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mbodia73

캄보디아 GAP 제도 2021/01/20 15:56 1.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의 개념 (인용문헌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ps;jsessionid=Ss1hP2hzO2arE443xcai9RUgCs08185caZjxAdpIa6A8dnFGM4OfZvGKl1Kr11Pb.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0067&kidofcomdtyNo=28220) GAP는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농축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자 및 관리자가 지켜야 하는 생산 및 취급 과정에서의 위해요소 차단 규범을 의미하는 것으로, - 환경에 대한 위해 요인을 최소화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 2023. 3. 24.
캄보디아 축산 시장 동향 2021 2021/02/03 22:13 1. 현황 : 쌀, 카사바, 옥수수 등 대표적인 농산물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농축수산물은 내수공급이 부족하다. 축산물 역시 공급이 부족하여 수입으로 모자란 부분을 대체하는 한편 캄보디아 정부는 내수생산을 늘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 그럼에도 부족하고 부족한 자금과 CP라는 강력한 축산기업 때문에 내수생산이 원활하지는 않다. 2. 가격 동향 : 축산물 가격은 주변국으로부터 수입이 원활하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다만 2020년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수입과 유통이 불안정하여 가격이 일부 상승했다. 지난 6년간 각 축산물의 평균가격을 보면 2020년 평균가격이 현저히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riel/kg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평균 Beef 40,9.. 2023. 3. 24.
캄보디아 기후변화 2021 2021/11/21 22:54 1. 캄보디아 기후현상 캄보디아는 고온의 열대기후로 몬순우기(5~10월)와 건기(11월~4월)의 두 계절로 나뉜다. 몬순우기에는 연중 강우량의 80~90% 비가 내린다. 2의 지역 구분에 따라 지역적으로 강우량은 1400~2000mm로 내린다. 평균기온은 전국에 걸쳐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우기 직전에 32도의 최고 온도를 보이고 우기 중에는 25~27도를 나타낸다. 엘니뇨 현상으로 따뜻하고 건조하게 되고, 라니냐현상은 시원한 공기를 공급한다. 캄보디아 연평균 기온은 25~27이지만 최고 기온은 38도까지 올라가고 최저기온은 17도까지 떨어질 수 있다. 1960년대 이후로 10년마다 0.18도가 상승했다. 건기인 11~4월에는 급속히 상승하여 10년마다 0.20~0.2.. 2023. 3. 21.
반딧불과 별 사진 촬영 2021/12/14 22:58 건기가 되면서 반딧불이 많아지기 시작해서 반딧불 촬영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을 조금 공부하신 분들은 알겠지만, 야간 촬영은 1. 삼각대 2. ISO 3. 장노출 4. 조리개의 조합이 잘 맞아 떨어져야 한다. 환경적으로는 빛공해가 적고 구름이 없어야 별사진을 찍기에 유리하다. 반딧불은 반대로 달빛이 없는 날이 더 유리하다. 빛 공해를 알려주는 사이트를 보면 강남역은 104가 나오고, 내가 있는 지역은 0.05가 나온다. 그리고 구름 레이더가 특히 중요한데 야간에 촬영을 해야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술시간과 겹치게 된다. 구름 정보를 확인하고 구름이 많을 때를 피하면 술을 마실지 안 마실지 결정할 수 있다. 빛 공해 검색 https://www.lightpollutionmap... 2023. 3. 21.
2021년 캄보디아 농업 분석 2021/12/28 12:59 2021년은 지속된 코로나 팬더믹의 영향으로 캄보디아의 농업은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다만 2021년 11월을 기점으로 위드코로나가 실시되고 포스트코로나에 대한 기대로 다양한 농업생산증대를 위한 정책과 각계의 목소리가 늘어나고 있다. 2021년 게재된 언론기사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생산, 쌀 수출2021년 1~11월 쌀 수출은 532,179톤으로 예년보다 약 7만톤 가량 감소한 상황이다. 수출 도정미의 70%는 장립향미품종이다. 반면 베트남으로의 산물벼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은 주로 메콩강 하류 지역의 캄보디아-베트남 국경지대의 IR계열 중단립벼를 수입하고 있다. 한편 캄보디아는 캄-중 FTA의 결과로 2021년 40만톤의 수출쿼터를 받았지만 .. 2023. 3. 21.
