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1

2019-2020 캄보디아 농업 연례 보고 2020/12/31 16:06 캄보디아어 판은 이미 3월에 나왔는데 영문판은 이제 나왔다. 돈이 없어서 못 만든다고 했는데 결국 만들긴 만들었나보다. Annual Repor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9-2020 and Direction 2020-2021 이 내용은 2019년의 결과다. 1. GDP - 농업부문의 GDP기여도는 21%로 산업은 32.3%, 서비스는 39.1%를 차지 - GDP 기여도는 매년 감소했지만 총생산은 22,786백만리엘로 매년 상승 - 농산업분야별로 볼 때, GDP기여도는 작물 53.67%, 축산 11.11%, 수산 24.3%, 임업 6.91% 2. 비료, 농약 수입 - 235개 업체 등록, 95개 업체에서 1,515품목 취급, .. 2023. 3. 24.
농장 내 기상변화와 기후변화 예측 2021/01/04 16:15 여러번 말했지만 기후변화학과에 입학할 때까지만 해도 기후변화는 정치적 이슈라고 생각했고, 가장 재미있게 본 책이 기후변화의 정치학이었다. 지금도 국제기구들은 기후변화에 많은 돈을 쓰고 있는데, 그 모든 활동이 온전히 기후변화를 위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와는 별개로 2019년과 2020년 11월 12월 그리고 1월의 기상을 보면 평소에 느끼던 날씨가 아니란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 지난 3년간 농장에 PWS를 설치하고 기상을 관찰했는데, 아쉽네 18개월만에 통신부품이 고장나서 강우량을 제외한 온습도와 일조량의 자료는 획득하지 못했다. 결과는 위의 표로 요약되는데, https://en.climate-data.org/asia/cambodia/ (2020년 9월 21일 15.. 2023. 3. 24.
캄보디아 GAP 제도 2021/01/20 15:56 1.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의 개념 (인용문헌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ps;jsessionid=Ss1hP2hzO2arE443xcai9RUgCs08185caZjxAdpIa6A8dnFGM4OfZvGKl1Kr11Pb.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0067&kidofcomdtyNo=28220) GAP는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농축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자 및 관리자가 지켜야 하는 생산 및 취급 과정에서의 위해요소 차단 규범을 의미하는 것으로, - 환경에 대한 위해 요인을 최소화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 2023. 3. 24.
캄보디아 축산 시장 동향 2021 2021/02/03 22:13 1. 현황 : 쌀, 카사바, 옥수수 등 대표적인 농산물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농축수산물은 내수공급이 부족하다. 축산물 역시 공급이 부족하여 수입으로 모자란 부분을 대체하는 한편 캄보디아 정부는 내수생산을 늘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 그럼에도 부족하고 부족한 자금과 CP라는 강력한 축산기업 때문에 내수생산이 원활하지는 않다. 2. 가격 동향 : 축산물 가격은 주변국으로부터 수입이 원활하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다만 2020년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수입과 유통이 불안정하여 가격이 일부 상승했다. 지난 6년간 각 축산물의 평균가격을 보면 2020년 평균가격이 현저히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riel/kg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평균 Beef 40,9.. 2023. 3. 24.
캄보디아 농업간이조사 2019, Cambodia Inter-Censal Agriculture Survey 2019 (CIAS19) 2021/02/10 17:28 1. 지역구분 1) Plain Zone(범람지역) : Phnom Penh, Prey Veng, Svay Rieng, Takeo, Tboung Khmum, Kandal, Kampong Cham(프놈펜, 쁘레이벵, 스바이리엥, 따께오, 뜨봉크뭄, 껀달, 깜퐁참) 2) Tonle Sap Lake Zone(뚠레삽 호수지역) : Pailin, banteay Meanchey, Battambang, Otdar Meanchey, Siemreap, Kampong Chhnang, Kampong Thom, Pursat(빠일린, 반떼이민쩌이, 바탐방, 오다민쩌이, 시엠립, 깜퐁츠낭, 깜퐁톰, 뿔삿) 3) Coastal Zone(해안지역) : Kampot, Kep Koh Kong, Preah Si.. 2023. 3. 23.
