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mbodia_General55

캄보디아 지하수 비소의 원인, arsenic release into groundwater 2016-02-21 04:45:03 UNICEF의 보고서 Arsenic in Cambodia를 보면 캄보디아 식수에서 문제되는 비소에 대해서 자세히 나와 있다. http://www.unicef.org/cambodia/As_Mitigation_in_Cambodia_2009.pdf 일정량은 약이지만 지나치면 독으로 변하는 비소 http://www.sciencetimes.co.kr/?p=52728&cat=30&post_type=news&paged=162 지금까지는 비소독성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많이 논의 됐었는데, 2015년 12월 스탠포드 대학에서 이 지표수 비소오염에 대한 원인을 규명했다. Stanford scientists solve mystery of arsenic release into groundwa.. 2023. 8. 25.
캄보디아 주요 수자원 2016-07-13 13:35:26 http://www.adb.org/sites/default/files/project-document/64081/38558-01-cam-tacr.pdf Mekong River Sekong River 총 연장 4,000km 총 유역면적 29,600㎢ 총 유역면적 795,000㎢ 캄보디아 내 유역면적 514㎢ 캄보디아 내 연장 486km Sre pok River 캄보디아 내 유역면적 156,000㎢ 전체 유역면적 30,240㎢ Rainy Season(5~10월) 연간 강우량의 80% 캄보디아 내 유역면적 12,762㎢ Sesan River(베트남 발원) Tonle Sap Lake 총 유역면적 17,968㎢ 표면적 2,600~15,000㎢ 캄보디아 내 유역면적 7,773㎢ 유.. 2023. 8. 25.
캄보디아 쌀국수 종류와 기원 2017-01-17 17:29:03 20017.7.7 추가 - 캄보디아 쌀국수의 기원은 중국이다. 중국 이민자들에 의해서 지금의 쌀국수가 전해졌고, 이것은 다시 메콩강을 통해 남부 베트남인 사이공으로 전해져 베트남의 Pho 퍼 가 되었다. 지금처럼 소나 돼지뼈를 우리는 방식은 70년대가 지나서 시작되었고 그전에는 더 값싸고 흔하게 구할 수 있는 닭으로 국물을 우려냈다. 아시아 식문화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쌀이다. 그중에서 한국과 일본 그리고 일부 중국 남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인디카 타입의 찰성이 적은 쌀을 이용한 식문화가 발달했다. 이는 볶음밥이나 쌀면요리가 발달하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쌀을 이용한 다양한 식문화는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대부분의 동남아 국가에서 찰밥은 간식으로 먹는 .. 2023. 8. 25.
[캄보디아] 시골에서 사용하는 소주 증류기 2016-08-10 12:20:36 캄보디아도 우리처럼 주식이 쌀이다 보니 쌀을 재료로 술을 만든다. 우리처럼 밥을 지어 누룩과 함께 섞어서 발효를 시킨 뒤, 술이 다 되면 사진처럼 증류기를 사용하여 소주를 만든다. 쓰라 소 (흰 술)라고 불리는 이 술은 보통 50% 정도의 도수를 보이고 그냥 먹기도 하며, 여러가지를 첨가해서 마시기도 한다. 2023. 8. 25.
비단섬, Silk island, Koh Dach 2014-08-30 19:29:09 지도에 보이는 것처럼 꼬닷은 프놈펜 북쪽 15km 정도에 위치한 섬이다. 메콩강 안에 있어서 배(ferry)를 타고 들어가야 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 실크로 유명한 섬이다. 꼬닷, 끄발꼬(섬 머리), 쩡꼬(섬 발), 네아, 르베아 5개 마을로 되어 있다. 원래는 실크로 유명했지만 현재 캄보디아에서 양잠산업과 문화는 거의 사라지고 되돌리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그래도 각 가정마다 베틀은 대부분 갖추고 있고, 끄로마 등 여러가지 직물을 만들어서 판매하고 있다. 프놈펜에서 가까운 만큼 당일 혹은 바이킹 코스로 현지인과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고 있다. 다리가 없어서 상대적으로 따크마우 지역보다는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아 보인다. 2023. 8. 17.
