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1

사탕수수, 정제당, 함밀당 그리고 천연 감미료 2019/05/09 12:27 본의 아니게 사탕수수와 스테비아를 함께 재배하고 있어서, 여러자료를 보다보니 역시나 식품산업계는 마케팅이 핵심이다. 정제당의 부작용 때문에 스테비아나 알콜당(erythritol 같은) 등 대체품이 많이 등장했지만, 원료부족이나 높은 단가 때문에 쉽게 정제당을 자리를 뺏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나 정제당의 장점 중 하나는 자동화공정과 색상에 있는 것 같다. 투명하거나 흰색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 가장 저렴한 감미료는 아직까지 백색정제당이다. 최근에는 스테비아를 설탕의 100배가 넘는 천연감미료라는 말로 홍보를 하지만, 실제로는 스테비아 역시 산업화 되면서 대량 재배를 하고 추출, 정제하는 과정을 거친다. 특히 천연 스테비아는 쓴맛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차로 먹는게 아니라 감미료로.. 2023. 3. 30.
캄보디아 제비집 사업, bird’s nest industry in Cambodia 2019/05/19 21:56 아래에 보이는 조금 기괴한 사진은 제비집을 수집하기 위한 건물이다. 제비만 드나들수 있도록 작은 구멍만 설치하고, 제비가 충분히 집을 지으면 수거해서 판매하는 사업이다. 바닷가나 물가에서 볼 수 있고, 최근에 더 많이 건설되고 있는게 보인다. 프놈펜 포스트의 기사에 따르면, 제비집 생산은 바닷가에 위치한 꼬꽁, 깜폿, 시하눅빌 등에서 4~5층의 건물에서 이뤄진다. 현재까지 공식적인 수출 통계는 없지만, 아시아 등지에 판매된다. 2017년 세척되지 않은 둥지는 600~650불/kg에 판매되었다. 올해는 850~1,100불/kg에 거래되고, 깨끗한 둥지는 2017년 1,500불, 2018년 3,000불에 팔렸다. Cambodia Bird’s Nest Federation (CBN.. 2023. 3. 30.
캄보디아 몬돌끼리 소나무 숲의 진실 2019/06/06 13:29 제목이 조금 자극적일 수 있으나 수많은 억측과 부정확한 정보를 많이 듣던 중 오래됐지만 정확한 자료를 이제야 확인해서 글을 정리한다. 몬돌끼리의 센모노롬에 진입하면 갑자기 열대지역에서는 보기 힘든 소나무 숲이 길을 따라서 엄청나게 보이고, 이 소나무숲은 베트남 국경지역까지 계속 이어진다. 지금까지는 중국이 개발했다, 일부러 조림을 해 줬다. 등의 얘기만 들었다. World Rainforest Movement와 캄보디아 NGO Forum의 자료를 보면, 이 지역의 소나무는 중국 기업의 ELC로 시작되었다. Wuzhishan LS Group이라는 업체는 2004년 법인을 설립하고 같은 해 199,999ha의 소나무 조림지를 센모노롬과 오리응 지역에 ELC로 받았다. ELC자료를.. 2023. 3. 29.
급속한 현지화는 오히려 망조 2019/09/12 12:59 캄보디아에서 창업하는 많은 한국과 외국 식당들을 보면 드는 생각은 한가지이다. 너무 급속한 현지화는 망하는 지름길이다. 현지에 사는 외국인들은 주인이 외국인인 식당이 생기면 맛은 물론, 서비스도 그 나라 수준에 걸맞기를 원한다. 예를 들어 한식당에 가면 김치찌개, 된장찌개가 기본 메뉴에 있는건 당연한 일이고 서비스가 칼같이 빨라야 한다. 스테이크를 먹으러 가면 현지 식당처럼 플라스틱 접시가 아니라 도자기 그릇에 음식이 나오길 기대하는 것이다. 또 오래 거주한 사람들은 현지어로 주문도 가능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모국어 또는 영어 주문 가능을 기대하고 외국식당에 가기도 한다. 배달을 하는 한식당의 경우 여러번 겪은 일이지.. 2023. 3. 29.
아보카도 품종, Variety of Avocado, 캄보디아, Cambodia 2019/10/11 12:49 아보카도는 하나의 종자와 큰 과육을 가진 과일로 500개 이상의 품종이 있다. 나무는 400년 이상 살 수 있고, 원산지는 중앙멕시코 남부지역이다. 최초로 발견된 것은 멕시코 푸에블라 시정촌(Coxcatlán, Puebla, Mexico)으로 기원전 1만년으로 알려져 있다.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는 기원전 5천년 초기에 재배종이 전파되었다. 아보카도라는 말은 아즈텍언어의 "ahuacatl"에서 기원되었는데 '고환'이라는 의미다. 또 모양과 껍질 때문에 '악어배'라고도 알려져 있다. 전세계 아보카도 주요 생산국은 멕시코, 페푸, 콜롬비아, 도미니카공황국, 인도네시아, 미국 캘리포니아이고 95%의 생산량을 차지한다. 대부분 Haas 품종을 재배한다. https://www... 2023. 3. 29.