한국 미국 캄보디아 옥수수 생산원가 분석 2022/01/05 16:04 한국 미국 캄보디아 옥수수 생산원가 분석 1. 국별 농업생산성의 차이와 이해를 통한 농업투자 국별로 농업환경에 따라서 농산물 생산원가는 차이날수밖에 없지만, 농업을 유지하는 것은 수입했을 때 물류비가 더 높거나 안정적인 공급을 확보하는 등 다양한 이유가 있다. 이런 별 의미없는 3개국의 옥수수 생산을 비교하는 것은 생산량이 가장 많고 첨단기계화된 미국, 적어도 옥수수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기계화가 덜 되고 사료용이 아닌 우리나라, 그리고 농가소득에 큰 도움이 되면서 식용과 사료용을 구분없이 조방적인 면적에 노동집약적으로 재배하는 캄보디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특히 농업투자를 할 때 세밀하게 관찰하지 않은 투자자들이 흔히 빠지기 쉬운 오류가 한국의 식용옥수수의 높은 단가, 미국.. 2023. 3. 21.
2021년 캄보디아 기상현상 분석 2022/01/17 13:14 1. 기상자료 공개 우리나라도 이제야 공공데이터 개방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긴 하지만, 캄보디아는 정말 개방을 안해준다. 자료가 없는게 아니라 돈을 주고 사야한다. 웃기게도 해외원조를 받아서 수치를 만들었는데도 개방 안해 준다. 오늘 찾은 기상자료는 AWS자동기상대를 클라우드에 업로드하고 개방한 것이다. 온습도와 강우량 등 제한적인 정보만 나오지만 기초환경을 파악하기에는 유용하다. UNDP의 지원으로 ADCON TELEMETRY라는 기상정보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 캄보디아 내 23개지역에 기상대가 설치돼 있다. http://110.74.207.107:8080/livedata/map.jsf?units=metric 물론 이외에도 PWS개인용기상대를 클라우드에 연결해서 쓰는.. 2023. 3. 21.
캄보디아 두리안 2022/01/27 17:04 예전에 시장조사를 하면서 어디엔가 기록을 남긴 줄 알았는데 기록이 없어서 새로 작성. 캄보디아 두리안 품종에 대한 문의가 있어서 짧게 답을 했다. 2019년 시장 조사를 했을 때 묘목 가격이 9불/주까지 상승했는데, 기존에는 7불 선이었다. 중국인의 엄청난 두리안 사랑과 함께 캄보디아 역시 중국인 수요가 늘어나면서 두리안과 묘목가격이 상승했다. 후추와 함께 깜폿 두리안은 GI인증을 받아 그 명성을 더하고 있는데, 지리적으로 볼 때 태국 남부 지방이 같은 위도대에 있고 깜폿-시하눅빌-꼬꽁 그리고 태국의 뜨랏, 꼬창의 해안지역에 두리안 재배가 많이 있다. 풍부한 강우량과 해풍의 도움으로 우수한 품질의 두리안이 재배되는 것 같다. 물론 캄보디아에서는 깜퐁참, 바탐방 등 농업이 발.. 2023. 3. 21.
2021년 캄보디아 쌀 수출 현황 및 농산물 수출 전망 2022/02/13 12:02 2019년 기준 캄보디아 벼 생산량은 10,885,733톤으로 식량, 종자용을 제외하고 남는 양은 576만톤에 이른다. 이 때문에 캄보디아 정부는 100만톤의 쌀 수출이 오래된 목표였다. 2015년부터 쌀 수출량은 급격히 증가하여 2014년 38만톤 2015년 53만톤 2016년 54만톤 2017년 6만톤 2018년 62만톤 2019년 62만톤을 수출했다. 2018년과 2019년에 수출이 주춤한 것은 유럽의 캄보디아, 미얀마산 장립백미에 대한 관세부과의 영향이 있다. 그리고 2020년에는 팬더믹의 영향으로 수요가 급증하여 69만톤을 수출한 뒤, 2021년에는 물류비의 증가 등으로 수출이 다소 감소한 61만톤에 그쳤다. 2022년부터 유럽의 관세부과가 철폐되면서 유럽 수출이 .. 2023. 3. 21.
2021년 캄보디아 농축수산업 생산 현황 2022/04/13 10:59 아래의 자료는 캄보디아 농업부에서 발간하는 MAFF Annual Report 에서 자료를 뽑았고, 매년 반복해서 말하지만 각 지역에서의 자료취합, 농업부에서 자료취합 과정에 오류가 많다. 특히 보고서 자체에서도 오류가 있기 때문에 100% 신뢰하기 보다는 추세 정도를 읽는다고 생각하면 좋다. https://elibrary.maff.gov.kh/book/623933d233e7d 2019년 현재 캄보디아 인구는 15,552,211명이고 인구당 GDP는 1,561불이다. https://www.nis.gov.kh/index.php/en/12-publications/15-agriculture-census-in-cambodia-2013-final-result 2021년 캄보디아는 총 .. 2023. 3.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