캄보디아]Wat Botum Vathey, 왓보뚬바떼이, 프놈펜 가장 오래된 절 2017-06-19 16:07:34 연꽃봉우리 사원이라는 이름의 Wat Botum Vathey는 프놈펜에서 가장 오래된 사원이다. 15세기 King Ponyea Yat 뽄이어 얏 왕이 제원을 마련하여 만들어진 절이다. 원래 사원의 이름은 "Khop Ta Yang 크빱 따 양" 혹은 "따양 Ta YAng"로 불렸다고 한다. 그 뒤 왕궁이 건설되던 1860년대에 승려인 "Kantie Topodae 깐띠에 또뽀다에"가 연꽃 연못을 만든 뒤, 현재 이름으로 명명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큰 연못은 없고 아주 작은 연못과 연꽃이 조금 남아있어 그 이름을 대신하고 있다. 왕궁 근처 7번도로에 위치한 이 사원은 규모가 400m x 400m 가량 되는 보기 드물게 큰 사원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관광객들에게는 잘 알려.. 2023. 8. 17.
메콩강 수질 2017-06-06 19:57:30 흔히 뚠레삽이나 메콩강의 흙탕물을 보고 물이 더럽다라고 말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사실 탁도는 높지만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에 노출되지 않았다고 말씀 드립니다. (비소는 별개의 문제로 흐르는 강에서 문제되는 것은 아니다.) 메콩강 협의회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메콩강의 수질은 2014년 이래로 약간 좋아졌다. 이것은 인간의 생활이나 수중동물의 생활, 농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양호한 상태이다. http://www.mrcmekong.org/assets/Publications/20170519Mekong-Water-Quality-Final2.pdf 2023. 8. 17.
캄보디아] 일본 고등어를 피하는 방법 2017-08-01 13:42:19 한국도 당연하겠지만 여기 프놈펜도 무분별한 일본 식자재가 들어오고 있다. 규제가 없고, 저렴하기 때문에 현지인들은 엄청나게 소비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파 같은 채소류도 속속 들어오고 있어서, 과연 어떤 것을 피해서 사 먹어야할지 고민이 크다. 게다가 캄보디아 현지인들은 민물고기를 많이 먹던 관습 때문인지, 연어 고등어 등 다양한 바다어종도 즐겨 먹고 있다. 나도 갈치 고등어 참치 연어 농어 등 다양한 바닷고기를 즐겨 먹는데, 적어도 갈치는 캄보디아 연근해에서 잡히고 있다. 그리고 농어는 자연산과 양식이 있어서 크게 문제 되지 않을 것 같다. 연어는 대부분 양식으로 항생제 문제가 남아 있다. 그리고 한국인이 특히 즐겨 먹는 고등어는 어떻게 골라야할지 참 고민이 많다... 2023. 8. 16.
캄보디아 에너지 소비 현황과 환경 2019-11-22 16:27:10 Cambodia National Energy Statistics 2016에 따르면 2015년에 전체 4,762ktoe 에너지 공급 중 전기는 3%, 석탄 11%, 바이오매스 44%, 석유 38%, 수력 4%이다. 캄보디아는 2010년에서 2015년까지 전체 에너지 수입은 연평균 8.3% 증가했다. 주요 바이오매스는 화목이다. 바이오매스 생산은 평균 4.1% 증가했다. (바이오매스 생산과 소비는 같음) 다른 일차에너지에 비해 바이오매스는 생산량이 느리게 증가하고 있지만 전체 공급의 36%로 여전히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해당 보고서의 53페이지를 보면 2010년을 100으로 봤을 때, 2015년의 캄보디아는 GDP와 TPES(Total Primary Energy Suppl.. 2023. 8. 16.
캄보디아 각 지명의 의미 2017-07-14 19:21:02 Banteay Meanchey 승리의 요새라는 뜻으로 1988년 바탐방에서 분리되었다. 70년대 내전 당시 바탐방, 파일린과 함께 가장 전투가 치열한 곳이었다. Battambang 잃어버린 지팡이 가난한 사람이 마법의 지팡이로 이전 왕을 쫓아내고 왕이 되었고, 나중에 쫓겨난 왕이 그 사실을 알고 지팡이를 뺏으려 하자 멀리 던져버렸는데 그곳이 이 지역이라는 전설이 있다. Kampong Cham 참족의 항구, 참이라는 말은 오스트로네시아 인종을 의미하는데, 베트남 참파에서 이주해 온 것이다. Kampong Chhnang 항아리의 항구라는 뜻으로, 태국 고대 문명인 Dvaravati드바라바티의 유물들이 많이 남아 있다고 한다. Kampong Saom 기분 좋은 항구, Nor.. 2023. 8.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