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1 댐 건설, 메콩강 수위변화 그리고 기후변화 2012년에 캄보디아 기후변화에 대해 쓴 글이 있다. http://chongdowon.com/5704224 1990년부터 2010년까지의 프놈펜 기상자료를 취합해서 세계기후변화의 추세와 비교했던 글이다. 그 이후에 캄보디아 기후변화는 매우 심각해져셔 농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은 강우형태의 변화가 가장 심각한 문제일텐데, 연간 강우량은 여전히 1200~1400mm로 변함이 없지만 연중 강우일수는 많이 줄어 들었다. 집중호우가 늘어나면서 농지가 더이상 버티기 어려운 상태가 되었다. 메콩강협의회 Mekong River Commission에는 메콩강 유역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는데, 2019년 12월의 기사를 보면 기후변화보다 메콩강의 댐 설치가 강의 수위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한다.. 2023. 3. 29. 플랫폼 일자리 유튜브시리즈 중에 "Liza on Demand"라는 코메디프로그램이 있는데 여기의 주인공 Liza는 여러가지 플랫폼 일자리 즉 우버택시, 배탈, 심부름 등의 일을 쉬지 않고 한다. 아직 삶의 정체성을 찾지 못했다는 전제와 성장과정을 재밌게 풀어가는 이야기지만, 예전 드라마에서 보여주던 시급형의 파트타임 직업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한국에 살고 있지 않아서 우리나라도 얼마나 많이 플랫폼 일자리가 생겼는지는 체감하지 못하고 있지만 본업 외에 카카오택시나 쿠팡 배달을 하는 사람들의 후기가 꾸준히 인터넷에 올라오는 것을 보면, 이미 일상생활에 흔해졌는지도 모르겠다. 내가 경영이나 경제학에 관심이 없고, 내가 종사하는 일자리가 아직까지는 AI대체 불가능하며 플랫폼 노동인력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분야다. 그래.. 2023. 3. 29. 플랜테이션, 대규모영농, Large scale farm, Plantation 2020/04/11 14:32 국내에는 영농규모가 작아서 상업농이라고 구분되는 면적이 작물마다 다르지만 5ha이상으로 보는 것 같다. (이 부분에 대해 명확한 자료를 찾지 못했지만 농진청의 보도자료를 참고 https://www.rda.go.kr:2360/board/board.do?mode=view&prgId=day_farmprmninfoEntry&dataNo=100000062038 ) * http://www.fao.org/3/a-i6858e.pdf Defining small scale food producers to monitor target 2.3. of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AO 에서는 지역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5ha 미만을 Small sca.. 2023. 3. 29. Happy Hen SCP breeding, 캄보디아 해피 양계장 2020/04/21 18:2 https://www.google.com/maps/place/Happy+hen+scp+breeding/@11.4967026,104.5648665,13z/data=!4m5!3m4!1s0x31093912a837b397:0x8dabb50921f0ac6a!8m2!3d11.5027194!4d104.5975882 https://www.facebook.com/happyhenfreerangeeggs/ 캄농회 김정인 명예회장이 운영하는 양계장이다. 프놈펜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다. 김정인회장은 축산을 전공하고 축산업, 사료업을 평생 일구셨고, 캄보디아에서 SCP 사료회사를 운영하다 처분하고 현재 양계장을 운영중이다. SCP사료회사는 몇번의 주인이 바뀌다 현재는 CJ사료가 인수했다. 일반 양계.. 2023. 3. 29. 농촌지도사업과 농업부문 ODA, 농업 협력 2020/05/01 12:18 ODA나 국가간 농업협력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끝도 없을 것이고, 이 부문에서 농촌지도사업의 역할과 우리나라 농촌지도사업의 우수성을 좀 생각해 볼까한다. 오래전이지만 코이카 봉사단원으로 활동할 때는 잘 몰랐었는데, 우리나라 농업분야 ODA는 농촌지도 성격의 업무들도 포함돼 있긴하다. 요즘에는 Agriculture extension service라고 별도의 사업계정이 있기도 하다. 그런데 실제 업무가 이뤄지는 과정에서는 우리나라의 강점인 농촌지도사업 또는 조직활동을 제대로 반영 못하는 것 같다. 우선은 국가마다 문화가 다르고 그들만의 조직문화가 있기 때문에 흔히 말하는 우리의 새마을 정신, 즉 스스로 주변을 가꾸고 힘들여 일하는 개념이 없을 수 있다. 캄보디아에서 내가 진행했던.. 2023. 3. 29. 식량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2020/04/20 13:18 COVID-19가 지구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인터넷에서 꾸준히 올라오는데, 인간의 왕래와 생산활동이 줄어들자 대기는 깨끗해지고, 야생동물들이 더 자유롭게 인간의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다. 