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8

농촌관광을 통한 개도국 농촌개발 2016/01/11 19:50 우리는 아직 유럽의 농촌관광 근처에도 가지 못했지만, 캄보디아의 농촌개발을 보고 있자니 답답할 따름이다. 우리가 실패했던 부분들을 그대로 답습해서 언젠가는 크게 후회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가장 염려되는 부분이 생산성만을 강조한 환경파괴나 무분별한 개발이다. 굳이 관개수로가 없어도 되는 지역에 무리한 토목공사는 또다른 문제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당장의 관개수로가 이익으로 연결될 듯 하지만 실상은 지주들에게만 큰 이익을 돌려주게 될 것이다. 농촌문화도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흙담을 없애고 기와지붕을 뜯어낸지 30년만에 다시 흙담을 만들기 시작하고 기와집을 짓고 있다. 불편함만을 생각해서 농촌주민들은 손쉽게 바꿀 수 있는 편리함으로 옮겨가려고 한다. 하지만 그 불편함들을 조만한 .. 2023. 4. 10.
지역축제 개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15/12/30 22:03 http://ricelifeculture.com 2016 Bale & Paddy Art Festival 약 2년에 걸쳐 두번의 행사 준비를 했다. 국내 예산으로 생각하면 크지 않은 행사일수도 있지만 현지의 물가와 인건비를 생각할 때 매우 큰 행사이다. 지난번은 2015년 1월 준비 2월 개최, 이번에는 2015년 12월 준비 2016년 1월 개최로, 사실상 1년에 두번의 행사를 준비했다. 처음과 비교해서 규모 역시 8배 가까이 증가했다. 한국와 캄보디아에서 이런 지역 행사를 기획하고 실행하다 보니, 역시나 농촌개발의 어려움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많은 농촌개발의 분야가 있겠지만 지역축제에서는 특히 지역 주민의 역할이 무엇인지 새삼 고민하게 된다. 아마 결과보고서에 아주 극심.. 2023. 4. 10.
왜 농민들은 스스로 패자이길 원하는가 2015/10/24 00:13 농민이 문제인지 이를 악용하는 조직 또는 조직 구성원의 문제인지는 모르겠다. 분명 내가 처음 농업을 공부하고 농업관련된 일을 할 때는 조직의 문제보다는 농민 개개인의 문제 또는 어려움을 해결해야 된다고 생각했었다. 지금도 농민들의 어려움과 문제는 여전하겠지만, 이를 악용하는 조직이나 조직 구성원도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잘 되고 있는 부분도 분명히 많지만, 적지만 잘 안되고 있는 점도 분명이 있기에 오늘밤 잠이 안오고 생각하게 된다. 1. 농정과 농민 정책이 항상 바르지는 않지만 농민도 마찬가지이다. 올바른 정책이더라도 제대로 활용하지 않고 악용하는 농민이 있다. 특히 보조금 사업. 물론 직접 보조금 또는 보조금 제도를 활용하는 많은 사업들 역시 농민들이 악용할 수 있는.. 2023. 4. 10.
곡물 가격이 하락하면 기아가 줄어들까? 2015/10/09 12:40 식량생산이 증가하고 가격이 안정화 또는 하락하고 있다고 해서 과연 기아해결이 될까? FAO의 자료를 보면 세계의 곡물 Cereal 생산은 증가하고 있다. http://www.fao.org/worldfoodsituation/csdb/en/ 식량가격은 감소하고 있다. http://www.fao.org/worldfoodsituation/foodpricesindex/en/ 애초에 이 글을 시작한 이유는 세계식량가격이 하락하면 상대적으로 큰 타격을 받는 것은 대형농장들이 아니라 개발도상국의 가족농이 피해를 볼 것이라는 생각이었다. 그리고 이 가족농의 붕괴는 기아문제로 직결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가족농은 붕괴될지 몰라도 낮은 가격의 식량원조공급은 활발해져서 오히려 절대빈곤.. 2023. 4. 10.
학교농장, School Garden 2016/03/27 18:02 Plant a seed, grow a garden, change a life! School gardens are cropping up all over the world http://www.fao.org/zhc/detail-events/en/c/231865/?utm_source=facebook&utm_medium=social+media&utm_campaign=fao+facebook 최근 우리나라도 도시농업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지만 해외의 도시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실제로 많이 하고 있다. 학교농장이 주는 장점은 학생들이 먹거리에 대한 관심을 갖게하여 스스로 안전한 먹거리를 고를 수 있게 해 준다. 더불어 작물(식물)에 대한 공부를 자연스럽게 같이 할 수 .. 2023. 4. 10.
