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8

캄폿 후추 협회, Kampot Pepper Promotion Association 2016-05-01 21:40:59 캄폿 후추 협회 (2016년 4월 방문) 캄폿후추협회는 캄보디아 정부의 도움으로 GI 인증을 받았다. *GI인증 : 지리적 상표표시(GI; Geographic Indication)는 상품의 품질이 특정지역의 지리적인 특성에 기인하는 경우, 해당 상품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역 명칭을 의미함. 이러한 지리적 표시제도는 특정 브랜드에 지역의 명칭을 독점적, 배타적으로 쓸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함. 이를 통해 우수한 지리적 특성을 가진 상품을 보호하고, 해당 상품이 해외에서 오남용 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품의 경쟁력 강화, 품질 향상, 지역 특화 산업으로의 육성을 도모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총 184ha의 320농가가 소속되어 있고, 2016년 총 80톤 생산 후.. 2023. 8. 28.
시판돈, 라오스, 4천개의 섬, 4000 island, LAOS, Siphandone 2016-04-12 09:06:15 시판돈, 라오스, 4천개의 섬, 4000 island, LAOS, Siphandone 메콩강 라오스 측의 끝자락에 있는 시판돈은 4천개의 섬이라는 뜻이다. 메콩강이 캄보디아 스뚱뜨렝으로 넘어가기 전에 암석으로 된 독특한 지형 덕분에 크고 작은 많은 섬들이 있다. 물론 폭포와 급류들도 있다. (시판=4천, 돈=섬) 캄보디아 끄라체에서 7시에 출발하는 차를 예매했다. 차는 스뚱뜨렝에서 한번, 국경에서 한번 다른 차로 갈아 타게 된다. (차비 13불) 1열에 3인 좌석이지만 최대 4명까지 같이 타야한다. 그날그날 손님에 따라서 운이 바뀌는 것이다. 대부분의 캄보디아 시스템이 그렇듯이 숙소에서 부터 늦게 출발한 차는 이리저리 다른 손님들을 태우느라 결국은 7시 40분이 되어야.. 2023. 8. 25.
왓푸사원, Waw Phou, 라오스, 참파삭, Laos, Champasak 2016-05-10 14:16:56 2016.4 방문 캄보디아에 살고 있는 나로서는 참파삭의 왓푸사원을 간단히 정리할 수가 없다. 고대 크메르왕국으로부터 도움을 받아 지어진 사원이다보니 캄보디아의 앙코르왓, 쁘라삿프레아비히어 등 여러 유적들의 모습들이 한곳에서 보였다. (캄퐁톰의 삼보 쁘레이꾹도 영향을 줬다고 한다.) 이렇게 복잡하게 엮여 있다보니 왓푸의 어느 부분을 캄보디아 사원과 연결시켜야 할지 다시 공부를 하지 않을 수 없었고, 끝내지 못하고 우선 정리해본다. 유네스코(http://whc.unesco.org/en/list/481/)에 따르면 왓푸 사원은 참파삭문화공간Vat Phou and Associated Ancient Settlements within the Champasak Cultural L.. 2023. 8. 25.
Pakse, Laos, 팍세, 라오스, 팍송, Paksong 2016-04-19 10:21:56 Pakse, Laos, 팍세, 라오스, 팍송, Paksong 시판돈에서 다음 목적지는 팍세와 그 주변지역이다. 참파삭의 주요 도시인 팍세는 베트남과 태국과 가깝기 때문에 물류의 중심지로써 중요한 지역이다. 돈뎃에서 반 나까상, 그리고 팍세까지 각각 배와 버스를 갈아타면서 이동했다. 버스를 수차례 갈아타는 교통체계이다 보니 한번 갈아탈 때마다 많은 시간이 지체된다. 돈뎃에서 아침 8시에 배가 출발하여 반 나까상에 도착했다. 우선 여행사바우처로 팍세로 가는 버스표를 바꿨다. 팍세까지 가는 차는 시간이 많이 남아서 동남아최대 폭포라는 콘파펭으로 갔다. (자세한 정보는 콘파펭 포스트에서) 터미널에서는 12시 10분에 버스가 출발했다. 캄보디아, 시판돈 등 여기저기에서 몰려든 .. 2023. 8. 25.
꽝시폭포, 라오스, 루앙프라방, Kuangsi waterfall, Luangprabang, Laos 2016-04-11 09:38:05 루앙프라방에서 꽝시폭포까지는 23km 떨어져 있어서 꼭 차량 등을 이용해서 가야한다. 전날 오토바이를 9만KIP에 빌려서 아침 일찍 국수 한그릇 먹고 출발했다. (대부분 10만 KIP 또는 그 이상인데 찾아보면 9만낍이나 7만5천낍도 있다.) 꽝시폭포의 입장료는 2만낍이고 주차료는 2천낍이다. 폭포 끝까지 올라가면 뒷편으로 산에 올라가는 트랙킹 코스가 있다. 폭포 오를 때 왼쪽은 완만하고 오른쪽은 가파르다. 그래서 가능하면 운동화를 준비해서 신고 가는 것이 좋다. 폭포의 시작점을 보고 나면 다시 트래킹 코스가 나온다. 트래킹을 3km을 하고 나면 꽝시폭포가 시작되는 샘과 동굴이 있다. 가는데 한시간 정도 걸리기 때문에 뚝뚝을 단체로 타고 왔을 경우에는 시간이 충분한지 .. 2023. 8. 25.