인간의 식량 생산을 위해 많은 자원이 소모되고, 지구환경에도 나쁜 영향을 준다는 보고서와 논문은 매년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 자료는 그래프를 통해 순차적으로 인간이 얼마나 많은 지구자원을 이용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또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인간의 노력은 무엇인지 아주 간략하게 보여 주고 있다. 가까운 곳에서 생산된 식품 이용, 축산식품을 적게 섭취. https://ourworldindata.org/environmental-impacts-of-food 식량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2023. 3. 29. 농업 이해하기 2020/06/01 22:22 한 지역의 농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농학이나 농경제가 아니라 지역의 역사나 문화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 농학에는 생물학, 재배학 등 기르는 행위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지식을 전달하지만 지금과 같은 기후변화의 시대에서는 같은 지역에서 똑같이 전달되는 농학적인 지식조차도 현장에 맞지 않을 수 있다. 한반도의 농업이 급격히 성장하게 된 계기는 논농사, 치수사업, 축경, 화학비료, 농업기계, 대형화 등으로 볼 수 있다. 농업용수를 위한 관개수리시설이 지금처럼 고도화되지 않았을 땐 둠벙이라는게 용수를 공급했다. 일종의 작은 연못으로 용수 공급은 물론 새우같은 민물고기도 공급했다. 충청도지역에는 이 민물새우(둠벙새우)를 재료로 한 요리도 있다. 이렇게 둠벙은 논에 필요한 용수 뿐만.. 2023. 3. 29. 캄보디아의 달러 의존도 낮추기와 중국 의존도 높이기 2020/06/18 12:52 어제 오늘 남북한의 예민한 흐름 속에서 코로나19 문제도 있겠지만, 제대로 된 대응을 못하고 있는 미국을 보니 이러다 정말 미국이 1등인 시절은 완전히 끝난게 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한다. 오늘 캄보디아 쌀 시장과 관련해서 재밌는 기사가 나왔다. 코로나19로 인해 올해 상반기 쌀 수출이 지난 10년간과 비교하여 최대량을 찍고 있는데, 중국이 40%, EU와 영국이 30% 차지한다. 중국 수출량이 매년 증가하면서 미국달러화 결제가 아닌 캄보디아 리엘화/위안화로 직접 결제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한다. 아세안 역내에서는 중국 의존도가 높고 캄보디아 내 중국계 은행이 많고, 중국의 대캄보디아 FDI 역시 많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은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직전에 EU의 캄.. 2023. 3. 29. 캄보디아 농촌관광 2020/07/09 15:36 농촌관광이란 농촌지역에서 주민들과 교류하며 체험을 하고, 농촌의 경관을 즐기는 것이다. 캄보디아의 관광산업은 크게 앙코르와트를 중심으로 한 유적지 관광과 시하눅빌 등의 바다 휴양지로 나뉘고, 대부분의 해외여행객들은 이 두가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관광을 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산림지역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천연림이 있어 생태탐방(Eco tourism)을 즐기는 관광객도 있으나 접근성이 낮아 단기 방문을 하는 여행객들은 직접 겪기 힘들다. 최근에는 농촌 경관을 중심으로 농촌관광의 움직임도 보인다. 특히 도로망의 확충과 여가시간의 증가는 내국인의 유적지를 벗어나 볼거리와 즐길거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해외여행이 제한되면서 이런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 2023. 3. 27. 농업과 블록체인 기술 2020/07/22 16:31 이스라엘의 공유자동차 서비스에서 블록체인을 이용하고 해당 전자화폐의 가치가 자동차 서비스를 넘어서서, 식품 등의 유통에 활용되고 전자화폐의 가치변동이 이 회사의 목표이자 수익원이라는 정도의 블록체인을 올바른 활용만 이해하고 있다. 한국 뿐 아니라 여러 국가에서 농업에 블록체인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한데, 캄보디아에서도 벼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블록체인기술을 도입하는 BlocRice를 파일럿 단계를 거쳐 본격적인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https://www.khmertimeskh.com/50747088/top-rice-exporter-gets-more-hi-tech/ 농업에 블록체인 기술도입은 모바일 금융 서비스 제공, 디지털 신원 확인, 농민의 소득 증대, 보험 및 대출.. 2023. 3. 27.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49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