세계후추통계, World Pepper, 2015 2016/04/27 23:14 NED SPICE 라는 웹사이트에서 나온 세계 후추 통계이다. 세계 후추협회에는 자료가 많은 것 같은데 가입을 하지 않으면 정보검색이 안되는데, 가입하는 창구가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세계 후추협회에는 후추송도 있다! 후추의 가격 변동 패턴은 주기를 보이는데 그 이유는 후추의 가격이 상승하면 농장이 늘어나고, 공급이 증가하여 가격이 떨어지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전체적으로는 상승세를 보이는데, 육류소비가 세계적으로 증가하여 후추의 소비도 늘어나게 된 것이다. 흑후추와 백후추의 가격차이는 생산방법에서 기인한다. 백후추는 흑후추를 물에 불린 뒤 외과피를 제거한 것이므로 중량이 더 적고, 가공과정에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2014년 세계 후추 총 생산량은 409,000톤이고 2.. 2023. 4. 10.
생산만큼 유통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 2016/07/14 17:25 왜 지금 시점에서 유통에 투자를 해야할까. 기존의 자료를 확인하면 2000년 초반부터 치어 생산에 필요한 연구시설에 투자를 진행했다. 대부분의 농민은 정보에 취약하기 때문에 원거리에 있는 소비처 즉 프놈펜이나 시엠립의 수요에 대한 파악이 느리다. 따라서 시장 수요에 즉각적인 반응을 할 수 없다. 반면 양식업은 양식장 조성에 1~2개월 출하까지 6개월이 걸리며, 사료 비용 때문에 첫 출하까지 많은 자본력을 필요로 한다.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한 생산시설의 규모화 역시 자본의 한계로 확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시장을 지배할 수 있는 생산자를 육성하기 위해 소규모 양식장을 조합화 하여 출하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 대규모 소비지의 정보를 단순화하고 전파를 쉽게 하기 위해 .. 2023. 4. 10.
개도국농업개발과 우리 쌀 정책 2016/10/01 21:52 농지 사용에 대한 규제 즉 농업생산을 위한 용도의 제한의 관한 법이 또 개정되려고 한다. 농지를 다른 용도를 개발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한다는 목적이지만, 내가 보기에는 땅값 상승을 노린 꼼수일 뿐이고 대부분은 정치인들의 이해관계 (표심이나 본인들의 재산형성 등) 때문으로 생각하는게 맞을 것이다. 이와중에 올해 쌀값은 또 하락하여 더이상 벼농사를 위한 농지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는 것도 한 핑계이다. 이런 말같지도 않은 생각을 하는 이유는 식량자급율이 30%도 되지 않고, 그나마 쌀 100% 자급이 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는 사실을 뒷전에 묻어 버렸기 때문이다. 쌀 생산이 수요에 비해서 과잉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은 맞다. 하지만 농지전용 제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벼농사가 .. 2023. 4. 10.
미국의 농업 보조금 2016/10/24 11:51 원본글 http://grist.org/food/our-crazy-farm-subsidies-explained/ 전세계적으로 농업생산성과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왜 여전히 기아에 시달리는 인류, 국가, 대륙이 있는지 여러차례 얘기했다. 유럽의 농업 선진국도 마찬가지지만 미국의 농업 보조금 사례를 한번 보자. 이미지에서 언급되는 작물은 물, 옥수수, 수수, 보리, 귀리, 목화, 쌀, 대두, 땅콩으로 주요 식량, 유지,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건조만 충분히 이루어지면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것들이다. 2010년 미국은 전세계 옥수수의 32퍼센트 공급했다. 대부분 이런 옥수수들은 식품이 아니라 사료는 바이오연료용이다. 미국의 보조금 정책은 아래와 같다. 미국의 농업보조.. 2023. 4. 10.
우리나라 달걀값과 소비 수준은 얼마나 되는가 2017/01/17 18:49 http://www.nationmaster.com/country-info/stats/Cost-of-living/Prices-at-markets/Egg/Dozen 얼마전 친구의 페북에서 일본의 달걀값을 보고 찾아봤다. 우리나라 달걀값은 2013년 2014년의 가격을 근거로 12개 기준 세계 47위이다. 2.98불인데 3천원이 조금 넘는다. 산란계의 경우 고도의 과학이 집적된 일종의 공장과 같아서 방사형 사육이 아닌 공장형 사육의 경우 국별로 사료값, 유통구조의 차이를 빼고는 가격에 차이를 보이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 그래서 일본과 비교해 보면 0.7불 즉 천원에 가까운 차이가 나는데, 그 이유를 알지 못하겠다. (진심 궁금) 2023. 4.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