캄보디아 지하수 비소의 원인, arsenic release into groundwater 2016-02-21 04:45:03 UNICEF의 보고서 Arsenic in Cambodia를 보면 캄보디아 식수에서 문제되는 비소에 대해서 자세히 나와 있다. http://www.unicef.org/cambodia/As_Mitigation_in_Cambodia_2009.pdf 일정량은 약이지만 지나치면 독으로 변하는 비소 http://www.sciencetimes.co.kr/?p=52728&cat=30&post_type=news&paged=162 지금까지는 비소독성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많이 논의 됐었는데, 2015년 12월 스탠포드 대학에서 이 지표수 비소오염에 대한 원인을 규명했다. Stanford scientists solve mystery of arsenic release into groundwa.. 2023. 8. 25.
캄보디아 주요 수자원 2016-07-13 13:35:26 http://www.adb.org/sites/default/files/project-document/64081/38558-01-cam-tacr.pdf Mekong River Sekong River 총 연장 4,000km 총 유역면적 29,600㎢ 총 유역면적 795,000㎢ 캄보디아 내 유역면적 514㎢ 캄보디아 내 연장 486km Sre pok River 캄보디아 내 유역면적 156,000㎢ 전체 유역면적 30,240㎢ Rainy Season(5~10월) 연간 강우량의 80% 캄보디아 내 유역면적 12,762㎢ Sesan River(베트남 발원) Tonle Sap Lake 총 유역면적 17,968㎢ 표면적 2,600~15,000㎢ 캄보디아 내 유역면적 7,773㎢ 유.. 2023. 8. 25.
캄보디아 쌀국수 종류와 기원 2017-01-17 17:29:03 20017.7.7 추가 - 캄보디아 쌀국수의 기원은 중국이다. 중국 이민자들에 의해서 지금의 쌀국수가 전해졌고, 이것은 다시 메콩강을 통해 남부 베트남인 사이공으로 전해져 베트남의 Pho 퍼 가 되었다. 지금처럼 소나 돼지뼈를 우리는 방식은 70년대가 지나서 시작되었고 그전에는 더 값싸고 흔하게 구할 수 있는 닭으로 국물을 우려냈다. 아시아 식문화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쌀이다. 그중에서 한국과 일본 그리고 일부 중국 남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인디카 타입의 찰성이 적은 쌀을 이용한 식문화가 발달했다. 이는 볶음밥이나 쌀면요리가 발달하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쌀을 이용한 다양한 식문화는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대부분의 동남아 국가에서 찰밥은 간식으로 먹는 .. 2023. 8. 25.
기상이 쌀 생산에 주는 영향 2017-02-27 15:53:24 기상과 기후, 농업생산성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많은 논문이 있는데, 선진국의 농업에서는 기후 보다는 기상, 기상 보다는 시장에 따라 생산성이 달라진다고 생각한다. 그 말은 상업작물들은 대부분 시시각각으로 변해가는 기상에 대응할 수 있거나,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말이다. 어쨌건 범지구적인 기후 문제와 국지적인 문제는 또 다르기 때문에 둘을 한번에 엮어서 말하기는 어렵다. 최근 3년 정도 캄보디아 농업기상과 벼 또는 작물생산성, 그리고 기아(식량부족)의 상관성을 찾아 보고자 꾸준히 자료를 보고 있다. 아직 결론은 없지만, 생산량 보다는 농가수익에 더 관심을 두어야 벼 생산과 기아의 상관성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avg month avg 6~10 rainfall yr rai.. 2023. 8. 25.
고대 농법의 현대적 해석 2017-02-02 10:17:53 가 전통농법에 관심을 가졌던 이유는 신흥 농업국이나 강소농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생각해서였다. 2012년 관련된 책을 처음 읽었는데, 농사를 짓기에는 좋지 않은 환경에서 적용할 경우 상업적인 수익은 얻을 수 없더라도, 참여하는 농가들의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아주 최소한의 방법으로 생각했다. 실제로 농업에서 잉여생산물이라는 것은 더 많은 노동력, 토지면적, 거름이 있을 때만 가능한 것으로 이 모든 것들이 부족한 곳에서는 자급하기에도 모자란 것이 현실이다. 시간나서 다시 책을 읽으면서 곰곰히 생각해 보니 오히려 최근에 들어 알게 모르게 이런 전통농법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고, 예전에 비해 기계화가 되면서 인력으로는 메꿀 수 없었던 부분들을 해결할 수 .. 2023. 8.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