다. 아보카도라는 말은 아즈텍언어의 "ahuacatl"에서 기원되었는데 '고환'이라는 의미다. 또 모양과 껍질 때문에 '악어배'라고도 알려져 있다. 전세계 아보카도 주요 생산국은 멕시코, 페푸, 콜롬비아, 도미니카공황국, 인도네시아, 미국 캘리포니아이고 95%의 생산량을 차지한다. 대부분 Haas 품종을 재배한다. https://www... 2023. 3. 29.
캄보디아 망고 2020 (품질, 생산, 주요 품종) 2020/08/20 15:35 이전글 http://chongdowon.com/5902807 국내에 여러 국가의 신선망고가 수입되면서 국별, 품종별 특성이 세분화되고 있고 특히 수입업체(유통업체)들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시즌별로 바꾸어 망고를 수입하고 있다. 캄보디아 망고는 아직 그 형질이 체계적으로 구분되어 있지 않고 있으나 최근 연구 자료가 증가하고 있다. 국별 대표품종들에 대해 유전자형질의 유연관계가 분석되면 쉽게 구분 가능하겠으나, 아직 그런 자료가 없어서 표현형으로 구분하는 수 밖에 없다. 캄보디아 대표 품종 중 1위는 Keo Romeat이고 그 외 keo chen, keo reach, keo tep 등의 주요 품종이 있다. 생산은 연중 가능하나 자연개화 1회와 개화제를 사용하여 생산하는 1회 .. 2023. 3. 27.
캄보디아) 우기 빗물 수집 장치, water hall 2020/08/27 16:37 Cambodia News English에 소개된 우기 빗물 수집 및 식수 여과 장치 https://cne.wtf/2020/08/26/community-hall-that-harvests-clean-drinking-water/ 홍콩의 한 건축사무소에서 고안된 이 시설은 우기에 비를 모아 식수로 사용 가능하도록 바로 여과된다. 비를 모으는 시설과 여과 후 저장하는 시설로 두개의 건축물이 함께 설치되고 작동한다. 캄보디아는 메콩강 수계 지역의 비소 문제와 암반 관정 지하수 개발과 관리의 어려움으로 식수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낮다. 최근에는 역삼투압과 UV로 여과한 저가의 생수가 무분별하게 개발되어 판매되지만 안전성에 있어 의문이 많이 간다. 캄보디아는 연중 4개월 정도의 우기에 연.. 2023. 3. 27.
농장 내 기상변화와 기후변화 예측 2021/01/04 16:15 여러번 말했지만 기후변화학과에 입학할 때까지만 해도 기후변화는 정치적 이슈라고 생각했고, 가장 재미있게 본 책이 기후변화의 정치학이었다. 지금도 국제기구들은 기후변화에 많은 돈을 쓰고 있는데, 그 모든 활동이 온전히 기후변화를 위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와는 별개로 2019년과 2020년 11월 12월 그리고 1월의 기상을 보면 평소에 느끼던 날씨가 아니란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 지난 3년간 농장에 PWS를 설치하고 기상을 관찰했는데, 아쉽네 18개월만에 통신부품이 고장나서 강우량을 제외한 온습도와 일조량의 자료는 획득하지 못했다. 결과는 위의 표로 요약되는데, https://en.climate-data.org/asia/cambodia/ (2020년 9월 21일 15.. 2023. 3.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