미역, 김 그리고 해초류 2021/02/19 13:01 1. 해초류 요새 김밥이 아닌 김샌드위치가 유행이라고 한다. 유튜브에서 영상을 하나 봤는데, 김밥보다 만들기가 쉬워 더 자주 먹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김이나 미역은 한식에서 흔하게 먹는 음식인데 언제 먼저 시작됐는지 어떻게 먹게 됐는지 생각해 본 적이 없다. 김과 미역은 광합성이 가능한 단세포 조류(algae)가 진화하면 약 5억 5천만 년전에 다세포 조류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326601001 최근 연구에서는 유럽과 뉴질랜드에서 양식되는 미역의 조상이 한국미역이며, 한국 미역은 양식을 시작한지 5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다양한 야생종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로써.. 2023. 3. 23.
뉴타입의 시대, 교보전자책 2021/03/01 15:43 뉴타입의 시대, 야마구치 슈 지금, 김윤경 옮김, 인플로엔셜, 2020.6.12 최근 많이 등장하는 21세기형 인간형과 비슷한 맥락으로 뉴타입이 필요한 시대를 설명하고 있다. 매 장마다 등장하는 뷰카VUCA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변동성 volatility, 불확실성 uncertainty, 복잡성 complexity, 모호성 ambiguity를 합쳐서 부르는 용어다. 뷰카화된 시대에서는 과거의 경험으로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미래를 예측하기도 어려워졌다. 다스뵈이다 152회에서 한빛미디어 박태웅의장이 이런 말을 한다. 예전에 우리가 선진국이 아닐 때는 모방하고 따라만 가면 됐지만, 이제 우리 앞에 누군가가 없는 선진국이 되고 나서는 우리가 직접 정의를 해야 한다. 뉴.. 2023. 3. 23.
사회를 좀 먹는 불법커미션 문화 2021/03/22 12:59 나는 80년대생으로 성인이 되었을 때 이미 우리나라에서는 불법적인 뒷돈 거래가 많이 사라졌다. 지금도 암암리에 뒷돈거래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대학교 때부터 연구비 카드가 그린카드라는게 생겨날 정도로 이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많았다. 캄보디아는 당연히 갈길이 멀지만 이런 불법뒷돈거래가 흔하게 있어 사회를 좀 먹는 병폐 중 하나다. 한빛미디어 박태웅의장이 얘기한 신용사회에 관한 것이다. 열차 개찰구에 검표원이 없고, 표 구매에서 하차까지 불필요하게 검증인력이 참여하지 않아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 신용사회 구축에는 시민의식, 운영체계 등이 먼저 만들어져 있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최근 망고를 수확해서 판매하는데 납품처 매입담당 직원이 매입가의 10%를 뒷돈.. 2023. 3. 23.
분배의 불균형화 기득권자의 거짓말 2021/04/02 09:08 높아지는 상속세 비율에 대해서 가진 자들은 내가 번 돈을 남기지 못하면 일할 의욕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또 이를 돕는 자들은 힘들게 일구어 낸 회사(기업)의 주도권을 자식세대에 주지 못하면 힘들게 기업을 일궈 낼 의지가 없을 것이다라고 반대의 의견을 낸다. 동물적인 본능으로 안전한 거처와 후대생산을 위해서 돈이나 그에 상응하는 물질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의 능력은 다르 것은 인정하지만 사회속에서 기회는 균등하게 주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무상급식처럼 성장기의 인간이 균등하게 먹지 못하면 이후의 지적 능력과는 별개로 육체적 능력에서부터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계속 증가하는 개도국의 인구와 식량 분배의 불균형 역시 비슷한 맥락에서 .. 2023. 3. 23.
합리적인 농산물 가격합리적인 농산물 가격 2021/04/22 16:44 농산물은 가공하기 이전에는 시장에서 경쟁력이 없다. 농가에서는 농산물의 판매가격을 노동력+지대+재료비로 추산해서 판매하려고 하지만 실제로는 시장 가격에 의해 좌우된다. 수요 대비 생산이 부족한 농산물은 시장가격이 높게 형성되겠지만, 대부분 대체품이 없는 농산물은 그 생산량과 공급이 많다. 그리고 국내에서 가장 비싼 농산물 중 하나인 6년근 인삼은 시장 가격은 높지만 기호식품으로 소비하지 않으면 그만이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수급에 신경을 쓰는 품목 중 하나가 김장철 김장용 채소류들이기도 하다. 다른 국가와 달리 김치는 대체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을철 재배환경에 따라 수급의 상황이 크게 달라지게 된다. 기상조건을 제외하고 전체 수요에 따른 생산량 조절은 예측에 따라 움직여야 .. 2023. 3. 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