Sunsweet, 썬스윗, King of Corn, 생산공장, Factory, 치앙마이 2019/11/05 16:06 태국에서 생산 옥수수 가공품 생산 1위인 Sun Sweet공장과 연구농장을 방문했다. 썬스윗은 총 직원250명으로 1997년 설립했고, 현재 총 자산은 6.8백만불이다. 총 매출은 6천만불로 하루 500톤 생산가능하다. 약 2만 농가에서 연간 15만톤의 옥수수를 매입하는데, 이 농장들은 GAP인증을 받고 관리를 위해 SMART FARM 시스템을 사용중이다. 전체 8ha의 부지에 창고2, 생산설비2, 발전소가 2 있으며, 70%는 통조림, 20%는 냉동, 레토르트는 10% 생산된다. 그외 채소, 양파, 베이비콘 통조림, 파인애플 통조림, 코코넛, 토마토 분말, 고구마, 타피오카 전분, 옥수수, 해바라기유 등을 아웃소싱으로 매입하여 수출 또는 내수 판매중이다. 바이오 가스 1,.. 2023. 3. 29.
K'HO,코커피,달랏,베트남,Dalat,Vietnam 2019/11/06 13:11 베트남은 주요 커피 생산지이지만 일본 차 문화의 영향을 받아 커피 보다는 차를 더 많이 마시는 나라다. 또 야생종의 차나무가 발견되기도 하는 곳이다. 코부족은 19세기 아라비카 커피 나무를 가져와서 재배에 성공했고, 현재는 유기농으로 재배하고 체험농장을 운영하고 있다. 체험프로그램 중에 커피를 판별하는 과정이 있는데 보통의 체험이나 커피 판별할 때는 경험하지 못하는 아주 고급의 수준이라고 한다.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 30개 운영한 대표 왈). 식사를 포함하여 1인당 3만원 정도의 비용인데, 식사는 손으로 직접 만들어 먹는 월남쌈이 나온다. 아라비카 품종 100% 재배중으로 아라비카는 고위도에서만 자라며, 로부스타 보다 품질이 좋음. 중부 베트남은 화산토여서 품종이 좋고, .. 2023. 3. 29.
캄보디아 에너지 소비 현황과 환경 2019/11/22 16:27 Cambodia National Energy Statistics 2016에 따르면 2015년에 전체 4,762ktoe 에너지 공급 중 전기는 3%, 석탄 11%, 바이오매스 44%, 석유 38%, 수력 4%이다. 캄보디아는 2010년에서 2015년까지 전체 에너지 수입은 연평균 8.3% 증가했다. 주요 바이오매스는 화목이다. 바이오매스 생산은 평균 4.1% 증가했다. (바이오매스 생산과 소비는 같음) 다른 일차에너지에 비해 바이오매스는 생산량이 느리게 증가하고 있지만 전체 공급의 36%로 여전히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해당 보고서의 53페이지를 보면 2010년을 100으로 봤을 때, 2015년의 캄보디아는 GDP와 TPES(Total Primary Energy Supply, .. 2023. 3. 29.
캄보디아 화재 피해와 개선 2020/02/08 09:52 캄보디아 전체산림면적은 1973년 국토의 72%였다. 2014년에는 48%로 감소해서 총 8,660,152ha로 크게 줄어 들었다. 이 중에서 밀림은 42%에서 16%로 전체 산림면적의 감소보다 줄어드는 폭이 크다. 밀림은 대개 지구의 허파 역할을 하며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서 산소를 내뿜어주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종의 다양성 보존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캄보디아 산림면적의 감소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는데, 한가지는 대규모 영농을 위한 개간이다. 종의 다양성은 해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똑같이 이산화탄소를 동화하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의 화전도 조금은 다르지만 여기에 분류해야 할 것 같다. 두번째는 불법 벌.. 2023. 3. 29.
캐슈넛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2020/03/03 15:24 최근 한국에서도 제주도와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망고나 바나나 같은 열대작물을 많이 재배하고 있지만, 캐슈넛은 아직 없는 것 같아서 몇가지 정리해 본다. 캐슈넛의 형태 http://chongdowon.com/5864691 프놈펜 캐슈넛 가공공장 https://chongdowon.tistory.com/237 캐슈넛 가공공장 2018-04-05 09:46:11 프놈펜 인근에 위치한 캐슈넛 가공공장. 캐슈애플의 끝에 자라는 너트는 나무에서 떨어진 것을 주워 모은 뒤, Shell 이라고 불리는 껍질을 벗긴 것을 너트라고 부른다. 보통은 이 chongdowon.com 캄보디아 캐슈넛은 베트남, 러시아, 한국, 중국, 미얀마, 페루,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되는데 2019년 202,317톤의.. 2023. 3. 29.
728x90